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모의해킹 실무자가 알려주는, SQL Injection 공격 기법과 시큐어 코딩 : PART 1
PHP 기갑 게시판 설치에서 오라클 게시판 오류
DBeaver에서 어찌어찌 테이블을 만든 후 그 뒤에 진행을 했는데 mysql과 mssql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oracle만 되지 않습니다.어떤 문제가 있는건가요?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배포 시 테스트 코드가 돌아갈때 사용하게 될 RDB 셋팅에 관하여..
안녕하세요.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도움이 많이 되어서 수강평은 나중에 꼼꼼히 작성해볼 생각입니다~!====================== 바쁘시면 이 부분만 읽으셔도 됩니다. ============= 배포 시 jenkins server에서 실제 서버에 배포할때 테스트가 돌아갈텐데jenkins server에 compose를 통해 작동 하게 될mysql에 DB schema insert 작업을 해서동일하게 구조를 맞추고 테스트가 돌아가게 하는 게 좋은 생각일 까요?=========================================================== [세부 사항] 일단 테스트 코드가 local mysql에서 돌아가는 걸로 이해 했습니다. 배포 시 jenkins server에서 실제 서버에 배포할때 테스트가 돌아갈텐데jenkins server에 compose를 통해 작동 하게 될mysql에 DB schema insert 작업을 해서동일하게 구조를 맞추고 테스트가 돌아가게 하는 게 좋은 생각일 까요?현재 아직 jenkins 배포를 하고 있지는 않고 소스코드 개발중이라머리속으로만 생각하는 상태입니다. 토비님 의견은 어떠신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예외 테스트시에는 JUnit의 메서드를 사용한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맥락]영상: 06:35 ~pdf: 4.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pdf - p.7 제일 윗부분 - void findBeanByNameX()[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이전에 isEqualTo()와 isInstanceOf() 에서는 AssertJ 메서드를 사용하셨는데요.예외 테스트시에는 JUnit5의 메서드를 사용하시더라고요.AssertJ에도 assertThatThrownBy() 등의 예외 검증 메서드가 있는데, 왜 예외 테스트시에만 JUnit5를 사용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둘 중 하나만 사용한다면 취향차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둘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 assert를 위한 라이브러리가 두 종류로 나뉘게 되어 혼란스러울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외 검증시에는 JUnit5의 메서드가 좋다'는 이유 등으로 선택된 것인지 궁금합니다.)대부분의 검증의 경우에는 AssertJ의 메서드가 더 직관적이지만, 예외 검증의 경우에는 JUnit5가 더 직관적이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성능적으로 더 우수한 측면이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well-known/appspecific/com.chrome.devtools.json 에러에 대해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안녕하세요. 영한님,수업을 듣다가 F12 개발자 도구를 켜놓고 실행하고 있었는데 콘솔 창에 아래와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개발자 도구를 끄면 안 뜨더라구요. 만약 현업에서 사용한다면 이걸 따로 처리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public class WellKnownServlet implements HttpServlet 이런식으로요.------------------------------------------was.httpserver.PageNotFoundException: request url= /.well-known/appspecific/com.chrome.devtools.jsonat was.httpserver.ServletManager.execute(ServletManager.java:41)at was.httpserver.HttpRequestHandler.process(HttpRequestHandler.java:39)at was.httpserver.HttpRequestHandler.run(HttpRequestHandler.java:24)at java.base/java.util.concurrent.Executors$RunnableAdapter.call(Executors.java:572)at java.base/java.util.concurrent.FutureTask.run(FutureTask.java:317)at java.base/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44)at java.base/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42)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1583)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PDF 다운로드 어디서 할수있나요
PDF 다운로드 어디서 할수있나요
-
해결됨Claude + IntelliJ로 TodoList 개발하기 - MCP 완전 정복
inteliJ 와 연결은 되었는데 , Session Out이 자주 발생합니다..
