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일프로

[워밍업 클럽 4기-DevOps] 1차 중간점검 요약! (일프로 코치)

하프 지점 - 현재까지 완주율 (79%)마라톤 경기도 마찬가지지만 대부분의 대회에서 완주율에 대한 의미는 신청한 사람 기준이 아니라, 대회에 참여한 사람 기준입니다. 그 기준으로 하프 지점인 현재까지 완주율은 79% 이예요!처음 저희 DevOps 워밍업 클럽을 신청해 주신분은 168명 이였고, 여기서 스타트 인원을 잡은 기준을 말씀드리면, 먼저 팀 러너분들은 58명 입니다. 팀 편성 중간에 조정이 있긴 했지만, 일단 다 정리된 후에 인원이 58명 이예요.그리고 개인 러너는 20명으로 책정을 했는데, 사실 개인러너가 몇명으로 시작 했는지 제가 판단하기 힘듦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전체 발자국을 제출한 62명 중에 팀에서 제출한 56명을 빼서 6으로 계산해 봤는데, 발자국 제출은 스타트라고 보긴 좀 무리가 있기 때문에 OT 참석 인원을 기준으로 했어요.구글 밋에 참석한 분은 85명이였지만, 운영진이나 그냥 참관하시는 분도 계신 것 같아, OT에서 출석 체크를 하신 분으로 72명을 잡았네요. 근데 여기서 팀 러너 58명 중에서 OT 참석을 못하신 분이 6분이 계시기 때문에 52를 빼면 총 20명 입니다. 그래서 스타트 인원이, 팀 러너와 개인러너를 합쳐서 78명 입니다.여기서 현재 달리고 계신 분이 몇 명 인지는 1주차 발자국 제출로 했어요.그래서 팀 러너에서는 56명이고 개인 러너는 6명을 합하면 총 62명 인이고, 이를 전체에서 나누면 완주율은 79퍼센트가 되는 거죠. 아직까진 매우 높은 수치 입니다. 그리고 현재 복습을 진행하고 계신 분은 32명 이고요. 저도 러너 입니다.하프 구간을 지나 다음 주, 우리에겐 "벽"이 나타나게 될 겁니다. 마라톤 경기를 보면 보통 30km 전후로 포기를 많이 하거든요. 이걸 Hitting the wall이라고 하는데, 이때 신체에 모든 글리코겐이 소진 되면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한계가 오는 거죠. 그리고 이건 비단 마라톤 뿐만 아니라, 우리 스터디에서도 적용이 됩니다.이때가 되면, 시작할때의 흥분이나 동기부여가 사라지고, 지루함과 심리적인 피로가 몰려오게 될 거예요.그래서 실제 이탈을 많이 하게되는 구간인데, 이 시기를 항상 이겨내는 사람이 있고여, 항상 포기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정말 다 와서 좀만 더 가면되는데, 모든 사람마다 임계치가 있다보니까 어쩔 수 없는 거 같아요. 그래도 이 임계치는 늘릴 수 있는 거니까. 이번 기회에 한번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미약하지만 저도 최대한 동기부여를 드릴 수 있도록 노력을 해볼께요. 저도 러너 입니다.스터디 기간동안 힘든 걸 같이 공감 하려고, 한 주에 50km씩 잡고 총 200km를 스터디 기간동안 달려보는 챌린지를 시작 했어요. 그래서 운동을 시작할 때 위와 같이 시간을 찍고 있는데, 밑에 조그맞게 날짜도 인증 했습니다.저도 다음 주에 Hitting the wall이 올 텐데, 우리 같이 힘내봐요!! 