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데이터베이스의 컬럼명과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일치성
데이터베이스의 컬럼명과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일치성을 가져가는게 가독성면에서 좋다고 생각하는데..모든 컬럼이 앱 코드와 일치되어야하는건 또 아닐거같아서요. e.g) 앱 코드에서는 필드를 두개로 나눌수도 있지만 데이터베이스 컬럼에서는 하나의 컬럼으로 가져가는 경우도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인덱스 설계와 실제 운영의 관계
혹시 테스트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를 설계하고, EXPLAIN을 통해 점검도 했는데, 실제 서비스 운영에서는 정작 풀 테이블 스캔 결과가 더 빠른 경우가 존재할 수도 있나요?
-
해결됨멀티 모듈 아키텍처로 구현하는 은행 서버 핵심 기능 [ Kotlin & Spring ]
CQRS 설계 팁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 Write Service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CQRS 설계 팁이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수업 자료 만드는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만들어주신 수업 자료 덕분에 수월하게 복습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수업자료를 만드시는 과정과 도구가 궁금합니다. (이미지도 전부 직접 만드시나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완강 후 학습 방향에 대한 질문
쿠케님 안녕하세요!우선 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강의 들으면서 대규모 시스템을 설계할 때는 어느 것을 신경써야 하고, 또 주의해야 하는지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있어요. 추석 연휴 동안 제 나름대로 열심히 들어서 이제 한 개 섹션만 남았는데, 완강을 한 뒤에 강의에서 얻은 것들을 토대로 대규모 트래픽을 가정한 서비스를 설계하고, 개발해보려고 합니다. 강의로만 듣고 넘기기에는 아까운 내용들이 많아서 확실하게 제 것으로 만들어야겠다 싶더라고요. 일하면서 써먹으면 더없이 좋겠지만 아쉽게도 그럴 환경은 안 되어서요.. ㅎㅎ 그래서 나름대로 구상을 해보면서 강의를 듣고 있는데, 문득 강의에서 다룬 아키텍처와 기술을 한 번에 다 도입하는 건 오히려 학습 효율을 떨어뜨리는 선택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어서요. 실무에서 Redis 정도는 사용해봤지만, 분산 데이터베이스나 MSA도, Kafka나 CQRS도 이 강의에서 처음 사용해봤습니다. 개념은 대충 주워 듣긴 했지만, 제대로 공부해본 적도 없고요. 결론적으로 하나씩 해보는 게 낫겠다 싶은데, 강의에서 다룬 내용 중 어느 것을 먼저 학습하는 게 좋을지 쿠케님께 조언을 구하고 싶어요. 물론 정답이 없는 문제지만, 지금 당장 제가 일하는 환경에서는 써먹을 일이 별로 없는 내용들이다 보니 무엇을 먼저 하는 게 좋을지 선택하기가 어렵네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4강 http 서버 만들때 ESM방식으로 해도 될까요?
{ "name": "package-manager", "version": "1.0.0", "main": "app.js", "license": "MIT", "type": "module", "dependencies": { "express": "^5.1.0" } }package.json 에 type: "module" 넣고 import express from "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3000;요런식으로 해도 괜찮겠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실행 계획 공부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 실무에서 SQL 실행 속도가 느릴 때 실행 계획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실행 계획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보니 좀 더 깊이 있게 공부해보고 싶습니다.혹시 추천해주실 만한 자료나 책이 있을까요?또한, 강사님께서는 실행 계획을 어떻게 공부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단일 키로 행을 식별할 수 없을 때 어떻게 설계하나요?
