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SSL OSI 7계층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강사님 안녕하세요~강사님께서 OSI 7계층 그리실때 SSL 을 5계층으로 작성하시던데 5계층은 세션계층이니깐 6계층이 SSL 이 아닌가요? 6계층이 보안관련 작업을 한다고 알고있는데 헷갈려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만약 송신측 + 모든 라우터의 MTU는 동일했지만 수신측에서 MTU가 더 작으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널널한개발자님 ^^ 정말 좋은 강의를 통해 네트워크 학습중이라 정말 재밌습니다. 'TTL과 단편화' 강의를 시청중에 한가지 의문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만약 영상에서 언급하신 것 처럼 거치는 라우터 중에 MTU가 송신측보다 낮은 크기를 사용하는 것이 있으면, 이는 하향평준화를 통해 단편화를 최소화 하거나, 단편화가 발생하면 서버(수신)측에서는 다시 패킷을 조립한다고 하셨습니다.하지만 한가지 궁금점이, 만약 송신측에서 MTU를 1.5KB로 보내고, 모든 라우터의 MTU 또한 1.5KB이기에 잘 전달되던중, 서버측에 도달하기 직전 서버의 MTU가 1.4KB라서 단편화가 발생하게 된다면, 서버측에서 프래그먼트를 추출하는 방식이 달라지거나(다시 패킷을 조립할 수 없기때문, MTU가 다르기에) 성능 이슈? 같은 것도 생길 수 있을것 같은데(다시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경해야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답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라우터에 대해 궁금합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앞선 강의에서 ip 주소가 근거일 때 교차로에 해당하는 게 L3 Switch => Router라고 설명해서 그렇게 이해하고 있었는데, 지금 L2 Access switch가 한 방, L2 Distribution switch가 한 층, 건물 하나가 Router라고 하셔서 혼동이 옵니다. Router는 L2가 아니라 L3의 개념인데 그냥 단위가 그렇게 커진다고 이해하면 되는 것인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네트워크 질문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최근 네트워크 관련하여 다른 분과 의견을 나누던 중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생겨 선생님께 질문드립니다. 제가 기존에 이해하고 있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L2 장비는 MAC 주소 기반으로 스위칭한다.㉡ 일반적으로 L2 장비가 L3 장비보다 빠르다.㉢ IGMP는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IP 라우팅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그런데 상대방은 아래와 같이 다른 의견을 제시하여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었습니다.(㉠에 대한 반론) 솔웨이테크의 Niagara L2 스위치가 IP 기반 라우팅을 수행하는 사례를 근거로 L2 장비도 IP 라우팅이 가능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나아가, 이처럼 IP 라우팅 기능이 없는 전통적인 L2 스위치는 이제 기술적으로 낡은 방식으로 취급되어,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는 의견이었습니다.(㉡에 대한 반론) L3 장비가 상위 계층을 처리하고 더 많은 장비를 연결하므로 L2 장비보다 빠르다고 주장합니다.(㉢에 대한 반론) 효율적인 라우팅을 위해 IGMP가 필수적이라고 합니다. 선생님의 깊이 있는 지식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누구의 의견이 맞는지 명확히 해결해 주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네트워크, 그림과 애니메이션으로 이해하자(2025ver)
퀴즈 1단원에 강의에서는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 나옵니다~
캐스트 부분은 강의 자체가 누락된 것 같습니다. 강의 자료에는 내용이 있는데, 강의는 없다보니... 문제를 맞출 수가 없네요 ㅠ강의에서 페이로드에 대한 언급은 없던 것 같은데 ㅠㅠ 이상하네요 ㅠㅠ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응용 과정으로 넘어가기 전에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개발자님.현재 Spring 백엔드 개발자를 준비과정에 있는 수강생 입니다. 응용으로 넘어가기 전에 게임 서버 구조, C ,C++, 자료구조 기초 과정을 마치고 응용을 접근하면 될지 아니면 바로 응용으로 넘어가도 크게 상관없는지 궁금해서 질문을 남깁니다.이 질문을 하는 이유는 웹서버 내용이 기초라는 말씀 때문에 기초적인 걸 다 보충 후 응용으로 넘어가면 좋은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아래 두서를 붙이자면...)현재 언리얼개발을 5~6개월 하면서 C와 C++에 대한 구조에 대한 공부는 이해할 정도로 하였으나 한 번 더 보면서 복습할 예정 입니다. (언리얼 클라이언트 보다 서버 개발자에 더 흥미를 느껴 최근에 전환한 케이스 입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UDP 통신 시 Socket 설정
