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전체 20#카테고리
- 프로그래밍 언어
- 개발 · 프로그래밍 기타
- 교양
- 보안 · 네트워크 기타
- 취업 · 이직
#태그
- 사유
- 일상
- 인문학
- 반복
- 수련
- 성장
- 같은마음
- 같은목표
- 각자최선의방법
- 숨은조력자
- 리더
- 애사심
- 선택과집중
- 공감대
- 피드백
- 옳은선택
- 쉬운선택
- 퇴사
- 권한
- Autority
- 검색
- 쉼표
- TwoEyes
- TwoEars
- OneMouth
- Leader
- 깨달음
- 법륜
- 법륜스님
- GS
- Calm
- Passion
- ToStayCalm
- Constructor
- Allocator
- Initializer
- Goal
- Objective
- 협업
- 조직
- 구성원
- 신뢰
- 미꾸라지
- 취업
- 신입
- SSH
- 앎
- 겸손
- 좋은면접관
- 나쁜면접관
- 이상한면접관
- CTO
- 이직
- 일
- 채용
- SI
- 문제정의
- 인공지능
- 나비효과
- 답은현장에있다
- 현장을봐라
2025. 04. 27.
0
16. 내가 생각하는 사유
사유[思惟][Thought]- 지극히 개인적인 위험한 생각이겠죠 ^^[사전적 정의]1. 철학인간이 두뇌를 써서, 대상을 파악하고 가능성을 예측하며 지식이나 개념을 만들어 내는 활동. 감각이나 지각과는 다른, 차원 높은 지적 활동으로, 보통 언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짐. 사고(思考)."인간은 ∼의 능력을 통해 자신의 과거를 반성하고 미래를 전망할 수 있다"2. 불교대상(對象)을 분별하는 일. 또는, 정토(淨土)의 장엄을 관찰하거나 선정(禪定)에 들기 전의 일심(一心).========================================================================= 현재 (2025.04.27 01:49)지금 시점에서 내가 바라보는 영역 일상[시작]신호등 색깔과 의미:빨강색: 정지노랑색: 주의, 신호 변경 예고초록색: 통과 [사유]왜? 노랑색을 어떻게 생각해 냈을까?사고를 막기 위해서?그런데 왜 국가별로 의미를 다르게 선택했지?문화인가? 정치인가?https://namu.wiki/w/%EC%8B%A0%ED%98%B8%EB%93%B1프로그래밍 언어[시작]프로그래밍 언어도 인공지능도 그 어떤 기술도,결국 실세계를 컴퓨터의 세상에서 불리우는 소프트웨어로 옮기기 위한 도구결국 필요한 건, 나에게 없는 건‘상상’이제서야 이 길 앞에 선 듯.[사유]제임스 고슬링은 세상을 8개의 primitive로 옮겨왔구나…java, James Arthur Goslinginteger, long, double, float, boolean, byte, short, characterc++, Bjarne Stroustrupboolean, character, integer, float, double, void, wchar_t이들은 천재라 나같은 범인도 사용하라고 언어를 쉽게(?) 만들어준…나는 그들의 의도 및 시야가 궁금한 1인https://namu.wiki/w/%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20%EC%96%B8%EC%96%B4
프로그래밍 언어
・
사유
・
일상
・
인문학
2022. 03. 27.
4
15. 내가 생각하는 반복 (feat. 이소룡)
요즘 개발자들에게 자주 듣는ㅋㅋㅋ 질문) “어떻게 하면 그렇게 개발을 하시나요?”내 답변) 내가 살아온 경험을 공유해주니… 질문자 답변) “그렇게까지 하고 싶진 않네요. 좀 더 쉬운 길은 없나요.”내 답변) “저는 이렇게 해왔어서 다른 길은 저도 잘, 다른 분들에게 물어보시는 게 나을지도 모르겠네요.”내 생각) 그런 마인드라면 지금과 별반 다르진 않을텐데.. 물론 다른 방법도 많겠지만..같은 방법으로 살면서 다른 결과를 어떻게 기대하지 도통 이해가 안 된다. 모두가 잘하는 방법은 수없이 많이 듣는다. 들을 때뿐이어서 그렇지. 왜 알면서 안 할까? 노력 없이, 희생 없이 무언가를 얻고 싶으면 다른 길을 찾아봐야 하는데 그 어떤 길도 그렇게 쉽게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나도 아직 너무나 부족한데, 나보다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나만큼도 노력을 하지 않는다.나는 여전히 가장 많은 코드를 구현하고, 리팩토링하고, 가장 많은 공부를 한다. 내가 선택한 길이고, 내가 원하는 꿈 너머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다.[나는 한번 수련에 만 번의 발차기를 하는 사람은 무섭지 않다. 한 번씩의 발차기 수련을 만 번 하는 사람이 무서운 거다.] - 이소룡 (ref. https://qusmo.com/celeb/2)나는 이소룡의 재능이 없기에 십만 번 하는 사람이 되어보려 한다. 근데, 반복만 하는 게 아니라 반복할 때마다 달라야 한다. 전과 똑같은 반복은 성장의 폭이 너무 얇다.