강의를 잘듣고 inteliJ 와 잘 연결을 했는데,한두번 검색하면, 1) 서버 연결이 닫히거나, 혹은 2) 세션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뜹니다 그 이후부터는 클로드코드를 다시 켜야하고, 보통 1~2회만 쓰다가 문제가 생겨버리니까 실제로 사용하는데 큰 제약이 되더라구요..혹시 jet brains가 MCP 호환성이 아직 안좋은건가요, 아니면 저에게만 발생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1) 에러2025-09-01T08:35:58.425Z [jetbrains] [info] Server transport closed unexpectedly, this is likely due to the process exiting early. If you are developing this MCP server you can add output to stderr (i.e. console.error('...') in JavaScript, print('...', file=sys.stderr) in python) and it will appear in this log. { metadata: undefined }2025-09-01T08:35:58.426Z [jetbrains] [error] Server disconnected. For troubleshooting guidance, please visit our [debugging documentation](https://modelcontextprotocol.io/docs/tools/debugging) { metadata: { context: 'connection', stack: undefined } }2025-09-01T08:35:58.438Z [jetbrains] [info] Server transport closed { metadata: undefined }2025-09-01T08:35:58.438Z [jetbrains] [info] Client transport closed { metadata: undefined } 2) 에러 2025-09-01T08:32:27.369Z [jetbrains] [info] Message from client: {"jsonrpc":"2.0","method":"notifications/cancelled","params":{"requestId":11,"reason":"McpError: MCP error -32001: Request timed out"}} { metadata: undefined }Error in Socket: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Error POSTing to endpoint (HTTP 404 Not Found): Session not foundError in StdIO: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Error POSTing to endpoint (HTTP 404 Not Found): Session not found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D 맞왜틀팁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저는 3-D (4179)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풀었어요.불이 확산되는 속도 vs 사람이 빠져나가는 속도를 비교한게 아니라, 매 loop마다 불을 먼저 확산시키고, 그다음 사람을 움직여보면서 탈출 가능여부를 체크했어요.또한, index를 0이 아닌 1부터 사용하도록 구현해두어 그에 맞게 조건문들도 구현해두었고요.제가 만든 테스트 케이스, gpt가 만들어준 테스트 케이스는 전부 통과하는데 백준에서는 계속 틀렸다고 나오네요. 어떤 테스트 케이스에서 걸리는건지 도통 모르겠는데, 도와주실 수 있으신가요?http://boj.kr/fafb46e051fc462fb1c2e8c1f12c403f
-
해결됨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tax_with_markdown 파일 내용 오류
안녕하세요:)퀄리티 높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습을 따라하면서 제 소득세 답변과 병진님의 소득세 답변이 달라서 (금액이 다름) 왜 그런가 이유를 찾아보았는데요. 올려주신 tax_with_markdown.docx 자료에서 기존 이미지의 금액과 다른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아래 빨간색 박스) 기존 이미지의 금액으로 변경해서 다시 pinecone에 index 올린 후에 채팅을 하니까 그제서야 병진님과의 답변과 똑같아졌네요! 자료 파일 다시 한번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21강의 DUT 질문 있습니다.
21장 코드의 case문을 보면 c_state를 아래 정의한 case들과 비교해 각각의 명령을 실행하는 것인데 여기서 S_DONE일 경우 n_state를 S_IDLE로 바꿉니다. 근데 왜 wave form에서는 바로 바뀌지 않고, 1cycle 정도 후에 바뀌나요?또 여기서 1cycle은 어떤 것을 의미하나요? 감사합니다.always (c_state or i_run or is_done) begin n_state = S_IDLE; case (c_state) S_IDLE : if (i_run == 1) n_state = S_RUN; S_RUN : if (is_done == 1) n_state = S_DONE; S_DONE : n_state = S_IDLE; endcase end
-
미해결바로 써먹는 GA4 실무리포트(2025)
퍼널리포트 실습3 11분33초
구매 재방문자 10시간 47분의미가3.결제진입에서 구매까지 10시간47분의미인지제품보기에서(첫퍼널) 10시간47분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연습으로 익히는 고급 타입스크립트 기술
행운문제 닉네임 등록 요청드립니다
leo3179위 닉네임 등록요청합니다
-
미해결바로 써먹는 GA4 실무리포트(2025)
퍼널리포트 실습3 강의 5분0초
세그먼트 일시적제외가 아니라 완전히 제외해야하는거아닌가요?
-
미해결
강의 업데이트가 되어있나요?
강의자료나 영상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있는 강의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테스트코드 메서드명 한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영한님 안녕하세요.테스트 코드 작성하실때 메서드명을 한글로 기재하시던데 실제 실무에서 테스트 코드 작성하실때도 한글로 작성하셨었나요?
