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7-3 상속을 이용한 중복 제거 질문 있습니다!
7-3. 의존성 역전 원칙 - 추상화와 세부사항 13:43~수업을 듣던 도중 추상 클래스를 인터페이스와 함께 사용한 이유가 궁금해 질문드립니다.상속이 코드 재사용을 위해 그다지 좋은 방법이 아니라는(+ 자세한 내용은 뒤에서 더 자세히 살펴봄) 언급을 해주셨지만, 우선 여기서는 왜 이렇게 코드를 짰는지 궁금해 고민한 부분을 여쭤보고자 합니다. 인터페이스와 추상 클래스를 함께 사용하는 이유 1. 협력을 위해 제공하는 메시지를 확인하기 용이하기 때문인가요?해당 강의를 듣고나서 맨 처음 들었던 생각은, "추상 클래스로만 추상화를 한 뒤, 상위 수준 객체가 인터페이스 대신 추상 클래스를 의존하면 안될까?" 였습니다. 추상클래스를 사용하더라도 read()만 public이고 readLines()나 parse() 는 각각 private, protected 이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서 괜찮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더 고민해 보았는데,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면 코드를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어서 그런가? 라는 생각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상위 수준의 객체가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면 역할을 한 눈에 파악하기 쉽다.Reader 는 read()라는 메서드 시그니처로 "특정 데이터소스로부터 읽어오는 작업"을 수행한다. 라는 것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명시한다. 즉, "명세" 역할을 한다.이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해당 인터페이스만 읽고 구현체가 제공하는(또는 해야하는) 기능(public 메서드)들을 확인하기 용이하다. 즉, 역할을 한 눈에 파악하기 쉽다. 추상 클래스에 의존하면 역할을 한 눈에 파악하기 어렵다.AbstractReader는 메서드 시그니처 뿐만 아니라 중복 로직의 경우 구현 내용까지 포함하고 있고, 여러 메서드들 중 외부에서 협력하기 위해 pubilc으로 노출시켜 제공하는 기능을 한 눈에 파악하기 어렵다.위 두 가지 내용이 인터페이스를 추상클래스와 함께 사용하는 이유가 될 수 있을까요? 2. 두 public 메서드 중 하나는 중복 로직, 하나는 각 구현체마다 다르게 구현하는 경우에도 인터페이스와 추상클래스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1번에서 인터페이스와 추상클래스를 함께 사용한 이유로 언급했던 "역할을 한 눈에 파악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면, 두 메서드 모두 public일 때에도 추상클래스로만 구현하기 보다는 인터페이스와 추상클래스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2번 질문은 예시 코드를 드리자면 Spring Boot 개발환경에서 작업한 코드로 CaptchaHashProcessor 인터페이스에는 public 메서드인 hash() , verify() 두 메서드가 있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두 구현체에서 verify() 메서드가 중복되는 상황입니다. 기존 코드두 public 메서드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public interface CaptchaHashProcessor { HashResult hash(Long captchaId); Long verify(String hashedCode, Long userId); }구현체 1 - hash는 다르게 구현하나 verify는 구현체 2와 내용 동일public class RandomCaptchaHashProcessor implements CaptchaHashProcessor { private static final SecureRandom RANDOM = new SecureRandom(); private final Encryption encryption; private final CaptchaLogPort captchaLogPort; private final EncryptionProperties properties; @Override public HashResult hash(Long captchaId) { // 구현체마다 다름... } @Override public Long verify(String encryptedCode, Long userId) { // 중복 로직 ... } }구현체 2- hash는 다르게 구현하나 verify는 구현체 1과 내용 동일public class FixedCaptchaHashProcessor implements CaptchaHashProcessor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FIXED_IV = Base64.getEncoder().encodeToString(new byte[16]); private final Encryption encryption; private final CaptchaLogPort captchaLogPort; @Override public HashResult hash(Long captchaId) { // 구현체마다 다름... } @Override public Long verify(String hashedCode, Long userId) { // 중복 로직 ... } } 추상클래스 사용여기서 추상클래스로 verify 중복 로직을 이동시키면서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면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추상클래스 public abstract class AbstractCaptchaHashProcessor implements CaptchaHashProcessor { protected final Encryption encryption; private final CaptchaLogPort captchaLogPort; @Override public Long verify(String hashedCode, Long userId) { // 추상 클래스로 이동한 중복 로직 ... } }구현체 1public class RandomCaptchaHashProcessor extends AbstractCaptchaHashProcessor { private static final SecureRandom RANDOM = new SecureRandom(); private final EncryptionProperties properties; public RandomCaptchaHashProcessor(Encryption encryption, CaptchaLogPort captchaLogPort, EncryptionProperties properties) { super(encryption, captchaLogPort); this.properties = properties; } @Override public HashResult hash(Long captchaId) { // 구현체마다 다름 ... } }구현체 2public class FixedCaptchaHashProcessor extends AbstractCaptchaHashProcessor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FIXED_IV = Base64.getEncoder().encodeToString(new byte[16]); public FixedCaptchaHashProcessor(Encryption encryption, CaptchaLogPort captchaLogPort) { super(encryption, captchaLogPort); } @Override public HashResult hash(Long captchaId) { // 구현체마다 다름 ... } }이렇게 구현할 수 있을텐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hash 메서드까지 추상 클래스의 추상 메서드로 명시해서 상위 수준 클래스가 추상 클래스에 의존해도 될 것 같아서 고민이 됩니다! 이 질문을 작성하면서 다른 생각도 떠올랐는데요, CaptchaHashProcessor는 캡챠 코드를 암호화(hash)하고 캡챠 코드를 검증(verify)한다는 두 가지 책임을 가진 것 같아서 어쩌면 암호화 책임은 인터페이스와 그 구현체들로 제공하고, 검증 책임은 또다른 클래스에서 구현하는 것이 적절한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시고 긴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질문은 타인이 저에게 소중한 시간을 소비하는 것이라 생각해 강사님의 시간 낭비가 되지 않도록 영양가 있는 질문을 잘 하고싶습니다. 혹시나 질문의 내용 구성이나 태도, 질문을 이끌어낸 사고과정 등에서 부족한 부분이 보였다면 어떻게 개선하면 좋을지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모르면 승진 안되는 시스템 디자인
시니어엔지니어 지원
이정도 스콥만 어느정도 완전히 인지하면 시니어 레벨 엔지니어 시스템 디자인 인터뷰는 어느정도 커버 될까요?
-
해결됨실리콘밸리 빅테크 30개의 실전 시스템 디자인과 오픈소스 실무 기여 완성 코스
Blob Storage에서 파일 업로드에 대한 동시성을 어떻게 제어할 수 있을까요?
용량이 큰 파일의 binary를 기반으로 해시화해서 동시 업로드 할 경우 동일한 파일이 업로드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럴 경우 해결책이 있을까요?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함수형 스타일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제 꼭 함수형 언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요즘 언어들 대부분 함수형 언어의 아이디어나 장점들을 반영하는 트렌드인데, 회사에서도 코틀린을 사용 중이라 질문 드려봅니다.코틀린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하다 보면 함수형 스타일의 설계와 API들을 꽤 많이 보고 있기도 하고 특히 람다를 굉장히 많이 사용하는데 적절하게 람다나 함수형 스타일의 코드를 사용하는 기준이나 원칙들도 있으신지 궁금하네요.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값 객체 활용에 대해
안녕하세요. 항상 객체 지향의 본질을 가르쳐주시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실무에서 JPA를 사용할 때 값 객체 활용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RDB 기준 하나의 테이블에 매핑되는 경우말고, 값 객체를 별도의 테이블로 매핑해야될 경우에도 많이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Python을 위한 디자인 패턴
노션링크
conceptual_singleton.py강사님 싱글톤패턴 드롭다운 코드예시 9:25 이부분 코드 예시가 펼쳐져 있지않아서 볼수가없네요.팩토리패턴 예시도 강의영상에서는 펼쳐져있지않네요.노션링크를 보면서 학습해야할 것같은데 어디있는지 모르겠습니다 ㅠ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스스로 고민하고 답을 보지 않고 구현을 해보았는데요
# 1012 T = int(input()) dx = [0, 0, 1, -1] dy = [-1, 1, 0, 0] for _ in range(T): M, N, K = map(int, input().split()) graph = [[0] * M for i in range(N)] st = [] seen = set() # seen.add((0, 0)) for i in range(K): x, y = map(int, input().split()) graph[y][x] = 1 st.append([y, x]) cnt = 0 while st: cur = st.pop() for i in range(4): x = dx[i] + cur[0] y = dy[i] + cur[1] if not (0 <= x < N and 0 <= y < M): continue if (x, y) in seen: continue if graph[x][y] == 0: continue st.append([x, y]) seen.add((x, y)) if (cur[0], cur[1]) in seen: continue else: seen.add((cur[0], cur[1])) cnt +=1 print(cnt)값이 처음 구현 햇을때 제대로 안나오길래원래는 cur를 for i in range(4) 위에서 seen에 찍어줬었는데 -> 실패그래서 cur를 방점을 찍어주듯이 주변을 다 돌고 자신을 seen에 찍게 했더니 통과가 되서혹시 코드에 조언해주실 수 있는지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실례지만 여기에 후기 올립니다.