개발 · 프로그래밍 기타
・
반복
・
수련
2022. 03. 24.
1
14. 내가 생각하는 성장 (feat. 팔로워)
14. 내가 생각하는 성장 (feat. 팔로워) - the Leader-Follower Relationship - 저만 이렇게 생각할지도 😆 리더는 팔로워의 그릇을 키우는 사람이지 그릇에 무언가를 채우는 사람이 아니다. 그릇에 무엇을 채울지는 팔로워가 선택해야지. 근데 리더를 키우는 건 팔로워다. 당연하게도 팔로워도 리더의 그릇에 무엇을 채우지 않는다. 리더가 무엇을 채울지에 대한 선택권을 부여한다. 리더, 팔로워 같이 크는거다. 리더도 누군가의 팔로워고 팔로워도 누군가의 리더다. 혼자 클 수 있는 분들은 창업을 하신다. 그러나 언제나 혼자 클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게 되는 시점이 오게 마련이다. 그럼 이분들은 그때 좋은 팔로워를 구한다. 이때 좋은 분들을 구하는 분들은 혼자도 크지만 주변의 평가도 좋은 대단하신 분들이다. 그렇지 않고 이런 말을 사람들도 간혹(?) 있다. “아.. 제가 진짜 잘하는데 제 주변에 좋은 사람이 없어요?” ^^ 주변에 좋은 사람이 없는 당신은 좋은 사람일까요?
개발 · 프로그래밍 기타
・
성장
・
같은마음
・
같은목표
・
각자최선의방법
2022. 03. 16.
0
13. 내가 생각하는 평가 (feat. 나쁜 리더)
13. 내가 생각하는 평가 (feat. 나쁜 리더)- 지극히 개인적인 위험한 생각이겠죠 ^^ 대기업 다니지 않은 개발자의 롤 모델이라는 헛소문(?)을 들었다. 술을 나처럼 마시려면 체력을 길러야 할 텐데, 개발을 나처럼 하려면 매일매일 자기 자신을 깨야 할 텐데. 나에게 어제의 코드는 이미 레거시다. 다시 본다. 개선할 게 없다면 난 성장하지 못한 거다. 그렇게 나 자신을 채찍질한다. 그게 내가 사는 삶이다. ✌️누군가를 부러워만 하지 말고, 저들은 왜 저런 삶을 사는지를 들여다보고, 어떻게 하는지를 보고,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해라. 부러워만 하다가 왜 나는 안될까로 귀결해서 시기와 질투를 보내지 말고 😆회사에는 매일매일 기술 부채를 해결하는 그룹, 일주일 단위로 기술 부채를 해결하는 그룹, 한 달 단위로 기술 부채를 해결하는 그룹, 사업 단위로 기술 부채를 해결하는 그룹… (등등등) 물론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나는 매일매일, 그리고 일주일 단위 그룹은 몇 번 지켜보고 잘한다 싶으면 알아서 하겠지라고 생각한다.(신뢰 -> 비용최소화) 나머지 분들에게는 업무/개발항목으로 잡게 해준다. 누가 리팩토링이 업무가 아니래? 각자가 자기 개인 시간 쪼개서 하는 거라고 떠드는 사람 중에 기술 부채를 해결하는 사람을 나는 아직 찾질 못했다. 그건 안해도 그만이라는거지. 그만큼 중요하게 생각을 안한다는거고, 어쩌면 그럴 가치도 없는 걸 알면서 팔로워에게 준거지. 그런건 네가 해. 그러라고 있는 자리야. 🙏고뇌하고 고민하고 선택했다면, 움직이는 사람이 진짜다. 생각만 하고 머릿속에 있다고 우쭐되는 사람은 가짜다. (코딩을 해야하는 프로그래머 및 실세계를 소프트웨어로 옮기는 개발자 기준입니다. 리더 분들은 의사 결정만 잘해도 뭐) 🤗내가 할 일은 그 움직이는 자들에게 어떤 지원을(시간, 자원, 사람) 해줘야 하는지만 찾으면 된다. 스스로 움직이는 자들에게 등 떠밀 필요도, 충고랍시고 조언이라고 무언가를 줄 필요는 단 1도 없다. 들어주고 기다리고 좋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숨어서 도와라. 도와줘서라도 미션을 빠르게 완수해야 하는 시점인지, 기다려서 스스로 미션을 느리게 완수해도 되는 시점인지 구분도 못하면서 일괄적으로 팔로워를 대하는 리더 분들이 생각보다 꽤 많드라. 