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AI] 프롬프트만으로 아이디어 구현하기_바이브코딩 입문
'q'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배치 파일..
지금 웹스크래핑에서도 그렇고 이전 헬로월드에서도 그런데...코드 작성 지시하고 실행을 누르면.. 우측창에서 아래와 같이 뜨면서 에러가 납니다. ..venv\Scripts\python.exe main.pyH:\project508\2_web_scraping>q^D^C'q'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라고요...물론 터미널창에서는 에러가 나거나 실행이 되기는 합니다만, 우측창에서 저 q에 대한 에러가 나는 이유와 에러 생기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에러고민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오류가 안잡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미해결쉽게 설명하는 AWS 기초 강의
라우터Router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교재 p.30 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해당 페이지를 보면 local router에서 전달된 frame에서 다시 packet을 복원 후,다음 router로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frame을 다시 만드는 과정이 나와 있는데요.질문>router에서는 전달 받은 frame으로부터 packet을 복원하는 과정과 복원된 packet을 보고 내가 전달해야할 router 도는 switch를 위한 frame을 새롭게 만드는 과정이 모두 일어나는 것이 맞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데이터 50퍼센트 추출 코드에서
len함수로 세서 나누기 2를 하는 코드로 알려주셨는데len(df)*0.5)이렇게 작성해도 될까요?
-
해결됨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HLS를 통한 BRAM 코드 자동 생성
안녕하세요, 맛비님!현재 BRAM을 직접 생성하고, 데이터를 쓰고 읽은 뒤,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실습을 진행 중입니다.맛비님께서는 HLS를 통해 BRAM을 자동 생성하셨다고 하셨는데요, HLS 사용법을 아직 잘 모르는 상태에서는 Verilog로 직접 코딩해서 모듈을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인 접근일까요?아니면 HLS를 빠르게 익혀서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AI 인턴이 알려준https://inf.run/wERhr해당 질문 통해서 도움 받았습니다! ㅎ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모의고사 시험환경으로 링크타고 들어가서 보이는 문제랑 다른데요
시험환경에서는 문제가 최소 최대 척도인데강의에서 보이는 문제랑 다른데요.. 제가 잘 못들어간 것일까요?
-
미해결블렌더 그리스펜슬 베이직 클래스
alt 키 누르고 동시에 움직였더니 lock되는데요
안녕하세요.블렌더 왕초보라서... 질문드립니다.alt + 마우스휠 동시에 누르면 zoom이 되고ctrl + 마우스휠을 동시에 누르면 이동이 되는데제가 동시에 alt, ctrl 을 누른건지 ㅠㅠ모자를 따라 그리려고 줌하고 이동하면lock 이 걸려요.혹시 이럴 때 lock을 쉽게 해제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구글에서 검색해봤는데 잘 모르겠어서질문남겨요. 미리 감사합니다.
-
미해결쉽게 설명하는 AWS 기초 강의
라우터까지 데이터 전달하는 과정 중 질문
안녕하세요. 해당 강의 p.26 과정에서 헷갈리는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1. 대상 ip가 로컬이 아닌 것을 식별하는 과정을 network 계층(layer 3)에서 일어나는 것이 맞나요?2. 라우터의 ip는 알지만 mac 주소를 모르므로 ARP를 활용할 때는 switch를 통해 일어나므로 해당 과정은 data link 계층(layer 2)에서 일어나는 것이 맞나요?3. 2.의 과정을 통해 라우터의 mac 주소를 찾고나면 p.22에 나온 것처러 ip-mac pair를 저장하는 table에 등록해야 하는데, 이 때 ip-mac pair들을 기록하는 table은 어디에 존재하는 것인가요?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개발 환경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CS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다음학기 들어야 할 코스와 선생님 강의의 커리큘럼이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이 강의를 꼭 들으면서 예습을 하고 싶어서 수강 결제를 진행했으나 후에 강의가 윈도우 개발환경에 맞춰져있다는 설명을 보았습니다.맥북 유저이지만 대체할만한 강의를 찾지 못해서 되도록 이 강의를 수강하고 싶은데어느 정도 불편함을 감수하고서라도 이 강의를 수강하는 것에 대해 조언해 주실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LikeApiTest 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LikeApiTest 에서 unlike 메서드에 lockType을 추가 하지 않아도 테스트가 깨지지 않은 이유가 궁금한데요.. unlike 메서드에 lockType을 추가하지 않고api를 호출하면 해당 uri경로가 없지 않나요?
