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실무에서도 외래 키를 쓸수 있지만 쓰지 않는 경우?
실무에서도 외래 키(Foreign Key)를 쓸수 있는 상황이지만특별히 쓰지않고 처리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예를 들어 시스템 초기에 보다 유연한 설계를 위해?데이터 보전을 위해? 아니면 쓸수 있으면 최대한 쓰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조건 제약 처리 부분 질의
안녕하세요.섹션 8에서 장바구니에 주문을 생성할 때 같은 상품이 중복으로 생성되게 하지 않게 제약 조건을 걸었는데실무에서는 쿼리에서 제약 조건을 거는 지아니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없을 때 추가- 있을 경우 수량 증가와 같이 아니면 비즈니스 로직에서만 처리 하는 지어떤 케이스나 어느 비율로 적용하는 사례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array 등
안녕하세요 데이터분석가로 근무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array 등과 같은 기능이 저는 다소 생소한데 자주 쓰는 문법인지 궁금합니다ㅣ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58. 인덱스와 정렬]을 듣다가 질문입니다.
database mysql을 사용하다가 질문드립니다create index idx_items_stock_quantity on items(stock_quantity);이렇게 인덱스를 생성하고 order by를 다음과 같이 stock_quantity를 기준으로 한다면,explain select * from items order by stock_quantity;이렇게 실행계획을 보면 이 쿼리의 type이 적어도 ALL로 나오진 않을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냥 인덱스를 stock_quantity를 기준으로 생성하면 알아서 정렬이 되어 있을 거니까요. 그런데, 실제로 확인해보니까 type이 ALL로 나옵니다. 왜 그런걸까요?(by Claude Sonnet 4.5) select *의 경우 1. stock_quantity 인덱스를 활용한 랜덤 I/O를 하는 경우2.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쭉 읽는 순차 I/O를 하는 경우이 두 경우 중 옵티마이저가 2번째 방법을 활용해서 그렇다고 합니다. 그냥 이렇게 알고 있으면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컬럼 분리관련
강의중 로직이 복잡해지면, 테이블에서 관련 컬럼들을 다시 분리해야 하는날이 올 수 있다고하셨는데컬럼을 다시 분리해야 할 때, 실무에서는 어떤 절차로 나누는지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에는 어떤 게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외래키를 실무에서 거는게 좋을까요?
외래키 제약조건을 통해 보다 정확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하지만 실무에서는 외래키로 인해서 데드락이 발생하는 케이스가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외래키로 인해 운영 상에서 제약조건을 잠시 해제해야된다던가 하는 경우가 발생할 것 같은데, 실무에서도 외래키를 주로 걸고 운영할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두개 이상의 테이블을 조인할때 인덱스 질문이 있습니다.
두개 이상의 테이블을 조인 할 때 서로 다른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로 ORDER BY 정렬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것 같은데 이런 경우에는 인덱스를 어떻게 생성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파일을 만드는 단위가 궁금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보니 db 파일들은 히스토리가 어떻게 관리되고 어떤 단위로 파일을 나누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실무에서 SQLP 자격증의 유효성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김영한 지식공유자님.현재 자바개발 2년차 개발자입니다.자바와 DB공부를 병행하고 있습니다.자바와 스프링 공부 vs SQLP 공부로 고민을 한다면,자바와 스프링 공부보다 SQLP를 따기위한 노력에 가중치 높이는게 좋은 선택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UPDATE, DELETE 시 대리키, 자연키 활용 여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의 강의를 2회독하며 궁금한 것들이 어느정도 정리가 되어 질문 드립니다.제가 SI에 있어서 그런건지 혹은 프로젝트? 운이 없어서인지 차세대를 하더라도 돌이켜보면 경험했던 실무에서는 늘 자연키를 PK로 사용 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UPDATE, DELETE등 데이터를 핸들링 할 때에도 늘 PK(자연키)를 전부 들고다니며 사용 했었는데대리키를 PK로 사용할 경우에는 PK도 항상 같이 다른 데이터 들과 함께 객체등에 담는지.. 혹은 데이터를 갱신 할 때에만 자연키들로 따로 pk를 조회 한 후 사용하는지 아니면 unique 조건이 걸린 자연키들로만 갱신을 하는지 궁금해서요 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입문 - 모든 IT인을 위한 SQL 첫걸음(SQL부터 차근차근)
mysql 버전
mysql 커뮤니티버전과 사용버전의 차이가 크게 없는건가요?