영호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객체지향적인 설계에 대한 근원이되는 내용에 관심이 많아영호님의 서적과 강좌를 자주 보게 되네요 본론시중에 나와 있는 서적과 강좌가 정말 잘 되어 있는 만큼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적용한 예제도 가끔 있으면 어떨까 합니다.생각보다 이 부분이 제 주변인들의 가려운 부분이었어요예를 들면스프링을 사용하는 가정하에 비즈니스 계층에 적용해야하는데,다형성이 필요한 서비스의 경우 "인터페이스 - 구현체" 로 구축시구현체들을 Spring Bean으로 사용할 경우, 컴파일 시 구체적인 구현체가 아니라 에러가 나는데이럴때는 구현체를 매핑해주는 팩토리를 생성해서 사용해야된다와 같은 다소 객체지향과는 동떨어지지만 소소한 설명이 언급되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아마 강좌나 서적을 보는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생각일 것 같습니다."이 부분을 만약에 업무에 적용시킨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나?" 대부분 이런 생각이지 않을까 해서 드린 말씀입니다.항상 고품질의 강좌와 서적을 위해 애써주시는 영호님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동일성과 동등성 설명이 바뀐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객체 비교에 대한 설명 중, ‘동일성(identity)’과 ‘동등성(equality)’의 개념이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용어와 다르게 설명된 부분이 있는 것 같아 확인 요청드립니다. 강의에서 설명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4-1, 4-2에서)속성 기반 ‘동일성(equality)’모든 변수가 동일한 객체 참조 -> ‘동등성(identical)’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동일성: 참조가 같다, identical, 메모리 상에서 같은 객체를 가리킴동등성: 값이 같다, equality, 서로 다른 객체여도 내용이 같다. 한 번 확인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인터페이스명이 변경된 걸까요??
Schedule 클래스는 RecurringPlan을 반환하는데, 갑자기 인터페이스명이 TemporalExpression으로 되어서 헷갈립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3-1 강의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을 드리게 되었는데요.3-1강의 1:00에서 데이터가 하나의 모듈 안에 모여있으면 코드를 수정하기가 어렵다고 하셨는데, 이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지금까지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서로 다른 모듈로 분리시킨 절차적인 방식에서 프로세스 로직을 데이터를 구현한 모듈로 이동시켜 하나의 모듈 안에 넣는 작업을 했는데, 이와 모순되는 것 같아서 혼동이 왔습니다.말씀하신 내용이 모든 로직과 데이터를 설계없이 하나의 모듈에 모두 넣은 경우를 말씀하시는 걸까요?감사합니다 :)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섹션 6 사전문제 3번문제 답안이 틀린것 같아요
1번문제 예시 답안에 답안 코드가 없구요3번문제 답안도 문제 수열 (3, 6, 13, 28, 59, ...)과 안맞는데점화식이 a(n) = a(n-1)*2 + (n-2)가 되야 수열과 맞는데 확인 부탁드려요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player 내부에 worldmap
player 내부에 worldmap이 있는 것은 좀 어색하다고 느껴지는데 game에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책 두권 다 읽어봐야 할까요?
강의를 이해하기 위하여 책 두권 다 읽어봐야 할까요?
-
미해결시스템 디자인 첫걸음: 면접에서 돋보이는 백엔드 아키텍처 설계하기
멱등성. '같은 요청'의 기준?
같은 요청이 여러 번 들어와도 한 번만 처리하는 것. 여러 번의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이 요청이 '같은 요청' 이라는 것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을까요?예를 들어 똑같은 점포의 똑같은 POS에서 똑같은 액수의 포인트 적립/사용이 두 번 들어왔을 때,이 두 요청이 각자 다른 요청인지? 클라이언트 단의 문제로 인해 같은 요청을 두 번 보낸 것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걸까요?두 요청의 도착 시간 간격이 매우 짧을 때-> 일반적인 상황에서 같은 동작이라고 판단할 수야 있겠지만.. 매우 빠르게 요청을 계속해서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면?도메인 특성에 따라 같은 요청임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나 상황이 달라지기야 하겠지만 정확하게 보장 받을 수 있는 기준은 존재하기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실제 사례를 통해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는 게 있을까요?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9-6 순환참조인거 같은데..
이 코드에서 Game은 GameLoop만 알지만Cui, Gui는 GampLoop와 Game을 동시에 알죠.즉 Gamp과 Cui, Gui은 쌍방향 참조로 봐야하지 않을까요. 실제 Game을 수정하면(exe로 메소드명을 바꾼다던가) Gui, Cui도 수정해야하니까요.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8-5 오타
astractreader인데...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7-5 자막오타
parser..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7-5 자막오타
parser..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7-3 AbstractReader에 대해
이 그림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도출되는 과정의 문제인데요.과정을 보면JsonReader와 CsvReader의 코드를 관찰한다.공통점을 발견한다.상위모듈에 그 공통점을 기술한다.이렇게 했단 말이죠.헌데 이건 하위모듈의 구현상의 공통점으로 xml리더나 html리더를 만들 때도 그 공통점이 일어난다고 보장할 수는 없을 거에요. 특히 이 코드는 전적으로 로컬파일시스템에서 읽을 때나 readLines가 일치하지 원격파일 리소스에서 읽어 들일 때는 그렇지도 않죠.즉 하위 구현에서 얼마든지 공통점은 달라질 수 있는데 그걸 단단한 상위모듈에 모아서 정의해도 되냐는 것입니다. 저는 인터페이스까지는 몰라도 추상클래스는 하위모듈에 있어야한다고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