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4
답변 2
1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ao님.
단편화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네트워크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네트워크 구간 중간에 있는 라우터들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패킷 크기(MTU, Maximum Transmission Unit)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죠.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이 MTU의 제한을 초과하면 패킷이 조각(단편화)되어 송신되고, 이는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송신 측에서 패킷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경로 MTU 검색(Path MTU Discovery)‘라는 메커니즘을 사용해서 이루어집니다. 송신 측 장치는 목적지까지의 네트워크 경로 중 가장 낮은 MTU를 탐색하여 최적의 패킷 크기를 설정하게 됩니다. 이것은 ICMP 메시지와 조합하여 구현되며, 중간 경로에서 너무 큰 패킷을 보낼 경우 조각화 금지(DF, Don’t Fragment) 플래그가 설정된 상태로 보내어 MTU를 알아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관련해서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참고해 보실 수 있는 몇 가지 자료를 소개합니다:
“패킷을 다음 라우터로 넘길때 단편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MTU가 1500에서 1400이 되면 성능이 떨어지나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