우리 스터디가 팀 프로젝트는 아니니까 리더를 하셔도 크게 힘들 건 없을 거라고 말씀 드렸는데, 열심히 활동해 주시는 리더분 들이 많아 좀 더 혜택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사전에 언급드린 건 아니라 투표를 진행했어요.결과는 찬성이고, 우수러너 선정이 총 5명 일 때, 4명의 우수러너를 먼저 뽑습니다. 여기엔 복습을 잘한 순으로 리더도 포함이 되요. 다음으로 1명의 우수 러너는 남은 리더 중에 활동 내용을 보고 뽑도록 하겠습니다.(만약 복습도 잘하고 활동도 잘하시는 리더가 있다면? 이건 그때 가봐서 더 고려해 봐야 할 것 같네요.^^)  부업에서 전업으로지식공유자 일프로 이야기 <강의 오픈편>저의 이야기가 조금이라도 더 동기부여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준비한 내용 이예요. 월래는 <강의 제작편>을 먼저 말씀드리려고 했지만, 전날 인프런에서 <강의 오픈편>을 발표를 했고, 기억이 더 생생하다 보니까 변경을 했습니다.강의를 오픈하고 나면 또 다른 시작이 있다는 게 주제 였고, 먼저 제가 부업으로 지식 공유 활동을 했을 때 강의를 오픈하고 발생 했던 일들을 말씀 드렸어요. 그 첫 번째 주제는 무조건 겪게 되는 스무고개 시간 입니다.처음엔 온라인 플랫폼이라서 그런지 제 스스로 스승이라는 인식을 못하고 있었는데, 인프런에서 매년 보내주는 선물 덕분에 인지하게 됐고, 그 이후로 수강생 분들에게 열심히 답변해 드리면서 있었던 이야기 예요. 다음으로 시간을 더 쏟았더니 생긴 1점 수강평이고요.답글을 달 때마다 제 마음 상태를 확인하는 버릇이 생기고, 완성도가 낮은 수업은 없느니만 못하다고 생각을 하게 됐던 이야기가 있었습니다.그리고 부업으로써 지식공유 활동이 저에게 가져다 준 변화예요.제가 지식공유자 하길 참 잘했다고 생각했던 일들을 말씀 드렸는데, 사실 이것도 부업이라 많은 도전을 해보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정말 진짜는 전업이고요. 지금 워밍업 스터디도 그렇지만 강의를 오픈한 이후 다양한 시도에 대해 이야기 드렸어요. 질의 응답제가 임기응변에 약합니다. 그래서 깊게 생각 못하고 답변을 드릴 수도 있는데, 그러면 오해가 생길 수 있으니까 질문을 하시고 의도한 대답이 아니면, 따로 또 질문을 달라고 요청 드렸어요.다양한 질문이 있었지만, 역시나 취업에 대한 고민이 많았는데, 참 모두가 힘든 시기 입니다.바로 갈 수 있는 중소기업 VS 될 때까지 중견 기업 이상을 도전지원자 입장에서는 기회 비용을 생각하기 때문에 당연히 고민이 되는 부분입니다.하지만 면접관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지원자가 많은 관계로 경력이 더 있는 사람을 뽑게 되겠죠. 그래서 전 바로 갈 수 있는 중소기업이 있으면 가는 더 낫다는 입장입니다. 단, 추후 중견 기업으로 갈 기술 지원 분야를 중소기업에서 경험 할 수 있어야 해요. 그렇다고 했을 때, 예전엔 중소기업을 가면 중견기업 가기 어렵다는 말을 했지만, 지금 같은 시기엔 면접관들도 기업들에 TO가 별로 없다는 걸 알고 있고, 그래서 중소기업이라도 들어가서 경험을 해 본 사람에게 플러스 점수를 줄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해요. 여기까지 제가 준비한 1차 중간 점검 이였는데, 부디 다음 한 주를 잘 버틸 힘이 생겼길 바라면서, 다음 2차 온라인 미팅 때 또 봐요!!워밍업 클럽 스터디-DevOps 화이팅!! - 일프로 드림