안녕하세요, 강사님차량용 이더넷 통신을 진행하게되어 강사님의 강의를 수강하고 있습니다. 해당내용에 관하여 문의가 있어 질문드립니다. 네트워크는 UDP 기반의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각 제어기별로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컨셉입니다. 이때 A라는 송신자와 B,C라는 수신자가 있으며 똑같은 멀티캐스트 주소를 사용하고자 합니다. A의 IP 주소가 EX) 192.168.0.1, 포트 7400B의 IP 주소가 192.168.0.2C의 IP 주소가 192.168.0.3일경우 B와 C의 포트는 7400으로 설정하는 것은 이해했으나, 소켓은 IP 주소와 + Port 정보로 이루어져있다고 강의로 이해했습니다. 이럴령우 B 소켓의 Bind는 192.168.0.2 + 7400(Port)C 소켓의 Bind는 192.168.0.3 + 7400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 맞는지요 ?해당 질문을 드리는 것이 A의 기준으로 생각해본다면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Destination IP가 특정 제어기로 지정되지 않을 것 같아 혼돈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host 내부 process 통신
127.0.0.1을 사용하면 DNS질의 없이 프로세스간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어떤 프로세스와 통신할지 127.0.0.1 뒤에 포트 번호도 있어야 TCP 소켓을 이용해서 통신이 가능한게 맞겠죠?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스위치에 대한 질문
'스위치는 네트워크 그 자체를 이루는 호스트이다.'라고 표현하셨는데 이 부분이 헷갈립니다.'엔드 포인트는 네트워크 그 자체를 이루고 있지 않다는 것인가?'라는 의문이 들기 때문입니다.저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스위치는 네트워크 그 자체를 이루는 목적의 호스트이고, 엔드 포인트는 네트워크를 이루면서 다른 목적도 있는 호스트이다.'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1회 완강후..
- 학습 범위를 넘어서는 개인적인 문의나 기타 회사 정책 및 운영에 대한 문의는 답변하지 않습니다.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일단, 자세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주신 덕분에 흐름은 감 잡았습니다. ^^;이제 다시 재 수강하며 내 것으로 만들려고 합니다.추가로, 1강 진행해 주시면서 로드맵 잠깐 말씀해 주셨는데..본 강의는 2과정 까지인 것으로 사료됩니다.3,4,5과정부터 ~ 쭈욱 관심 많은데.. 어디서 수강하면 될까요?
-
미해결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토폴로지 IP 입력 부분 에러 건
- 학습 범위를 넘어서는 개인적인 문의나 기타 회사 정책 및 운영에 대한 문의는 답변하지 않습니다.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안녕하세요~ 비전공자로서 네트워크 관심가지고 도전중입니다.하기 건 초보 질문 드립니다.router0 번은 클럭 에러 안떳고 router 1번 클럭 설정 시 하기와 같은 문구에러 확인됩니다.Router(config-if)#exitRouter(config)#int se0/1/1Router(config-if)#ip add 201.201.201.2 255.255.255.0Router(config-if)#clock rate 64000This command applies only to DCE interfaces <- 이 부분 에러 어케 잡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L3Switch & Router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MAC주소로 Switching하면 L2Switch, IP주소로 Swithching하면 L3Switch(==Router)라고 이해를 하고있었는데요조금 찾아보니 Router == L3Switch가 아니라 별도로 L3Switch라는 것이 존재한다는걸 알게되었습니다.L3switch의 경우 InterVLAN 및 LAN상에서의 Switching에 특화되어있다고하고, Router의 경우 WAN환경 및 고급네트워크 기능 (NAT, VPN, ...) 등에 특화되어있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요또 어떠한 글은 이제 그 둘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라고도 하는걸 보았습니다.어떤 글이 맞을까요?? (널널한 개발자님이 따로 설명을 해주시지 않는 것으로보아 후자가 맞아보이긴합니다만...)가격대, 그리고 주요 목적에 따라 어떤 장비를 사용해야 할지가 결정되는걸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RESTful API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CRUD의 각 함수를 URI로 기술하고 리퀘스트를 통해 함수를 호출한다고 설명해 주셨는데,예를 들어 사용자가 Read 함수의 URI를 리퀘스트에 담아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Read 함수를 호출해주게 되는 건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스위치에 대하여
강의 중 스위치에 관해 궁금해서 글을 남깁니다.여기서 나오는 스위치가 L1,L2,L3 ~ 이 스위치를 말씀하신 걸까요 ? 그리고 스위치를 네트워크 그 자체를 이루는 호스트라고 이 표현이 정확하게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그림 한 장으로 외워서 끝내는 웹 서비스 구조 기본이론만 재생이 안돼요
이 영상만 현재 오류가 나는거 같은데 혹시 확인 및 해결 가능할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DHCP 과정 중 src와 dst가 궁금합니다.