-
미해결JPA (ORM) 개발자를 위한 고성능 SQL (High-Performance SQL)
강의 질문 - JSON 관련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진행해 주셔서 감사합니다.강의 수강 중 JSON 관련하여 의견을 여쭤보고 싶은 내용이 있습니다.기존 RDB를 통해 JSON 데이터를 저장하면 기존 데이터와 연계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다만, 성능을 고려하면 MongoDB와 같은 NoSQL DB를 도입하는 것이 좋은 상황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특정한 상황마다 어떤 방식으로 시스템 인프라를 운영하는게 좋을지판단하시는 기준이나 방법 또는 노하우가 있으실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MySQL은 실무에서 사용하는 케이스도 있을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MySQL은 학습용으로는 많이 사용하는데, 실무에서도 MySQL을 쓰는 회사가 있을까요?만약 그렇지 않다면 어떤 이유에서 쓰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자연 키를 PK로 써도 되는 예외 조건!
안녕하세요!현대적인 설계에서는 대부분 자연 키가 아닌 대리 키를 기본 키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하셨는데요.그렇다면 혹시 자연 키를 기본 키로 사용해도 괜찮은 예외적인 상황이 있을까요?예를 들어, 변경 가능성이 거의 없는 코드성 데이터나 표준화된 식별자(예: ISO 코드, 통화 코드 등) 같은 경우에도 무조건 대리 키를 추가하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자연 키를 PK로 두어도 실무적으로 문제가 없는 기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JOIN 방향에 따른 결과 행수와 효율적 데이터 조회 방법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데이터를 효율적으로 JOIN 하여 어떻게 가져올지에 대한 방안에 대해 고민하던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며 JOIN 시 결과 행수 차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이해했습니다.부모 테이블에서 자식 테이블로 JOIN할 경우→ 결과 행수가 부모 기준으로 유지된다.자식 테이블에서 부모 테이블로 JOIN할 경우→ 결과 행수가 자식 행수에 따라 크게 늘어날 수 있다.그렇다면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어떻게 처리하는 게 효율적일지 궁금합니다. 강의 상세 페이지처럼 여러 유형의 데이터를 한 번에 가져와야 하는 경우> 예시) 강의 정보, 강사 정보, 강의 평점, 강의 리뷰 등부모 테이블(강의)에서 자식 테이블(강사 정보, 강의 평점)로 JOIN할 때, 결과 행수가 부모 테이블 기준으로 유지되거나 크게 늘어나지 않는 상황에서는 한 번의 쿼리로 모든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까요 ?반대로, 강의 리뷰처럼 자식 테이블의 데이터가 많아져서 결과 행수가 급격히 늘어날 경우에는 리뷰 데이터만 별도의 쿼리 또는 API로 분리해서 조회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지 궁금합니다.결국, 관계 방향과 데이터 양에 따라 결과 행수가 크게 늘어나지 않는 JOIN까지만 한 번에 처리하고,행수가 많아지는 데이터(예: 리뷰)는 별도로 쿼리하거나 API를 분리하는 전략이 좋을지, 그리고 쿼리/API 분리 기준을 어떻게 결정하는게 좋을지 설명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2025] 비전공자도 한 번에 합격하는 SQLD 올인원
SQLD 자격증
안녕하세요 SQLD 개발자 자격증을 취득하면 빅데이터분석 자격증을 취득하는데에 도움이 될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데이터베이스의 컬럼명과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일치성
데이터베이스의 컬럼명과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일치성을 가져가는게 가독성면에서 좋다고 생각하는데..모든 컬럼이 앱 코드와 일치되어야하는건 또 아닐거같아서요. e.g) 앱 코드에서는 필드를 두개로 나눌수도 있지만 데이터베이스 컬럼에서는 하나의 컬럼으로 가져가는 경우도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인덱스 설계와 실제 운영의 관계
혹시 테스트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를 설계하고, EXPLAIN을 통해 점검도 했는데, 실제 서비스 운영에서는 정작 풀 테이블 스캔 결과가 더 빠른 경우가 존재할 수도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수업 자료 만드는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만들어주신 수업 자료 덕분에 수월하게 복습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수업자료를 만드시는 과정과 도구가 궁금합니다. (이미지도 전부 직접 만드시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실행 계획 공부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 실무에서 SQL 실행 속도가 느릴 때 실행 계획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실행 계획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보니 좀 더 깊이 있게 공부해보고 싶습니다.혹시 추천해주실 만한 자료나 책이 있을까요?또한, 강사님께서는 실행 계획을 어떻게 공부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