데브옵스 · 인프라워밍업DevOps쿠버네티스kuberentes일프로코치데브옵스인프라

데브옵스, OOO와 OOOO를 잡아야 한다는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방법을 찾고 적용하는 데브옵스는 오늘날 많은 팀에서 도입하고 있는 개발 방법론입니다. 데브옵스 엔지니어링에 대한 수요는 늘고 있지만, 서비스 규모는 점점 더 크고 복잡해지는데다 새로운 기술 역시 꾸준히 등장하는 만큼 진입 장벽이 높게 느껴지기 마련인데요.데브옵스의 핵심 요소는 크게 (1) 인프라 관리 (2) 딜리버리 (3) 모니터링 세 가지로 나뉩니다. 이 중에서도 인프라와 딜리버리 파이프라인 구축은 코드 생성 - 테스트 - 배포 - 운영에 이르는 흐름을 하나의 관리 프로세스로 관리하고 효율을 높이는 과정에서 중심축 역할을 합니다.복잡한 비즈니스의 민첩성과 확장성을 높이고, 개발과 운영을 유기적으로 만들 수 있게 ‘일하는 방식’을 달리하는 데브옵스. 성공적인 데브옵스 도입을 위해서는 이러한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팀에 맞는 전략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주니어 데브옵스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핵심 역량을 빠르게 완성하고 싶으신가요?지금 인프런 프리즘 [DevOps 기본 입문 로드맵]을 통해 학습해보세요. https://www.inflearn.com/roadmaps/658•••인프런 프리즘 브랜드 스토리 읽어보기 >>

데브옵스 · 인프라DevOps데브옵스인프런프리즘InflearnPrism신입개발자취업AWS인프라딜리버리CICD

이효정

[인프런 워밍업 클럽: 쿠버네티스] 1주차 발자국

나는 ‘데브옵스’ 직무에 관심이 있고, 실제로 많은 채용공고에서 쿠버네티스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을 우대한다는 내용을 자주 접했다. 그래서 쿠버네티스를 공부하려고 구글링도 해봤지만, 용어도 생소하고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했다.그러던 중, ‘인프런 워밍업 클럽’이라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고, 나처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도 함께 공부할 수 있다는 점에 이끌려 참여하게 되었다.컨테이너 한방정리용어와 기술들을 천천히 설명해주시고 이에 대해 어떻게 공부해야하는지 알려주셔서 첫 수업은 무난하게 들었다. 무게감 있게 쿠버네티스 설치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 vagrant up은 vagrant 를 생성하는건데 이 부분에서 오류가 생겼다. 그래서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이 있던 찰나에!! 큐브옵스 커뮤니티 카페의 vagrant 오류 FAQ 가 잘 정리되어 금방 해결되었다. 내가 만난 오류는 [vagrant up으로 실행시 [k8s-master] : SSH auth method: private key에서 멈추며 config.vm.boot_timeout 메세지가 나올때 ] 부분이다. 나머지 부분은 강사님께서 잘 정리해주셔서 문제 없이 잘 설치하였다. 설치하면서 제발..제발.. 중간에 오류가 생기지 않길 기도했다. 약 3시간 정도 걸렸다. 함께 공부하는 분들도 많은 오류를 만나고 이를 해결해나가고 많은 의지를 보였다. 나도 굳은 의지를 다졌다.  실무에서 느껴본 쿠버네티스 정말 편한이유쿠버네티스를 통해 인프라를 구축할 때마다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자동화의 강점을 직접 체감할 수 있었다. 자동화는 단순히 편리함을 넘어, 작업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여준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기술은 무수히 많고 처음엔 막막했지만, 하나씩 배우다 보면 언젠가는 내게 꼭 필요한 도구를 꺼내 쓰듯 활용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다. 지금은 낯설지만, 언젠가 내 것이 되어줄 기술들을 알아가는 과정 자체가 의미 있다고 느꼈다. Object를 그려보며 쿠버네티스 이해아직 학습하지 않았다. 이 글을 작성한 후에 바로 학습할 예정이다. 회고인프런 워밍업 클럽에 처음 참여하다 보니, 여러 가지 환경에 적응하는 데에도 시간이 필요했다. 디스코드와 커뮤니티에 익숙해지려고 노력했고, 쿠버네티스를 보다 무게감있게, 정확하게 설치하기 위해 노력했다.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설치 하나에도 수많은 개념과 설정이 얽혀 있어서, 하나하나 따라가는 것도 꽤 벅찼다.ㅠㅠ그런데 아직 sprint1이라니, 앞으로 sprint4까지는 얼마나 더 깊어질지 벌써 부터 궁금하고 무섭고 기대된다. 물론 쉽지 않겠지만, 그만큼 더 많은 걸 얻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백엔드인프런쿠버네티스스터디데브옵스IT인프라

