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argo image updater 이미지명 규칙 수정 문의
88. ArgoCD Image Updater를 이용한 이미지 자동배포 (💻 실습)강의 실습 도중 발생한 문제와 해결 방법에 대해서 공유 드립니다. ArgoCD를 통해서 2232 Application을 배포할 때values-dev.yaml 파일을 사용하여 helm chart 앱을 생성했습니다. 강사님께서 제공해주신 git 코드(fork한 코드 repo, 하기 코드 블록)를 통해서 application 생성 했을 때,자연스럽게 1pro/api-tester:1.0.0 이미지를 가지고 와서 pod를 생성했습니다. 2232/deploy/helm/api-tester/values-dev.yamlimage: repository: 1pro/api-tester pullPolicy: Always tag: 1.0.0이후 Image-updater를 사용하여 image의 변경사항을 감지하려고 했으나 image-updater 파드에서는 감지되지 않았고, 당연히 argo cd에서도 sync 되지 않았습니다. 해당 문제를 찾아보니 regex 식의 규칙과 기존 이미지의 이미지명 형태가 동일해야 image updater가 인지를 하는 것 같아 하기 argo application과 연결된 git 디렉토리의 코드(2232/deploy/helm/api-tester/values-dev.yaml)를 같게 변경했더니 image-updater가 정상동작하면서 auto sync도 제대로 실행되었습니다. image: repository: alchdliodd/api-tester pullPolicy: Always tag: 1.1.1-250604.171111 강의 영상에서는 이렇게 맞추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 같았는데,이 현상이 argo image updater의 버그인지, 아니면 원래 해당 규칙을 맞추어야 하는 것인지 문의 드립니다.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 기간 연장 부탁 드립니다.
사내 업무로 인해 지속적인 수강이 어려운 상황입니다.가능하다면 수강 기간 연장을 통해 완강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강의 자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섹션 12 - HTTP 서버 만들기 강의자료 26페이지 HttpResponse코드에 setStatus() 메서드 이름이 setStatusCode()인 것 같은데 "Code"가 빠져있어요. 그래서 강의자료 30페이지에 있는 HttpRequestHandlerV4코드 notFound()메서드에서도 setStatusCode가 아닌 setStatus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
미해결
교육정보화재단 강의선정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교육정보화재단으로부터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를 무료로 들을수 있다고 연락이 왔습니다.(6/3 부터 가능하다고)인프런으로부터 메일이와서 그룹가입(?) 등을 완료했는데로그인해보면 해당 강의가 결재를 해야 들을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제가 뭔가 잘못한게 있는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부모타입도 빈에 등록 되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 내용중에 부모타입으로 조회시 자식 빈까지 모두 조회된다 라는 부분에서 궁금한 점 있습니다. 강의에서 TestConfig 클래스에서 RateDiscountPolicy 와 FixDiscountPolicy 타입을 빈으로 등록합니다.그리고 이 두 타입을 모두 조회하기 위해서 ac.getBeansOfType(DiscountPolicy.class) 에 부모타입인 DiscountPolicy.class를 넣어 조회했습니다. 그리고 또 ac.getBeansOfType(Object.class) 을 하여 자식 타입을 모두 조회했습니다.여기서 궁금한것은 DiscountPolicy나 Object 클래스는 Config 클래스에서 빈으로 따로 등록하지 않았는데도 어떻게 조회가 가능한건가요?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안녕하세요! section21강의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section21.Quiz부분에 대한 해설 및 강의를 듣고싶은데 어디서 들을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모의문제도 아니고 모의고사도 아닌것같더라구요! ㅠㅠ
-
해결됨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langsmith 사용하지 않고 개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현재 유료 결제나 외부로 API를 연동하는 것이 사내 보안 규정 상 어려운 상황입니다.강의에 나온 대로 langchain-core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는 경우 core 내부에 langsmith를 쓰는 import 가 있어 langsmith를 반드시 사용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langsmith가 유료로 변경되면 API 키가 필요한 상황이라 현재 사내에서는 사용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이런 경우 langsmith를 사용하지 않고 유사하게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무료도메인으로 HTTPS 인증서 발급 못하나요?
