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redis 기본
redis 개발 환경 수정 시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일반적은 DB는 운영되고 있는 것은 개발로 구성할 때 운영에 사용되는 테이블을 백업 받아 개발로 이동시켜 테이블들을 구성합니다. redis도 위와 같은 작업을 해야 되는 건가요?
-
해결됨코딩 없이 AI 자동화 전문가가 되는 법, n8n 완벽 가이드
챗이 반응하지 않음
강의를 보면서 화면과 같이 구성후 구성된 PC 외 다른 PC에서 챗을 입력해보았으나, 응답이 없습니다. 워크플로우를 보면 인입된 정보가 없는것 같은데, 어떤게 문제일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D 불 코드 질문합니
안녕하세요 큰돌님. 제가 강의 보기 전에 짰던 코드인데 각각의 bfs 를 번갈아 가면서 시도하는 코드입니다. 메모리 초과 오류가 납니다.http://boj.kr/83dab6d47b9a4dc7b6270cd88a755aea 벽은 불에 안타는 조건인지 제 생각은 불이 여러 개 주어진 경우, 그 불 간의 최단 시간으로 배열을 바꿔야 할 거 같은데 이런 경우는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사용자 입력값으로 input 수정시 문자열을 date객체로 바꾸는 이유
const getStringedDate = (targetDate) => { let year = targetDate.getFullYear(); let month = targetDate.getMonth() + 1; let date = targetDate.getDate(); if (month < 10) { month = `0${month}`; } if (date < 10) { date = `0${date}`; } return `${year}-${month}-${date}`; };초기값 설정 할 때 input 태그가 date 객체를 해석하지 못해서 위의 getStringedDate() 함수로 문자열로 변환하여 value 속성으로 넣어줘야 한다고 하셨는데요,사용자 입력값을 넣을 때는 input을 수정하면 문자열로 들어가기 때문에 다시 date 객체로 바꿔주는 함수를 새로 사용해야 하던데<input name="createdDate" onChange={onChangeInput} value={getStringedDate(input.createdDate)} type="date" />이미 여기서 getStringedDate()로 객체에서 문자열 변환하는 함수를 사용해서 값을 나타내야하기 때문에 onChangeInput()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건가요?이 흐름이 맞는 거 같긴한데 왠지 좀 번거로운거 같아서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해서요 참고로 섹션13 12.14)강의의10:22 부분을 듣고 생긴 질문입니다!
-
미해결[2025년 최신 기출 반영] 빅데이터 분석 기사 실기 시험 100% 합격 ! 기출 문제의 패턴이 보인다 !
빅분기 실기 시험 6회 기출 유형, 작업형3
chi2_contingency 로 푸셨는데 이게 맞는가요?chisquare는 적합도 검정이라 단일 표본의 관찰 빈도가 기대 빈도와 일치하는지 볼 때 주로 쓰고, chi2_contingency는 두 개 이상의 범주형 변수가 서로 관련이 있는지, 즉 두 변수 간의 독립성을 검정할 때 사용하므로 chisquare가 맞는 거 같은데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3유형 1-3번 p-value의 경우 반올림 명시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p-value 값을 구할때, 반올림하거나 정수를 구하라 이런말 없으면 그냥 카이제곱검정했을 때 나온 소숫점 자리수 전부 다 입력해야하나요? 하나라도 빠지면 틀리는걸까요? 자리수 명시가 명확하지않는경우도 있나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Project URL와 Repository URL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젠킨스 파이프라인 기본 구성 및 배포 세분화 강의를 보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강의 영상의 8분 25초쯤을 보시면, Github project에 Project url을 지정하는 곳이 보입니다.그리고, 9분쯤에 Repository URL이라는 부분도 보입니다. 이 두 속성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Project URL의 경우 해당 Repo가 Private일 경우 Jenkins에서 접근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명세의 개념이라고 생각했습니다.반대로, 실제로 Project 소스를 가져오기 위해 참조되는 것은 Credentials 속성을 가지고 있는 Repository URL일 것이구요. 혹시나,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len과 sum
10분 4초에서 합동분산추정량을 구할 때 자유도는 sum을 쓰시고그 전 1번 문제에서 자유도를 구하실 때는 len으로 하셨는데, 차이가 있을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1유형, 3유형 답안 제출
1유형이랑 3유형에서 소문제가 여러 개 있을 때 답을 하나씩 옮겨적는다고 하면 문제 1-1 답안 적고 1-2 답 확인하러 코드로 넘어가면 1-1 답안 유지되나요 아니면 사라지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회귀모델 평가지표
분류모델의 경우 평가값이 0.9언저리면 괜찮은것으로 알고 있는데회귀모델의 경우 평가지표 값이 r2같은것 제외하고는mae,rmse등은 낮은것이 좋은것으로 알고있습니다근데 평균의 10%이하 정도 보통 좋은것으로 알고있는데 어떤값이 좋은지 어떻게 비교할수 있나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교재 576페이지 : S3의 버킷을 AWS에서 찾을 수가 없음
위 이미지는 교재 376페이지의 상단 부분입니다.testUpload()를 실행시켰더니 "Tests Passed:"라는 메시지와 함께 실행성공되었습니다.그런데, 위 이미지에 나와있는, "S3의 버킷"을 AWS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 지 모르겠습니다.아래 이미지는 나의 AWS S3 버킷 부분입니다.
-
미해결
사후검정에 대해서는 출제될 가능성을 어떻게 보실지요?