DHCP의 4개의 과정 중 scr와 dst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궁금합니다. DHCP Discoversrc : 0.0.0.0 dst : 255.255.255.255DHCP Offersrc : DHCP Server IPdst : ???DHCP Requestsrc : 0.0.0.0 dst : DHCP Server IPDHCP Acksrc : DHCP Server IPdst : ???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안녕하세요 2계층과 4계층의 오류 제어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학습 범위를 넘어서는 개인적인 문의나 기타 회사 정책 및 운영에 대한 문의는 답변하지 않습니다.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2계층 장치인 스위치에서 프레임 전송 시 발생한 오류를 복원하거나 재전송한다고 하셨는데,4계층인 전송계층의 주요역할에도 오류 제어가 있어서혹시 그 둘의 오류 제어 차이점이 따로 있을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단편화 과정에서 패킷을 수신할 때 질문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TTL과 단편화 주제로 말씀하실 때 확인하고 싶은 과정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수신 라우터가 기존 패킷보다 MTU가 작을 경우 segmentation이 일어나고, 이를 다시 합치는 것은 수신하는 서버에서 한다고 하셨는데 이때 말씀처럼 IP 즉 L3에서 분할 된 패킷을 합치고 L4로 보내기 위해 TCP에서 IP 헤더를 제거한다음 socket의 버퍼에 넣어뒀다가 app으로 보내는 것을 TCP에서 segment를 다시 조립한다고 말씀하신 걸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DHCP 브로드캐스트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DHCP 브로드캐스트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DHCP 설정에는 기본적으로 4가지 단계가 존재한다.DHCP DiscoverDHCP OfferDHCP RequestDHCP Ack2번과 4번 과정에서 Flag 비트를 통해 Unicast or Broadcast 설정이 가능하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있는데, 유니캐스트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브로드캐스트도 제공하는 이유? 입니다.2번과 4번에서는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를 알고있기 때문에 1:1 통신인 유니캐스트를 통해 DHCP 서버 -> 클라이언트로 사용가능한 주소(IP, 게이트웨이, 서브넷 마스크 등)을 바로 전달하는게 효율적이지 않나요? 분명 이유가 있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도 지원하는 것 같은데... 이에 대해서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WAS의 정의?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현업에서 'WAS 하나 만들어 와.'라고 했을 때의 WAS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신입 3개월 차에 프로젝트에 투입이 되었는데 팀장님께서 A와 C 구간을 잇는 WAS를 하나 만들어 오라고 하셔서 Spring 기반으로 API 서비스를 만들어서 사이트에 구성되어 있던 B구간의 Jeus 서버에 올린 적이 있습니다. 저는 그래서 지금까지 WAS를 '서버+서비스'라고 생각해왔었는데.. WAS 자체는 Tomcat, JBoss, Jeus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서버 소프트웨어라고 정의되어 있더라구요.그런데 비즈니스 로직 처리나 DB 연동과 같은 범위까지 확장을 시키면 서버 위에 올린 서비스(ex. Spring 기반의 API 서비스)까지 포함시켜야 WAS로 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의문이 들어서요.. 현업 경험이 많지 않아서 흔히들 현업에서 'WAS를 만들어 오라고 했을 때'의 WAS의 범위는 서버 소프트웨어(Tomcat, JBoss..) 까지인지 아니면 서버에 올린 서비스(Tomcat + Spring 기반 서비스)까지 인지.. 궁금합니다. 만약 전자라면, 서버에 서비스까지 올렸을 경우 WAS로 서비스를 구현했다고 표현하는게 맞을까요?아니면 서버에 올린 서비스까지 포함해서 WAS라고 정의해도 괜찮은걸까요? 강의를 듣다 보니 그 때의 기억이 갑자기 생각이 났고 헷갈리기 시작했네요..ㅎㅎ이미 사이트에 서버가 구성되어 있었는데 팀장님이 만들라고 하셨던 WAS는 무엇이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