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60
0
저는 도넛의 노이즈 텍스쳐가
위는 과하게 들어가고, 아랫부분은 덜들어갔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걸 컬러 램프를 통해 제어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어서 도움 요청드립니다.
답변 3
1
네, 도넛의 노이즈 텍스쳐가 윗부분은 과하게 들어가고, 아랫부분은 덜 들어가도록 제어하려면 기본적으로 UV 좌표가 있어야합니다. 두개의 커브를 활용해서 curve to mesh 노드를 통해 도넛의 기본형을 만들 경우, 커브 각각(ex. Profile curve를 u로, sweep path curve를 v로)의 spline parameter node를 활용해서 uv 좌표를 지정해주는 방식으로 진행하게되면 color ramp노드를 활용해서 그라디언트 효과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말씀드린 내용을 가장 기초적으로 구현한 노드 트리 이미지를 첨부해드립니다. 한번 살펴보시면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 있으시면 한번 더 문의해주세요.
0
해당 노드를 통해서 Z축 기준 선택영역을 얻을 수 있었는데요. 해당 선택영역이 저는 그라디언트 느낌으로 자연스럽게 배치되길 원하는데 너무 칼같이 떨어지는 것 같아 해당 부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방법 있는지 궁금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a Nyu님.
도넛의 노이즈 텍스처를 위쪽은 강하게, 아래쪽은 약하게 적용하고 이를 컬러 램프를 통해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
노드 구조 설정하기:
Noise Texture
노드를 추가합니다. 이는 도넛 표면에 무작위 텍스처 패턴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Texture Coordinate
노드를 추가하고, Object 출력을 Noise Texture의 Vector 입력에 연결합니다. 이로써 노이즈 텍스처가 전체 오브젝트에 대해 작동하도록 합니다.그라데이션 설정하기:
Separate XYZ
노드를 사용하여 도넛의 Z축(높이 방향) 정보를 얻어보세요. 이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만드는 데 유용합니다.ColorRamp
노드를 추가하고, Separate XYZ 노드의 Z 출력을 ColorRamp의 Fac 입력에 연결합니다. 이로써 상하 그라데이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노이즈 텍스처와 결합하기:
위 설명을 바탕으로 노드를 연결해 보시면, 도넛의 상하 위치에 따른 노이즈 강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관련된 블렌더 텍스처 그라데이션 조절 방법을 참고하시면 추가 팁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지금 구성해놓으신 노드 트리안에서는 blur Attribute node를 추가하는 것이 경계면을 부드럽게 처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teration 값과 Weight 값을 통해 부드럽게 처리하는 정도를 지정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