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30:00 sizeof 질문
00:30:00 대에서 int myArray[] = {100,22,34,55,70};int size = sizeof(myArray) / sizeof(myArray[0]);왜 size가 5가 되는지 설명부탁드리겠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prefetch 속성 질문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test 페이지가 프로그래메틱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따로 useEffect를 사용해 프리페칭되도록 만드는 것과, Link 컴포넌트에 prefetch 속성을 false로 하여 프리페칭되지 않게 만들 수 있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직접 코드를 작성하고 npm run start로 재실행한 뒤 새로고침을 했는데도 search 페이지에 필요한 js번들이 남아있고 test 페이지의 번들은 프리페칭되지 않았는데 어디가 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PDF 파일 관련
섹션 10. 이론 문제 학습하기 강의부터는 전달해 주신 pdf 내용과 수업 내용이 너무 다른데 어떤걸 확인해야 하나요?자료에 없는 내용으로 수업을 하셔서 필기할 부분이 많습니다.. 혹시 수업 하시는 PPT 파일 받아보고 싶은데 어려울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4분 완전수
4:00초 완전수 구하는 문제 완전수가 6이랑 28이 있는데 완전수를 외워서 푸는건가요? 아니면 일일히 다 for문을 돌려서 찾으라는건가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vector, array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공부 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큰돌님께서는 보통 vector을 잘 사용하지 않으시고, 문제에서 주어진 최대 크기+여유분 만큼의 array를 선언해서 사용하시는 것으로 보이는데, array를 사용하는게 더 이점이 큰건지 아니면 그냥 취향 차이인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New Flutter Project 후 강제로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로 변환
안녕하세요 padding_theory를 듣던 중, 프로젝트 생성 부분에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윈도우10에서 new flutter project를 선택한 후 진행을하면 아래 스크린샷처럼 Project가 아닌 Android로 자동으로 바뀌면서 경로 또한 android 폴더로 들어가게 됩니다. 처음에는 Project로 설정되어있고 Flutter 아이콘도 뜨는데 한 5초 정도가 지나면 자동으로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로 인식을 하는 것 같습니다.구글링해서 해결방법을 찾으려고 해보니, 프로젝트 폴더안에 .idea 폴더와 android폴더 안의 padding_theory_android.iml 파일을 지우고 다시 프로젝트를 열어보니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더군요. 매번 이렇게 파일을 지우고 다시 시작하기엔 번거로울 것 같은데, 혹시 제가 빠트린 초기설정 방법 같은 것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ArenaBattle에 Log추가하는 곳에 에러가 나타나 질문 드립니다.
타 프로젝트에서 동일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LOG-NETMODEINFO를 #define LOG_NETMODEINFO ( (GetNetMode() == NM_Client) ? *FString::Printf(TEXT("CLIENT %d"), GPlayInEditorID) : ((GetNetMode() == ENetMode::NM_Standalone) ? TEXT("STANDALONE") : TEXT("SERVER")))다음과 같이 강의 그대로 사용을 하면 static_assert failed : 'invalid argument(s) passed to printf'라는 에러가 나옵니다.하지만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에러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유를 아직까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define LOG_NETMODEINFO ((GetNetMode() == ENetMode::NM_Client) ? TEXT("Client") : ((GetNetMode() == ENetMode::NM_Standalone) ? TEXT("StandAlone") : TEXT("Server")))
-
해결됨은행 서버 프로젝트 실습을 통해 배우는 코틀린 마스터 클래스
카프카 컨슈머 구현 질문
카프카 스프링을 구현하실 때, @KafkaListener를 따로 안 사용하시는 이유가 있으신가요?https://inf.run/cuNfG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평가지표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선생님, 진짜 너무 어려워요. 강의를 하기전에, 코드를 쓰는 배경, 코드를 해석해주는 등등 이해를 좀 시켜주세요. 초심자 눈높이에 좀 맞춰주세요... 혼자 너무 위아래로 왔다갔다 하시면서 , 뭔가 따라 써보려고해도 어디서부터 어떻게 따라써야하는지 기준도 없어서 너무 헷갈립니다. 어떤식으로 공부해야하는지 방향성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3.2 LangChain과 Chroma를 활용한.. 예제중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3.2 예제 실습중 아래와 같은 이슈를 해결하지 못하여 질문 드립니다. 사용자 환경운 github 에서 제고해준 code space 환경에서 테스트 중입니다. 오류 코드는.. from langchain_chroma import Chroma # 데이터를 처음 저장할 때 database = Chroma.from_documents(documents=document_list, embedding=embedding, collection_name='chroma-tax', persist_directory="./chroma") 위 코드 실행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Attribute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Cell In[108], line 41 from langchain_chroma import Chroma 3 # 데이터를 처음 저장할 때 ----> 4 database = Chroma.from_documents(documents=document_list, embedding=embedding, collection_name='chroma-tax', persist_directory="./chroma") 6 #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할 때 7 #database = Chroma(collection_name='chroma-tax', persist_directory="./chroma", embedding_function=embedding) File /workspaces/faith79/.venv/lib/python3.12/site-packages/langchain_chroma/vectorstores.py:1239, in Chroma.from_documents(cls, documents, embedding, ids, collection_name, persist_directory, client_settings, client, collection_metadata, kwargs)1237 if ids is None: 1238 ids = [doc.id if doc.id else str(uuid.uuid4()) for doc in documents] -> 1239 return cls.from_texts( 1240 texts=texts, 1241 embedding=embedding, 1242 metadatas=metadatas, 1243 ids=ids, 1244 collection_name=collection_name, 1245 persist_directory=persist_directory, 1246 client_settings=client_settings, 1247 client=client, 1248 collection_metadata=collection_metadata, 1249kwargs, 1250 ) ...--> 327clientsettings = chromadb.config.Settings(is_persistent=True) 328clientsettings.persist_directory = persist_directory 329 else: AttributeError: module 'chromadb' has no attribute 'config'Output is truncated. View as a scrollable element or open in a text editor. Adjust cell output settings... //////////////////////////////////////////////////////////////////////////////// chromadb 에서 config 속성 사용이 안된다는거 같아요.그래서 langchain_chroma의 버전도 변경하고 chromadb 도 설치 후 버전도 이것저것 변경해 보았는데, 동일한 이슈만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꼭 해결하고 싶어요~ 도와주세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Stream과 디버깅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Stream관련하여 질문이 있는데요. Stream 같은 경우에는 파이프라인을 작성하면서 연산마다 body부가 추가될 수도 있고 중간 연산이 계속 체이닝 되는 형태로 구성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 어느 연산에서 문제가 생기는지 디버깅을 하는게 참 번거롭다는 생각이 들곤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이럴 때 peek 와 sout을 활용해서 어떻게든 값을 확인하는 식으로 디버깅을 해왔는데 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브레이크 포인트를 잡기도 명령형 프로그래밍 방식보다 어려운 점이 있는 거 같아서요 ㅠㅠ
-
해결됨[개념반] 배워서 바로 쓰는 Pandas
join 파트 학습자료
안녕하세요, 판다스 수업 재밌게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join 파트를 수강 중인데요, 해당 파트만 수업자료가 누락되어 있는 것 같아서요. 혹시 따로 올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원핫인코딩 에러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세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train = pd.get_dummies(train, columns=cols) test = pd.get_dummies(test, columns=cols) display(train.head(2)) display(test.head(2))Key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ipython-input-52-5da4ae8d05fa> in <cell line: 0>() 1 # 원핫 인코딩 ----> 2 train = pd.get_dummies(train, columns=cols) 3 test = pd.get_dummies(test, columns=cols) 4 display(train.head(2)) 5 display(test.head(2)) 3 frames/usr/local/lib/python3.11/dist-packages/pandas/core/indexes/base.py in _raise_if_missing(self, key, indexer, axis_name) 6247 if nmissing: 6248 if nmissing == len(indexer): -> 6249 raise KeyError(f"None of [{key}] are in the [{axis_name}]") 6250 6251 not_found = list(ensure_index(key)[missing_mask.nonzero()[0]].unique()) KeyError: "None of [Index(['sex', 'smoker', 'region'], dtype='object')] are in the [columns]"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tap() 안에서 async/await 쓸 때 트랜잭션 커밋이 제대로 안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코드팩토리 디스코드에 질문하면 더욱 빠르게 질문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코드팩토리 디스코드]https://inf.run/54jjz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QueryRunner 커스텀 데코레이터 만들기 듣고 있는데 강의대로 return next.handle().pipe( catchError(async (e) => { await qr.rollbackTransaction(); await qr.release(); throw new InternalServerErrorException(e.message); }), tap(async () => { await qr.commitTransaction(); await qr.release(); }), );이렇게 코드를 짜면 포스트맨에서 응답으로 { "message": "QueryRunner Decorator를 사용할려면 TransactionInterceptor를 적용해야 합니다.", "error": "Internal Server Error", "statusCode": 500}이렇게 나옵니다. 그래서 tap 대신에 mergeMap(async (value) => { await qr.commitTransaction(); await qr.release(); return value; }), merge맵을 사용하면 문제가 해결되는데 강의에서는 tap을 써도 트랜잭션 커밋이 잘 되는 것처럼 보였는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섹션16까지 했는데 로그인 후 화면이동이 안되고 있습니다.