-
미해결하울의 안드로이드 인스타그램 클론 만들기
CloudFireStore에 데이터가 들어가지 않아요
//Promise method (권장) storageRef?.putFile(photoUri!!)?.continueWithTask { task: Task<UploadTask.TaskSnapshot> -> return@continueWithTask storageRef.downloadUrl }?.addOnSuccessListener { uri-> var contentDTO = ContentDTO() contentDTO.imageUrl = uri.toString() contentDTO.uid = auth?.currentUser?.uid contentDTO.userId = auth?.currentUser?.email contentDTO.explain = findViewById<EditText>(R.id.addphoto_edit_explain).text.toString() contentDTO.timestamp = System.currentTimeMillis() // :: firestore에 들어가지 않음!! firestore?.collection("images")?.document()?.set(contentDTO) setResult(Activity.RESULT_OK) finish() } 강의처럼 진행했고 오류도 안나고 하는데도 Cloud Firestore에 들어가지 않습니다..ㅠ 규칙도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
해결됨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앱 다작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다작 관련된 부분 수강 중에 추가로 노하우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회원 관리는 어떻게 하는지 아래 사항들이 궁금합니다. 회원들이 가입해서 사용하는 서비스들도 하시는것같은데, SNS 로그인 등 외부 api를 사용해서 하는지 궁금합니다.(하신다면 효율적으로 어떻게 관리하는지, 안하신다면 어떤 식으로 가입시키는지)회원들의 데이터들도 전부 한 DB를 사용해서 하는지 궁금합니다.(각 서비스별 디비 칼럼이 다 다를것같아요)DB를 하나로 300개 이상의 앱을 했을 때 회원 테이블은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5.4버전 블랙보드 AttackInRange의 이름 변경이 안됩니다.
언리얼엔진 5.4버전을 사용하며 따라하면서30:00경 Selector의 데코레이터로AttackInRange를 추가 후 NodeName = TEXT("CanAttack");을 하였지만, 블루프린트 내에서는 정상적으로 변경이 안되는 이슈가 있습니다.찾아본 결과, 5.1버전 이후는 헤더에서 UCLASS(DisplayName = "블루프린트 내 표시명")이런식으로 작성해야 블루프린트 내에서 정상적으로 설정한 이름으로 보이고, 보인 이름을 눌러서 추가하면, NodeName으로 설정한 이름이 표시가 되는데요.이의 경우에도 기존에 만약 AttackInRange를 추가한 상태이면 ATtackInRange의 이름이 변경이 되진 않습니다. 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거나 실수한 부분 때문에 이런 이슈가 생겼는지 확인차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views의 세번째로 큰 도시를 구할때?
풀이과정에서 iloc로 views가 세번째로 큰 도시를 출력해내는데실제 시험에서는 정답만 기입하면 되는데 혹시 iloc로 구하지않고 육안으로 답을 알아보면 굳이 저렇게 까지 진행하지 않아도 될까요?아니면 출력하는 마지막 코드까지 완성을 해둬야 하는걸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도커 설치 명령어 (해결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수업 자료에 있는 도커 설치 명령어를 복사 붙여넣기 했는데 설치가 안되고 command not found 라는 답만 나옵니다. 왜 이러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사이킷런을 이용한 GMM 군집화 실습 강의 중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사이킷런을 이용한 GMM 군집화 실습 강의 중 질문입니다.9:15 에서transformation = [[0.60834549,-0.63667341],[-0.40887717,0.85253229]]로 설정하면 된다고 하셨는데이 값들은 어디서 도출된 값인가요?이 부분은 자세한 설명 없이 바로 다음 부분으로 넘어가시는데요,이 값들이 어떻게 도출된 값들인지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tls ingress 기본값 설정
apiVersion: networking.k8s.io/v1 kind: Ingress metadata: annotations: nginx.ingress.kubernetes.io/ssl-redirect: "true"tls 적용된 ingress는 redirect 기본값이 true라고 적어주셨는데kubectl get ingress -n anotherclass-322 portal-3222 -o yaml 로 보면 안나오는데위에 기본값은 원래 있다는 의미로 저렇게 적어만 주셨던걸까요? 그리고 portal.com:31443/hostname으로 접속하면 페이지가 열리는데 portal.com:31080/hostname 요청하면 https로 리다이렉션 되니 페이지가 열려야 하는거죠?그런데 노드포트가 아니니 안열리는것 뿐인거고...실제는 portal.com:31443/hostname이거 요청했을때와 똑같은 페이지가 열려야 하는거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도메인 설계에 대한 고민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erd 설계를 하다가 스스로 의문이 조금 들어서 질문드립니다.