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4
0
안녕하세요. 영한님
현대적인 설계는 대리키를 PK 로 두라고 하셨습니다.
그 이유는 성능적인 측면으로 봤을때 자연키를 PK 로 두면 중간삽입이 자주 발생하여 페이지 단편화가 발생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대리키로 AUTO-INCREMENT 를 주로 사용하시던데 일자-순번을 대리키로 사용해도 되나요? 등록된 일자와 그 일자의 순서에 따른 순번으로 PK 를 따는것도 괜찮은 방법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backendman님.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현대적인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는 대리키(surrogate key)를 PK로 두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됩니다. 그 이유는 대리키가 비즈니스 로직과 독립적이고, 시스템 내부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흔히 사용하는 대리키는 AUTO-INCREMENT와 같은 방법입니다.
그럼, ‘일자-순번’을 대리키로 사용해도 될까요? 이 방식도 가능한 대리키로 사용될 수 있지만, 몇 가지 고려사항이 있습니다:
변경 가능성: 일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면, 데이터 무결성 유지가 어렵습니다. PK는 변하지 않는 값이어야 합니다.
순번 관리: 각 날짜에 대한 고유의 순번을 관리해야 하므로, 관리 복잡도가 약간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능 저하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관성: 다른 시스템과의 통합에서 일자-순번 방식은 혼선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같은 질문 혹은 유사한 주제로 다뤄진 게시글을 참고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들은 대리키 및 PK를 설계할 때의 참고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케이스를 보시고 본인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