flutter: previous: Instance of 'UserModel', next: Instance of 'UserModelLoading' flutter: [REQ] [POST] http://127.0.0.1:3000/auth/login flutter: [RES] [POST] http://127.0.0.1:3000/auth/login flutter: [REQ] [GET] http://127.0.0.1:3000/user/me/ flutter: [RES] [GET] http://127.0.0.1:3000/user/me/ flutter: previous: Instance of 'UserModelLoading', next: Instance of 'UserModel'섹션16까지 했는데 로그인 후 화면이동이 안되고 있습니다.그래서 AuthProvider 에서 prev, next 를 찍어 보았는데 변경을 잘 되고 있습니다.어디를 확인하면 좋을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Comment 최상위 entity에서 parentCommentId를 자기 자신의 id를 두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강의 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다름이 아니고, Comment 테이블 관련한 질문인데요.일전에 비슷한 경우를 보았는데, parentCommentId를 null로 둔걸 본 것 같습니다.(용량절약을 위한 목적이였다고 들었습니다)혹시 최상위 자신의 commentId로 parentComentId를 지정한 부분에 대해 궁금해서 글 올리게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참조 관계에서 `mappedBy` 를 생략하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JPA 학습중인 학생입니다.양방향 참조 관계에서 여러 방법으로 연습하던 중, 예상치 못한 행동을 발견해 왜 이렇게 작동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연습한 코드입니다.// Team - Member 는 1:N @Entity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편의상 public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 public Team team; public Member() { } public Member(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Entity public class Team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편의상 public @OneToMany // 원래는 mappedBy = "team" 으로 owner 를 설정해야 함. @JoinColumn(name = "TEAM_ID") public final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public Team() { } public Team(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강의에서 배웠듯, 양방향 참조관계에선 mappedBy = ... 로 관계의 주인을 설정해야 합니다.그런데 만약 이를 생략하면 어떻게 작동할까 호기심이 생겨 아래의 코드를 실행시켰습니다. EntityManager em = getEm(); // 편의상 코드 생략 em.getTransaction().begin();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member2"); Team team1 = new Team("team1"); Team team2 = new Team("team2"); // 편의상 코드 생략 // 단순 em.persist( given ) 을 수행합니다. persistAll(member1, member2, team1, team2); em.flush(); // DB 반영 System.out.println("============== AFTER FLUSH =============="); member1.team = team1; // [1] : mem1 의 팀을 t1 으로 설정 team2.members.add(member2); // [2] : mem2 의 팀을 t2 로 설정 em.getTransaction().commit(); // Member - Team 연관관계 변경 내용 commit em.close(); System.out.println("============== END =============="); 제 예상은 실행시 오류가 발생하거나 [1] 내용만 반영되는 것이었습니다.하지만 실행하니 [1], [2] 모두 반영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DDL & 출력 내용Hibernate: create table Member ( id bigint not null, name varchar(255), TEAM_ID bigint, primary key (id) ) Hibernate: create table Team ( id bigint not null, name varchar(255), primary key (id) ) Hibernate: alter table Member add constraint FKl7wsny760hjy6x19kqnduasbm foreign key (TEAM_ID) references Team ... ============== AFTER FLUSH ============== Hibernate: /* update scripts.entities.Member */ update Member set name=?, TEAM_ID=? where id=? Hibernate: /* create one-to-many row scripts.entities.Team.members */ update Member set TEAM_ID=? where id=? ============== END ==============실행 후 DB 조회 내용입니다. 위 상황에서 왜 member1, member2 의 팀 변경내용이 모두 반영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이러한 경우 JPA 가 Member, Team 모두를 연관관계의 주인이라 인식하는 건가요?아니면 JPA 가 Member -> Team, Team -> Member 두 참조를 서로 다른 연관관계(?) 라 해석해 동작하는 걸까요?
-
미해결[2024년] 지친 엑셀 유저를 위한 Power BI 기본 강의 (기초~중급 입문)
power bi 맵 및 등치 지역도 시각적 개체는 조직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power bi 맵 및 등치 지역도 시각적 개체는 조직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관련 질문을 지난 주 금요일에 올렸으나 아직도 답변이 없습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Rest API 보다는 graphql이 주된 내용인데
보통 채용공고엔 rest api가 많더라고요 강의에도 아예 없진 않은데 강의 수강이후에 rest api도 할수있다고 생각을 해도되나요 아니면 따로 공부를 해야하나요? 차이가 많이나는지요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탄탄한 프런트엔드 부트캠프 (HTML, CSS,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 ES6) [풀스택 Part2]
Symbol 관련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 문의
Symbol 관련 테스트 코드를 Sandbox로 확인해 보았는데 결과가 다르게 나와서 문의드립니다.Javascript로 sandbox를 create하였고, 생성된 index.mjs 파일에 강의내용의 Symbol 테스트 코드를 동일하게 작성해여 테스트 하였습니다.let testSymbol1 = Symbol(1); let testSymbol2 = Symbol(1); console.log(typeof testSymbol1, testSymbol1); console.log(typeof testSymbol2, testSymbol2); console.log(testSymbol1 == testSymbol2); console.log(testSymbol2 === testSymbol2);Console로 확인한 결과는2symbol Symbol(1)falsetrue 이렇게 나옵니다.null로 나오지 않고, === 결과도 true인데 어떤 이유로 다르게 나오는건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