AWS Certificate Manager를 통해서 인증서를 발급받으려고 하는데 계속 도메인 형식이 알맞지않다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무료도메인으로는 HTTPS 인증서 발급을 못하는걸까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OrderSpecifier)관련 내용 어디있을가요 섹션7에서 스프링 데이터 JPA는 자신의 정렬(Sort)을 Querydsl의 정렬(OrderSpecifier)로 편리하게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한 다. 이 부분은 뒤에 스프링 데이터 JPA가 제공하는 Querydsl 기능에서 살펴보겠다. 37. 스프링 데이터 페이징 활용3 - 컨트롤러 개발-> 여기 챕터에서 뒤에 강의에서 설명하겠다하셨는데 어디 강의일까요.. 섹션8에 OrderSpecifier관련 내용은 없는거같은데요,,?
-
미해결네트워크, 그림과 애니메이션으로 이해하자(2025ver)
퀴즈 1단원에 강의에서는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 나옵니다~
캐스트 부분은 강의 자체가 누락된 것 같습니다. 강의 자료에는 내용이 있는데, 강의는 없다보니... 문제를 맞출 수가 없네요 ㅠ강의에서 페이로드에 대한 언급은 없던 것 같은데 ㅠㅠ 이상하네요 ㅠㅠ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최신 webflux 라이브러리에서 yml 작성법
server: port: 8000 eureka: client: register-with-eureka: false fetch-registry: false service-url: defaultZone: http://localhost:8761/eureka spring: application: name: apigateway-service cloud: gateway: server: webflux: routes: - id: first-service uri: http://localhost:8081/ predicates: - Path=/first-service/** filters: - AddRequestHeader=first-request, first-request-header2 - AddResponseHeader=first-response, first-response-header2 - id: second-service uri: http://localhost:8082/ predicates: - Path=/second-service/** filters: - AddRequestHeader=second-request, second-request-header2 - AddResponseHeader=second-response, second-response-header2위처럼 weflux:라고 yml에서 작성해주셔야 잘 동작합니다.
-
미해결[중급편] 친절한 JETPACK 개론 <하> (Android Kotlin)
suspend fun 과 viewModelScope.launch 에 대해 궁금합니다.
강의를 보니 viewModel 에서 Room 에 CRUD 를 하기 위해서는 비동기 처리를 해야 하고,1. 이를 위해 viewModelScope.launch 를 사용하는 것 같은데 맞을까요?viewModel 의 CRUD 함수를 suspend fun 으로 만들면 viewModelScope.launch 를 안써도 되는 건가요?
-
해결됨디지털포렌식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실기 시험대비 강의(Encase/Autopsy)
혹시 단축키 관련 강의도 찍어주실 수 있으실까요?
안녕하세요.강의 전부 듣고 시험 준비 중인 학생입니다. 시나리오 연습 문제를 풀다보니 제가 문제 푸는 속도가 많이 느린 거 같아 걱정입니다. 그래서 혹시 강사님께서 시험 중 시간 단축에 유용한 단축키들을 모아서 소개하는 강의를 찍어주신다면 많이 도움 될 거 같습니다. 일단 저도 제 나름대로 이것저것 연구하고 있는데 유용하게 쓰고 있는 거 몇 개만 소개드리겠습니다. autopsy ctrl+E => 한글, pdf, jpg 등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서 우클릭+extract file을 하게 되는데, 단순히 확인만 하려는 경우 이 단축키로 빠르게 확인하고 넘어갈 수 있어서 좋습니다 ctrl+B => 북마크 기능인데 약간 취향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저는 꽤 도움되는 거 같습니다. 의심되는 파일을 일일히 추출하고 메모장에 적어두는 거 보단 북마크를 해뒀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추출하는 게 편한거 같아요 파일 탐색기 파일 우클릭 + R => 가끔 파일 속성을 확인해야 되는 경우가 있는데(특히 exif) 약간의 차이이지만 익숙해지면 마우스로 클릭하는 거 보다 확실히 빠르고 편한 거 같습니다. 제가 초보자라 이 정도 밖에 모르는데 또 유용한 게 있다면 소개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강의 내용 빈약함
EC2 설정하고 RDS 설정하고그 후에 어떻게 하라는 건지 설명이 없어요...구글링하면서 보안 설정은 했는데마지막 강의가 너무 설명이 없었어서 따로 강의를 추가해주셨으면 해요나머지 강의는 다 좋은데 배포하기 강의가 너무 아쉽네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PV/PVC (local, hostPath) 강의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5분에 hostPath, local 사용 목적에 관한 질문이 있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사용 목적 2번에서 노드의 디스크 공간이 한정적이라 디스크 공간이 부족해져서 노드가 죽어버리면 그 노드 위에 다른 Pod들도 함께 죽는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여기서 생긴 의문은 hostPath로 node의 Volume을 사용하든 PVC/PV를 이용하여 Volume을 사용하든 특정 Pod에서 사용량이 많으면 어떤 경우든 죽어버릴 것 같다는 것입니다.아니면, hostPath는 용량을 설정하지 않는데 비해, PVC/PV에서는 용량을 설정해주는 옵션이 있어 해당하는 Pod만 죽고 다른 Pod에는 영향이 없는 걸까요?