kndh2914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 DevOps 2주차 발자국

[2주차 강의 수강]2주차 기간동안 k8s의 applicaition 기능으로 k8s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실습시간에 k8s의 기능들을 보다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 많이 활용하면서 장난감 다루듯이 마구잡이로 다뤘던 시간들을 경험하게 되었다. 미션과제도 해보고 실습을 따라해보면서 완벽하게 해보지는 못했지만 따로 복습시간을 가지면서 더욱 더 k8s를 이해하게 되었고 실무에 나갔을 때도 확실하게 다룰 수 있도록 배우는 자세를 가지게 되었다.[미션] [2번미션]링크: https://du-hyeon.notion.site/5-Application-1-Probe-20722449e85a8014a350c93b419f22ec?source=copy_link [3번미션]링크:https://du-hyeon.notion.site/6-Application-2-Configmap-Secret-20722449e85a80c3a914c3b9ae1e043b?source=copy_link [4번미션]링크: https://du-hyeon.notion.site/7-Application-PV-PVC-Deployment-Service-HPA-20822449e85a8015ad0de48924b42dbe?source=copy_link  회고: 2주차에는 미션이 3개이면서 많은 실습시간을 투자한 기간이였을뿐더러 더욱 더 손에 익히고 눈으로 많이 보게되면서 k8s의 구조와 어떠한 상황에서 기능을 써야 더 좋은 시너지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다음주부터는 3주차이고 벌써 스터디의 절반이 지났다고 한다. 또한 3주차부터는 Sprint2로 넘어가기 때문에 더더욱 설레는 마음으로 공부를 할 계획이다.

데브옵스 · 인프라k8s인프라일프로devops화이팅워밍업클럽4기

Howon Jeong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발자국 2주차

지난 주차에서는 쿠버네티스 동작의 큰 흐름을 잡았다면, 이번 주차는 각 Resources의 역할과 각 Pod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 다루는 내용이었다. 공부를 할 수록 느끼는 것은 문서화를 잘 해야겠다는 것이다. 최대한 일정에 맞추어 강의를 따라가려고 노력하다 보니 어떻게든 이해하고 진행하고 있지만, 그 양이 너무 많아 정리를 잘해두어야 나중에 찾아봤을 때 기억을 되살리고 활용하기에 훨씬 수월할 것 같다. 이번 강의에는 각 Resources의 동작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미션에 큰 어려움은 없었던 것 같다. 미션을 해결하기 위한 웬만한 내용들은 강의에 있었고 강사님께서 카페에 참고하면 좋은 관련 공식문서도 첨부해주신 덕분이다. 새롭게 알게 된 점은 Deployment를 통해 ReplicaSet을 생성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Pod가 생성된다는 것은 기존에 알았지만, Deployment의 Pod와 관련된 정보를 정의하는 부분인 template 속성 아래의 내용이 수정되었을 때, kubernetes에서는 새로운 ReplicaSet을 생성하고 문제가 생길 것은 대비해 기존의 ReplicaSet은 남겨둔다는 것은 몰랐다.처음에는 Deployment의 yaml 파일을 수정할 때마다 ReplicaSet이 그 횟수만큼 증식하여 내가 뭘 잘못한 건지 좀 무서웠지만, Roll Back을 위한 이유라는 것을 알고나서는 자연스럽게 행동하게 된 것 같다. Sprint 1은 쿠버네티스가 무엇이고 어떻게 동작하는 지 큰 흐름을 체험하기에는 좋은 강의라고 생각한다. 다만, 아직까지는 이 지식을 가지고 응용하여 무언가를 만들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다.Sprint 2가 기대된다.