바빠 죽겠는데, 그만큼 일을 주었는데 왜 그 일이 아닌 다른 업무로 깨는지 나는 도통 이해를 못 하겠네. 니는 그렇게 할 수 있고? 지도 못하는 걸 누구한테 하라고 하는지 참나 😱평가를 하려면 그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 건지 자기부터 비판해라. 아마 다 니 책임일걸? 그래서 팔로워의 책임은 리더가 진다라고 하는 거다. 세상 그 어떤 팔로워도 일을 못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누구나 다 잘해서 칭찬받고 싶어 한다. 팔로워가 못하면 네가 욕을 먹으라고 이 한심한 리더야. 물론 그 환경을 조정할 수 없는데 미션을 받았으면 위를 깨라고. 밑을 흔들지 말고. 🤬진짜 펜싱을 배워볼까? 🤺뭐 물론 저라고 글대로 다 하겠어요. ㅠㅠ 그러나 바쁜 사업이 있지 않는 한은 거의 대부분 지킨다고 자신할 수 있습니다. 저는 그렇게 리더가 되라고 우종이 형한테 배웠으니까요. 그리고 지금은 아일리스프런티어 리더 분들에게 배우고 있고요. ❤ 평가는 수평 평가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본인 기준으로 잘했다고 생각되면 +1 아니라고 생각되면 -1. 이게 모이면 그냥 보인다. 구성원이 생각하는 고 기여자가 누구인지. 🤩
개발 · 프로그래밍 기타
・
숨은조력자
・
리더
2022. 03. 07.
1
12. 내가 생각하는 애사심 [feat. 공감대 형성]
- 팔로워가 찾아온다 - 리더는 그 팔로워가 왜 오는지 떠올라야 하고, 정확하진 않더라도 여러 플랜 준비 신뢰 이 친구가 얘기하는 건 회사를 위해 하는 거라고 믿고 의사소통 옳은 선택과 쉬운 선택 여유가 있어야 옳은 선택을 여유가 없으면 쉬운 선택을 ... 그 선택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자리로 돌아가도록 좋은 정보면 공유 나쁜 정보면 공유 누구까지 무엇, 어떻게, 왜 공유 ... 항상 옳은 선택만을 할 수 없는데, 그 공감대를 형성해줘야 애사심이 커지는, 조직이 건강해지는 회사에 이슈가 발생하면 개선하면 된다. 이슈를 묻으면 나쁜 선택 나쁜 선택을 할 정도로 여유가 없지 않다. (항상) 나쁜 선택을 하고 애사심을 강요할 순 없다. 오늘도 선택중… 나부터 당당해야 단단해져야 여유를 가지고 옳은 선택을 한다.
교양
・
애사심
・
선택과집중
・
공감대
・
피드백
・
옳은선택
・
쉬운선택
2022. 03. 06.
1
11. 내가 생각하는 퇴사 [feat. 위기는 곧 기회다]
퇴사자가 생기면 울지 마라. 조금 힘들어하고, 아쉬워하고, 슬퍼해라. 그와 함께 했던 시간을 추억으로 가슴에 묻고 고마워해라. 그리고 그 사람의 좋은 미래를 응원해라. 퇴사자를 잡으려고 애쓰지 말고, 미안해해라. 이미 과거고 붙잡을 수 없다. 떠난 화살을 잡으려 하지 마라. 떠나지 않은 많은 화살이 어디 있는지 확인해라. 그런 다음 생각해라. 우리가 그에게 역량보다 큰 역할을 준 건 아닌지, 힘들어하는데 챙기지 못한 게 있었는지, 결국 우리에게 무엇이 부족했는지를 고민하고 또 고민해라. 그때가 개선의 기회다. 나가는 사람을 지켜보는 게 아니라, 뒤돌아서서 남아 있는 사람을 위해 무엇을 개선해야 할지 생각해라. 그리고 개선해라. 그게 남아 있는 구성원을 위해 할 일이다. 그게 같이, 그리고 함께 가는 회사의 책임이다. 채용은 그 사람의 주 40시간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을 지녔을 때 할 수 있는 거다. [그 중에 그대를 만나 - 이선희] [Meet Him Among Them - Lee Sun Hee] https://youtu.be/Xmf3NbC2ONs #LeagueofEnjoyableEngineerwithVIsion
개발 · 프로그래밍 기타
・
퇴사
2022. 03. 04.