-
해결됨PCB HW설계 실무 : STM32를 활용한 Mixed-signal 보드 설계 프로젝트
TVS diode 선택 관련
Ethernet PHY 칩 회로에 사용할 TVS diode를 선정할 때 클램핑 전압이 8.8V인 제품을 선택하셨습니다.클램핑 전압은 보호하고자 하는 IC 칩의 최대 전압보다 낮아야 한다고 이해하였는데, Ethernet PHY 칩의 최대 전압은 4V로 선택한 TVS diode의 클램핑 전압보다 낮습니다.왜 해당 TVS diode를 선택한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미해결
프로젝트 공유
안녕하세요 중간까지 따라갔는데 너무 힘드네요..유니티 프로젝트를 받고 싶습니다.audtn0508@naver.com입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4 (#Promethues #Grafana #Loki #OpenTelemetry)
grafana 대시보드 datasource관련
기존에 mymonitoring이라고 해서 cpu//memory 대시보드 만든건 쿼리에 메트릭조회가 잘 됩니다.거기에서 보면 DataSource 부분에 mixed가 선택되어있고 밑에 A, B 쿼리에서 ${datasource}가 선택되어있는데 ...저 mixed선택부분에 밑에 여러개 리스트가 보이던데 원래 mixed그대로 두는게 맞는지..저기에 보이는거랑 밑에 A,B에서 선택하는거랑 무슨차이가 있는지요? 왜 여쭤보냐면 nginx-controller 강사님 하신대로 대시보드 복사해서 왔는데 거기에는 A,B,C에는 Datasource 이미 prometheus가 선택되어있고 A,B,C에는 선택이아니라 그냥 이름만 표시되어있어서요..어떻게 하는게 맞는건지 헷갈립니다.${datasource} 그리고 그랸 Prometheus 이거 차이는뭔지 헷갈립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Jenkins 파일 - 파라미터 사용법 차이
안녕하세요섹션 18 - 82번 강의 : 배포 파이프라인 구축 후 마주하게 되는 고민들(실습)수강 중 Jenkins 파일에 대한 질문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Jenkins 파일을 작성할 때, parameter로 PROFILE(배포환경선택)과 DOCKERHUB_USERNAME(도커허브유저명)을 설정하셨는데 하기 코드를 보시면 parameters { // 배포 환경 선택 choice(choices: ['dev', 'qa', 'prod'], name: 'PROFILE', description: '배포 환경 선택') // DockerHub 사용자명 입력 string(name: 'DOCKERHUB_USERNAME', defaultValue: '', description: 'DockerHub 사용자명을 입력하세요.') // GitHub 사용자명 입력 string(name: 'GITHUB_USERNAME', defaultValue: '', description: 'GitHub 사용자명을 입력하세요.') } stage('헬름 배포') { steps { // helm 명령 사용 - [1] 중요 데이터 암호화 관리 withCredentials([file(credentialsId: 'k8s_master_config', variable: 'KUBECONFIG')]) { sh "helm upgrade api-tester-${CLASS_NUM} ./${CLASS_NUM}/deploy/helm/api-tester -f ./${CLASS_NUM}/deploy/helm/api-tester/values-${params.PROFILE}.yaml" + " -n anotherclass-222-${params.PROFILE} --install --kubeconfig " + '${KUBECONFIG}' + // [5] Helm 부가기능 " --wait --timeout=10m" + // 최대 10분으로 설정 // [2] 잦은 배포 - versioning 무의미, 계획된 배포 - versioning 필수 " --set image.tag=${TAG}" + " --set image.repository=${DOCKERHUB_USERNAME}/api-tester" } } } PROFILE은 앞에 "params"가 붙어있고 (${params.PROFILE}),DOCKERHUB_USERNAME은 환경변수처럼 그냥 ${DOCKERHUB_USERNAME}로 사용하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혹시 choice문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prarmeter의 경우 params를 붙인다던가 하는 규칙이 있는 걸까요? 위 두 개 사용 방법이 다른 것에 원인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f1 스코어는 macro옵션을 다중분류일때만 넣으면되는건가요?
f1 스코어는 macro옵션을 다중분류일때만 넣으면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