데브옵스인프라쿠버네티스

승현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1주차 발자국

이번주 학습 내용실무에 적용하고 싶은 쿠버네티스섹션3. 컨테이너 한방 정리에서 리눅스의 역사부터 도커의 탄생, 쿠버네티스까지 전체적인 흐름을 알 수 있었다.섹션5. 실무에서 느껴 본 쿠버네티스가 정말 편한 이유 에서 정말 쿠버네티스의 기본적인 기능들만 확인했는데, 너무 마음에 들었다. 어느정도 마음에 들었냐면 "당장 실무에서 쓰고 싶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매번 VM(EC2)에 JDK 설치하고, 프로메테우스 설치하고, 뭐 누락된거 없는지 체크리스트 확인하고 수동으로 작업했어야 했는데, 거기다 이중화 해야 한다고 하면 VM 하나 더 수동으로 똑같은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게 작업자가 다르거나 체크리스트를 만들지 않으면 환경이 전혀 달라질 수 있다!그런데!! 쿠버네티스는 수동으로 했던 모든 작업을 replica 수만 조정하면 바로 VM 한대가 똑같이 생성된다.이번주 미션 진행[미션1] 쿠버네티스 설치 구간별 상태 확인고민되었던 부분강의를 예전에 듣고 구성해둔 환경이 있었어서, 그대로 사용하려고 하였는데 아래 명령어가 갑자기 안되었다.yum install -y ...그래서 왜 안되는건지 찾아보았는데 NTP 설정을 맞춰주어야 한다고 한다.( 아마 현재 서버가 2024년도여서 yum install 시간과 맞지 않아서 그런것 같다 )sudo timedatectl set-ntp trueNTP 설정을 맞추니까 현재 시간으로 맞춰진 것을 확인했는데! 이번엔 kubectl에서 pod들이 연결이 모두 안되었다. 로그를 확인해보니 인증서가 만료되었다는 것!Jun 01 11:46:22 k8s-master kubelet[1161]: E0601 11:46:22.568529 1161 bootstrap.go:266] part of the existing bootstrap client certificate in /etc/kubernetes/kubelet.conf is expired: 2025-05-24 17:34:19 +000>NTP를 오늘 날짜로 맞춰서 인증서의 날짜보다 지나있기 때문에 만료 되었다고 한다,.동작방식은 제대로 문서를 봐야겠지만, k8s 내부에서 통신을 할때 TLS 통신을 하는 것 같다. 그래서 같은 인증서로 통신을 하는데 만료되어서 통신이 안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되어 인증서를 갱신 해주었다.sudo kubeadm certs renew all인증서는 갱신되었지만 여전히 kubeadm은 실행이 되지 않았다, 아마 kubectl 뿐만 아니라 연관된 서비스들도 같이 인증서를 갱신해주어야 하는 것 같은데! 시간이 너무 소요될 것 같아서😢 kubeadm을 새로 설치해주었다.( 삭제하면 namespace들도 모두 삭제되어서,, 다시 설치해주어야 한다. dashboard, calico, grafana... 등)회고정말 쿠버네티스 설치가 너무 힘들고 2번은 못하겠다는 생각도 들고,, 하지만 운영 관점에서는 안정성과 확장성 부분에서 너무 좋은 것 같다.일프로님께 AWS/GCP/Azure 등 클라우드 벤더사에서 제공하는 k8s 서비스를 사용해도 이렇게 설치 과정을 거치는지 궁금해서 여쭤드렸다.일프로님 답변클러스터에 이슈가 발생하면 설치 과정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 말씀주셨다!복습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다면 꼭 다시 봐야겠다! 

데브옵스 · 인프라데브옵스인프라Devops인프런워밍업클럽4기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