실무에서 단일 컬럼 PK만으로 행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영화 예매 시스템에서 ‘상영회차’와 ‘좌석’ 정보를 조합해야만 특정 예매 내역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을 때가 있죠.이런 경우 복합키를 사용하게 되는데, 실제 설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복합키를 구성하고, 단일 PK와 비교했을 때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경험 기반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최적화 순서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강사님, 최적화를 진행할 때 보통 어떤 순서로 고민하시나요?예를 들어 트래픽이 몰릴 때 먼저 어디를 확인하고, 어떤 기준으로 개선 방향을 정하시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혼합 모델링의 선택 기준
정규 테이블과 JSON 컬럼을 함께 사용할 때, 정규화를 유지할지 JSON으로 비정규화할지 어떤 기준으로 결정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실무 관련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수강하면서, 문득 궁금한거 질문드립니다.실무에서는 어떤 제약 조건들을 주로 쓰고, 어떤 건 잘 안 쓰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정규형은 종속 분리의 연속으로 받아들이면 될까요?
제 1,2,3 정규형 강의를 들었을 때, 정규형은 종속 분리의 연속이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 남깁니다. 앞에서부터 '제1 정규형 만족 -> 제2 정규형 만족 -> 제3 정규형 만족' 이라는 과정이 종속 분리가 차근차근 진행되는거죠? 제가 생각한 것처럼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모듈 사용 시 단점이 있나요?
모듈 사용 시 장점은 알게 되었는데 혹시 모듈로 많이 쓸 경우 단점 같은 경우도 있을까요? 용량이든지 등등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외래키 사용 여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설계하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외래키 사용으로 데이터 정합성을 지킨다는 전제는 이해했으나,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외래키 사용으로 인하여 쿼리복잡성과 성능이슈로 인하여 사용하지 않고, FK를 걸지않고 seq를 테이블에 넣는식으로 작업하고있습니다.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정합성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해 외래키를 적용하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영한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잘한다’ 혹은 ‘데이터 모델링을 잘한다’는 게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를 들으면서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모델링의 중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문득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잘한다’ 혹은 ‘데이터 모델링을 잘한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졌습니다.설계 과정에는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모델링 등 여러 단계가 있고, 각 단계마다 좋은 설계의 기준이 조금씩 다를 것 같은데요.실무에서는 이런 기준을 어떤 방식으로 판단하시나요?만약 같은 요구사항을 모델링했을 때 한쪽은 유지보수성이 높고 다른 쪽은 성능이 좋은 경우, 어떤 관점에서 우선순위를 정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상관 서브쿼리와 성능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상관 서브쿼리와 성능 설명해 주실때 데이터베이스 옵티마이저가 JOIN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셨는데, 혹시 관련 자료를 찾아 학습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간단한 질문. Workbench가 얼마나 사용되는 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Q. 수업에서 사용되는 MySQL Workbench가 실무에서도 사용될만한 지 혹은 실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비슷한 수준인지,아니면 단순 수업용이라고 보는 게 맞을지 궁금합니다!항상 스승님의 강의가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게 바로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히 잘 듣고 있습니다!일반적으로도 DB 강의에는 Workbench를 사용하는 것 같던데, 이러한 이유가무료라서가벼워서실무 제품과 유사해서중에 어떤 것인지 갑자기 궁금해져서 질문을 드려보게 되었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RDB 선택 기준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강의에서는 주로 MySQL을 사용했는데 현업에서도 PostgreSQL대신 MySQL을 많이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RDB를 선택할 때 기준같은게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Inner Join에서 쿼리 작성 시 ON 절 테이블 배치 순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Inner Join 시 ON의 조건을 선언하는 부분에서, FROM 절에 있는 테이블을 먼저 작성하고, 이후 Join 절에 있는 테이블을 작성한 것을 보았습니다.ex. select u.address from orders ojoin users u on o.user_id = u.user_id where o.order_id = 1 ; 여기서 u.user_id = o.user_id 라고 작성해도 동일한 결과를 반환하는데, o.user_id = u.user_id 형태로 쓴 것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함인가요? 아니면 성능상의 이슈가 있는 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명확한 명세서 없이 진행된 프로젝트
스키마 명세서, 요구사항 명세없이 유지보수, 개발된 프로젝트의 경우 스키마 명세서를 나중에라도 추가해서 관리하는게 훨씬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