-
미해결바로 써먹는 GA4 실무리포트(2025)
퍼널리포트 실습2, 8분
핑크색 사각형안의 다음액션 상위5개 부분 해석어떻게해요?장바구니 추가에서 view cart로 이동이 전월대비 48.2%감소했다는건가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이렇게 3단분리를 할때 처음부터 코드를 작성할때 이렇게 3가지 역할을 분리해서 각각 구현해야지! 라고 다 미리 설정해두고 코드를 짜는건가요 아니면 controller 에 일단 다 구현해놓고 그다음 분리해서 구현하는건가요?? 전자면 미리 생각하게 많아 뭔가 복잡해보여서요 ㅜ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도전! 45가지 파이썬 기초 문법 실습 (Inflearn Original)
아나콘다 설치 시 오류가 뜨면서 인스톨이 끝까지 안 되네요...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알려주신 방법대로 아나콘다를 설치하였는데, 인스톨 하는 과정에서 자꾸 캡쳐 사진처럼 에러가 뜹니다...ㅠㅠ '무시' 버튼을 눌러 진행을 하였더니 완료는 되었는데... 주피터 노트북도 그렇고 전체적으로 제대로 깔리지 않은 것 같아서요ㅠ 재설치를 진행하였지만, 역시나 캡쳐 사진처럼 계속 저 페이지가 뜹니다... 제 노트북에 파이썬과 vs코드가 이미 깔려 있어서 그런 걸까요? 주피터 노트북만 따로 받아야 할런지요... 빨리 해결이 되어, 강의를 진행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웹플로우(Webflow) 시작하기 - 코딩 없이 자유도 높은 프로토타입 만들기
웹플로우 게시판 기능 관련
안녕하세요 게시판 기능 구현 질문드립니다. 글쓰기 기능이 있는 공지사항과 같은 심플한 UI는 웹플로우로 구현이 가능한가요?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본 강의에 대한 질문들입니다.
우선 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시는 널널한 개발자님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일단 첫번째 질문은 2분 30초 쯤에 말하신 1바이트의 공간을 관리한다 즉 번호표를 매긴다라는 의미에 대한 질문입니다. 제가 아는 배경지식으로 이해한 방법은 주소가 0x0000000000000000부터0xFFFFFFFFFFFFFFFF까지 범위가 있는데 이를 운영체제가1바이트인 공간에 이걸 찾기 위해서1바이트인 공간을 (ex 0x00000ab2332f0001라는 주소를 붙여준다(은행 번호표처럼 사람에게 식별하기위해 번호표를 준다?)라고 이해하는게 맞나요? 2번째 질문은 직접 지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8분쯤 상황을 이해한걸 제가 설명해보겠습니다.직접지정은 제가 지역변수에 int ndata를 선언했다고 가정하면 OS가 ndata의 주소를 할당해주는데그 때 ndata에 지정된 주소를 직접지정된 주소라고 하는건가요? 아님 OS가 할당후에 할당한 주소로 찾아가 우리가 그 주소를 상수로 고정 시키겠다라고 하는게 직접할당인가요? 강사님이 말하시는게 2가지 의미로 해석이 되서 약간 헷갈립니다. 3번째 질문인 간접지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위에 가정을 끌고와서 int ndata라는 변수를 선언한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int *p = &ndata라고 선언을 하면 변수 p라는 공간이 생겨 나고 그 변수 p의 공간에 ndata의 주소를 담아 저장한다. 그런데 p는 ndata가 아니라 다른 사용자가 선언할 데이터의 주소를 담을 수 있기에 변수이고 이를 간접지정이라고 한다 맞나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테스트 코드 beforeEach() 메서드만 public 접근 제어자를 선언한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아래에 상황 - 의문 - 추측 - 결론 순으로 질문드리겠습니다! 상황:이번 시간에 AppConfig를 사용하도록 수정한 OrderServiceTest와 MemberServiceTest 코드에서 새롭게 다음 메서드를 만들었습니다.@BeforeEach public void beforeEach() { // ... } 의문1:그런데 이전에 만들었던 다른 메서드들의 경우 package-private로 접근을 제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왜 두 경우에 다른 접근 제어자가 사용되었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Test void createOrder() { // ... } 추측1:스택오버플로우 1을 보니 과거에는 리플렉션 기술을 통해 테스트 메서드를 식별해야 했기 때문에 public으로 열어두는 것이 필요했다.또한 이에 대한 JUnit5 탑 컨트리뷰터 Sam Brannen의 답변에서는 "less is more라는 원칙에 따라 더이상 public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JUnit5부터는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더군요. JUnit5 공식 문서에서도 "public 접근 제어자로 선언될 필요는 없다. 다만, private이면 안 된다."는 안내를 확인했습니다(아래 사진 참고). 결과적으로,위 내용들을 근거로 "과거 관례로 인해 영한님이 public을 사용하셨겠구나."라는 추측을 했습니다. 결론:결국 'JUnit5 이후부터는 테스트 메서드에 대해 public을 붙이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붙여도 문제는 없다).'는 것인데, (물론 개발팀 컨벤션에 따라 다르겠지만) 현업에서는 다음 두 경우 중 어떤 방식이 채택되는 경우가 더 빈번한지 여쭤봅니다!과거 관례에 이어 public을 여전히 작성한다.이제 public을 안 붙여도 되고, 이 방식을 JUnit5에서도 권장하기 때문에 더 이상 붙이지 않는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