0
10. 내가 생각하는 권한 (feat. 역할과 책임)
10. 내가 생각하는 권한 (feat. 역할과 책임) -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리더가 부여받은 권한은 나를 드러내도 된다는 거지 책임지는 조직을 휘두르라는 게 아닌 언제나 위임할 준비를 해야하고 너무 오랜시간 위임을 못하는 순간 리더를 놓아야하는 그러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일 혹은 해야 할 일 0. 공감대 : 미션 공유, 비전 제시 1. 조직 구성원의 성과 창출 : 선순환 구조 2. 효율 : 최소 비용/희생 최대 효과 3. 실용 : 의미/가치 있는 업무 4. 다양성 : 업무의 5프로 이내, 수명 업무, 시야 넓혀주기 5. 포용력 : 마음을 열고 기다림의 미학, 포옹보단 포용으로, 혼자가 아니라 함께 하는 6. 체크 : 이 업무를 이분이 하는게 최선인지 고민 7. 구분 : 해야할 일, 하고 싶은 일, 할 수 있는 일 8. 육성 : 대체자를 만드는게 큰 미션이라는걸 인지해야 … 99. 성장 : 결국 성장했다는거 못느끼면 퇴사로 귀결 리더는 본인을 자랑하는 자리가 아니라 조직 구성원을 자랑하는 자리를 만들어야. https://en.m.wikipedia.org/wiki/Authority
개발 · 프로그래밍 기타
・
권한
・
Autority
2022. 02. 27.
0
9. 내가 생각하는 검색
- 제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일 뿐 🙏개발이든 연구든 분석이든 리서치든 공부든 하다못해 술자리에서도 모르는 용어가 튀어나온다.0. 지금 내가 해야하는지, 하고 싶은지, 단순 호기심인지? 를 고민해보고 선택1. 요구사항 분석/도출- 0번에 의해 어느 정도 파악해야 하면 스탑인지 선택(개론, 이론, 구현, 현재가치, 미래가치, …)- 용어를 발제한 분께 키워드들 질문- 목표 설정 후 2번으로2. BFS, 첫 검색 (구글 검색 스킬 중요)- 일단 넓게 슬쩍 제목만 본다- 클릭 (한 문서를 클릭하기 전에 선택하는 것은 다 볼 것인가, 모르는 키워드가 또 나오면 어쩔껀가, 문서 내 검색을 해서 필요한 부분만 볼 것인가 결정)- 1번 요구사항에 대한 목표 달성 여부 판단, 못했으면 3번으로3. DFS, 다음 키워드 검색 혹은 문서 내부 링크 이동- 여기에 오면 무조건 정독, 그럴 마음을 먹고 진입- 그리고 0~3 반복4. 마무리, 회고- 요구사항 분석/도출이 잘 되었는지 판단- 목표에 도달했는지 판단- 반복을 줄일 수 있었는지 판단- 생각 정리 (안되면 다시 0번으로)- 글로 정리 (요구사항 및 키워드는 반드시 적어놈)- 필요시 적용- 근래 검색한 10개 정도를 보고 내가 지금 잘 가고 있는지 판단5. 멍 때리기, 리프레쉬, 음주- 가장 중요한 작업, 결국 이것을 위해서 0~4번을… ❤️결론. 주니어들 뿐만 아니라 시니어도 모르는 용어가 나올 때 마다 “아 이거두 알아야 하나?”라는 생각으로, 어느 순간 본인이 찾고자 하는 길이 아닌 엉뚱한 길에 빠지기 쉽상이다. (몰론 아닌 분들도 많…)문서를 클릭할 때는 무엇만 얻고 쨀껀지 판단하고 클릭하자. 그걸 모르겠으면 지금은 볼 필요 없는 문서이고, 지금 알 필요 없는 키워드이다. 😭#, (쉼표)쉬어갈 수 있을 때, 그때서야 내 것이 되더군요. 🙋♂️“가이더 & 서포터”- 리더가 하는건 이게 다다. 뭘 주입하려 하지 말자.
개발 · 프로그래밍 기타
・
검색
・
쉼표
2022. 02. 25.
0
“Two Eyes”
I thought I had one mouth and two ears, but then I realized I had two eyes. 😂
교양
・
TwoEyes
・
TwoEars
・
OneMouth
2022. 02. 23.
0
“생각의 틀”을 깨기
Until now, I have thought that organizational capacity can never escape the leader's capacity. I doubted this again, and now that I think about it, wrong preconceived notions... If capacity of the follower is bigger than the leader's capacity, if they have the qualities of a leader, if they want, and then change it. Even if I try for a hundred years, I wonder if I can be bigger than my leader's capacity. Maybe nobody gets off the rock. So there's no chance that I’ll be a leader of myself. I don't think it will be a leader of myself even if I grow my capacity as much as I can. As the distance from my leader gets closer, I am surprised by the size of it. To be continued constantly. Don’t worry, be happy. 😍 Conclusion. Let's continue to grow my bowl. 😆 #Leader #Constant
교양
・
리더
・
Lea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