분산분석을 공부하다보니 사후검정이라는 것도 있던데 혹시 r이랑 차이가 나서 안나올 가능성이 있을지..간혹 강의에서 R과 결과값이 다른건 출제되지 않을거라고 하셔서요
-
미해결Vue.js 중급 강좌 - 웹앱 제작으로 배워보는 Vue.js, ES6, Vuex
Chrome 개발자 모드 확장이 안됨
Vue 3 시작하기 강의에서 알려주신 legacy 버전 설치해도 개발자 모드에서 vue 탭이 안보이고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
미해결
[해결] Kafka Connect 실행이 안됨
에러내용$ ./bin/connect-distributed ./etc/kafka/connect-distributed.properties Error: Could not find or load main class org.apache.kafka.connect.cli.ConnectDistributed Caused by: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org.apache.kafka.connect.cli.ConnectDistributed 해결./bin/windows/connect-distributed.bat 수정rem Log4j settings의 하위 내용 변경 (경로 변경)%BASE_DIR%/etc/kafka/connect-log4j.properties실행 명령어./bin/windows/connect-distributed.bat ./etc/kafka/connect-distributed.properties 원인window 에선 windows 폴더 내의 것들을 실행해야했는데 한참을 뻘짓함...
-
미해결[유니티 레벨 업!] 모듈식으로 개발하는 퀘스트&업적 시스템
Quest System의 확장성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Quest System을 보고 참고하면서 구현을 하다가 확장성과 유연성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의견을 물어보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Quest의 경우 다양한 조건이 있을 수 있는데예를 들면, 제한 시간 안에 clear를 했는가, 특정 스킬을 사용하지 않았는가, 특정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로 완료했는가 등등 이런 경우에 가능하면 관리하기 쉬우면서 의존성도 낮추는 방향으로 계속 고민해 보고 있는데 어떤 방식으로 구현하는 게 좋을까요??해봤을 때 Task 단위로 요구사항이 달라지니 Task에서 event를 연결하는게 직관적이긴한데 너무 하드코딩 방식인 것 같고(하드 코딩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고 필요하면 해야 겠지만 좀 더 좋은 방법이 있을 것 같아서 일단은 스킵하고 찾아보고 있습니다), Event Hub 같은 기능을 만들어서 관리해보려고도 해봤는데 DynamicInvoke나 object를 쓰게 되서 프레임마다 update하는 경우도 생기는데 성능이 부담되는 것 같습니다..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cqrs 명령 아키텍처 개선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제가 이해가 잘 안된걸 수 있어서 확인차 질문 드립니다!var executor = new RegisterProductCommandExecutor(productRepository::save); executor.execute(command, uuid, sellerId);명령 조회를 개선하면 RegisterProductCommandExecutor 라는 실행기를 만들어서 execute 로 실행하는 동작으로 이 구조를 pdf 자료에서 확인하면궁금한점이명령모델이 new RegisterProductCommandExecutor(productRepository::save); 로 실행기를 만들면 명령모델이 실행기를 만들면서 productRepository 라는 기반구조에 의존하고 있는거 아닌가요? 구조자체에서 보면 명령실행기는 execute 를 통해서 실행기가 참조하는 기반구조 기능을 실행하는 건 직접 의존하지 않아서 자유도가 높아보인다? 라는 생각이드는데요, 실행기를 만들때 명령모델은ProductRepository 를 알아야할 것같아서 의미가 없어보입니다.실행기를 만들때 실행기 자체가 bean으로 등록이 되고 실행기 bean 안에서 ProductRepository 를 스프링에서 주입받고, 실행기를 만드는 명령 모델은 실행기만 주입받고 파라미터로 repository 를 넘겨도 되지 않으니 이게 정말 의존하지않는 구조같은데요.(제가 말한 (2) 방식이라면) 이이렇게 되면 그냥 돌고돌아서 결국엔 처음 방식인 Product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추상화 되어있으니) 그냥 바로 빈을 주입받는 것이랑 별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조회도 역시 이런생각이 들었습니다. 명령과 조회를 분리한다는 개념은 이해가 갈거같은데 각 명령과 조회 모델이 기반구조에 의존? 한다는 개념을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제가 만든 폴더와 c++파일이 콘텐츠 브라우저에도 표기되지 않고
ABGameMode도 선택했고 코드에서 플레이어 컨트롤러도 제대로 바꿨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떴습니다Couldn't spawn player: Failed to spawn player controller그래서 계속 문제를 붙잡고 씨름하다가 엔진을 껐다가 켜니까 이젠 아예 게임 모드가 없어졌네요 일단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어서 다시 해볼생각이긴 한데 이게 왜 이런건지 모르겠네요
-
해결됨블렌더 지오메트리 노드 클래스 Part 1
도넛을 z축으로 위 아래 그라데이션 선택 하고 싶은데 방법이 있나요
저는 도넛의 노이즈 텍스쳐가 위는 과하게 들어가고, 아랫부분은 덜들어갔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걸 컬러 램프를 통해 제어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어서 도움 요청드립니다.
-
해결됨실전! Django 입문 [최신 5.2 버전]
가상환경 확인
가상환경을 맞추는 작업(확인)을 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3회 작업형2
혹시 수치형과 범주형데이터를 분리했다가 합치지 말고,바로 원핫인코딩을 진행해서 해도 괜찮을까요?또, max_depth도 꼭 필요한지, 어디서 적용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