현재 다음과 같은 앱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AI 모델과 연동해서 추천 시스템을 생각 중인데 도메인 설계에 대해서 궁금한 부분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package forpracticejunbao.junbaoprac_be.recommend.domain; import forpracticejunbao.junbaoprac_be.user.domain.User; import forpracticejunbao.junbaoprac_be.common.util.Base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lombok.*;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Table(name = "recommend") @Entity @G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Builder public class Recommend extends BaseEntity { @Id @Column(name = "recommend_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user_id", nullable = false) private User user; @OneToMany(mappedBy = "recommend",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Builder.Default private List<RecommendClusterOption> recommendClusterOptions = new ArrayList<>(); @OneToMany(mappedBy = "recommend",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Builder.Default private List<RecommendValueOption> recommendValueOptions = new ArrayList<>(); @OneToMany(mappedBy = "recommend",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Builder.Default private List<RecommendResult> results = new ArrayList<>(); public void updateRecommendClusterOptions(List<RecommendClusterOption> recommendClusterOptions) { if (this.recommendClusterOptions != null) { this.recommendClusterOptions.clear(); this.recommendClusterOptions.addAll(recommendClusterOptions); } else { this.recommendClusterOptions = recommendClusterOptions; } } public void updateRecommendValueOptions(List<RecommendValueOption> recommendValueOptions) { if (this.recommendValueOptions != null) { this.recommendValueOptions.clear(); this.recommendValueOptions.addAll(recommendValueOptions); } else { this.recommendValueOptions = recommendValueOptions; } } }Recommend 클래스를 만들고, ClusterOption(클러스터 선택)과 ValueOption(계절, 요일 등등)을 일대다 다대일로 풀고자 했는데 이 두가지 엔티티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아서 그냥 하나로 합치는게 좋을지(그냥 enum으로만 구분) 아니면 의미적으로 좀 다르기 때문에 구분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클러스터 선택과 계절 선택은 하나만 선택 가능, 나머지는 하나 이상 선택 가능 조건이기에 클러스터와 계절을 도메인으로 묶을지도 살짝 고민이 되는 것 같습니다..)결과를 RecommendResult로 보여주고자하는데(ai 추천 받은 top 5값에 대한 스팟 정보 제공 목적) 괜찮은 설계일지 궁금합니다.init.sql을 통해 클러스터, 계절, 요일 등 초기값들을 insert 해주고, spot 정보는 csv 파일로 부터 읽어오도록 구현하고 있는데(@PostConstruct, implementation 'com.opencsv:opencsv:5.5' 이용) 실제로 이런 설계에서 초기값을 주입하고 이후 로직 구현하는게 실무적으로 일반적인 방식인지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도커 컴포즈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현재 Docker Compose를 활용하여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다루는 강의를 수강 중입니다. 섹션 6, "Docker Compose를 활용해 2개 이상의 컨테이너 관리하기"의 마지막 파트를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강의를 따라 실습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이렇게 문의드립니다.현재 Docker 환경에는 DB와 Redis가 구성되어 있는데요,$ ./gradlew clean build$ docker compose down $ docker compose up --build -d위와 같은 순서로 명령어를 실행하였습니다.여기서 ./gradlew clean까지는 이해가 되지만, gradlew build를 실행하면 아직 DB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JAR 파일이 빌드되는 것이므로 오류가 발생해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그래서 오히려 docker compose up --build -d 명령어로 컨테이너를 먼저 실행시킨 다음에, ./gradlew clean build를 실행하는 것이 더 맞는 순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혹시 이에 대해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id컬럼 삭제
test_id=test['id']test = test.drop(['id'],axis=1)이렇게 해도 괜찮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