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map 컨테이너의 emplace 함수에 대해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개발 복귀 해서 다시 복습 겸 공부 중이다가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강의에서 주로 insert를 사용해 map 컨테이너에 데이터를 추가하고 있는데 emplace 함수가 insert에 비해 불필요한 복사나 이동이 없는 걸로 알고 있어서, 예전에 map에 데이터를 추가할 때는 보통 emplace를 통해 데이터를 추가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혹시 insert가 emplace에 비해 더 나은 점이 있다 거나 혹시 제가 놓치고 있는 게 있을까요?
-
미해결Basic SystemVerilog Testbench ( 회로설계 검증 )
'fork-join_none'으로 시작된 백그라운드 스레드의 종료는 어떻게 관리되나요?
Q. 'fork-join_none'으로 시작된 백그라운드 스레드의 종료는 어떻게 관리되나요?부모 스레드가 자식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는다면, 자식 스레드가 완료된 후 발생하는 '좀비(Zombie)' 상태나 자원 누수(Resource Leakage) 문제는 어떻게 방지되거나 처리되나요?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멀티스레드 단일스레드
멀티스레드와 단일스레드 구조를 선택할 때 어떤 기준으로 결정하나요? 단순히 성능만이 아니라, 트레이드오프 측면에서 고려할 부분도 있을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모듈 사용 시 단점이 있나요?
모듈 사용 시 장점은 알게 되었는데 혹시 모듈로 많이 쓸 경우 단점 같은 경우도 있을까요? 용량이든지 등등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JpaTransactionManager에 대해 궁금합니다.
@Transactional을 쓰지 않고 JpaTransactionManager 사용했을 때 좋은 점이 있을까요? @Transactional과 JpaTransactionManager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default 기능이 있는 interface와 추상클래스의 차이
interface에 default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추상 클래스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업무 중에는 jdk 6 환경까지 컴파일되야 함을 감안하여 코드를 작성하다보니 해당 기능에 대해 아예 생각해본적이 없는데, 팩토리 강의를 듣던 중 default를 통해 interface가 추상 클래스처럼 사용되는걸 보니, jdk 8 이상의 환경, 특히 9에서는 private까지 지원되면 추상 클래스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default 기능을 제공하는 interface와 추상 클래스에 차이가 있는지, 현장에서 interface의 default 기능이 적극적으로 사용되는지, 추상 클래스는 더이상 필요없는 것인지요.기존에 해당 기능을 설명하는 글귀만 봤을 때는 interface를 변경할 때 레거시 코드의 수정없이 변경할 수 있는, 편의성을 위한 기능이라고만 이해하고 넘어갔는데,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인지 궁금하네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AI 시대에서 공부와 실무의 관계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토비님.강의에서 말씀하신 공부할 때는 AI 관련 도구를 끄고 지식을 습득 해야 한다는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이전에도 공부와 실무 사이에는 늘 간극이 있었고, 이번 강의는 그 간극을 인지하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신다고 느꼈습니다.그런데 요즘은 AI가 빠르게 보편화되면서, 공부와 실무의 관계가 또 다른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실제로 신규 업무나 개인 프로젝트에서 AI의 활용 방식과, 기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거나 확장하는 과정에서의 AI의 활용 방식이 다르게 느껴집니다.이런 변화 속에서 AI를 새로운 학습 형태이자, 학습과 실무를 잇는 새로운 도구로 봐야 할지, 아니면 보조적인 수단으로 바라봐야 할지 고민됩니다.토비님은 실무에서 AI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계신지, 그리고 이 시대의 개발자가 어떤 균형점을 가져야 한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Elasticsearch 입문 (검색 최적화편)
60강 ProductDoument 코드 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바쁘신 와중에 질문드려 죄송합니다...단순한 질문 같지만 ProductDocument 코드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Elasticsearch 관련 Document 코드에 @AllArgsConstructor나 @Data같은 롬복(lombok) 애노테이션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을까요...?추가로 실제 실무에서 Document에 롬복을 사용하는지 강사님 코드대로 직접 생성자, getter & setter를 작성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고도 엔진(Godot Engine)을 통한 게임 개발 박치기!! - 기본 개념부터 실전 게임 제작까지 한방에!
노드의 내장 시그널 이용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강사님꾸준하게 피드백 주셔서 감사드립니다.시간이 부족하다는 핑계로 수업 진도가 좀 많이 늦어졌네요 ㅠ 51강의 1:45초 부근에 대한 질문입니다.player 씬에서 BoostTimer의 내장 시그널(timeout())을 이용하여 시그널이 연결되어 있었는데, 이것을 삭제하고 수동으로 연결을 해주셨습니다. 그런데 보다보니 '굳이?' 라는 생각이 듭니다.내장 시그널을 이용하면 코드를 직접 작성할 필요가 없고, 시그널이 연결된 함수를 찾아가기에도 편하고 여러모로 편한것 같은데, 직접 작성하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http api get, post 멱등
[질문 내용]강의를 듣다가 멱등에 대해 이해가 잘 안가서 질문남깁니다.조회같은 경우 get을 주로 사용하고 멱등이 여러번 조회해도 결과가 같다고 들었습니다.get으로 조회하는 것과 post로 조회할 때 검색어가 동일하다면 동일한 결과가 계속 나오는게 아닌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외래키 사용 여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설계하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외래키 사용으로 데이터 정합성을 지킨다는 전제는 이해했으나,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외래키 사용으로 인하여 쿼리복잡성과 성능이슈로 인하여 사용하지 않고, FK를 걸지않고 seq를 테이블에 넣는식으로 작업하고있습니다.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정합성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해 외래키를 적용하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영한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학습자료는 구글드라이브에서만 볼 수 있나요?
강의 영상에 대한 것은 아니고, 잔재미코딩님께 메일 드려서 학습자료를 받은 부분이 아래 캡쳐화면처럼 미리보기로만 볼 수 있게 되어있는 부분이 있는데,미리보기만 지원하다보니 약간 보는데 불편한 부분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잘한다’ 혹은 ‘데이터 모델링을 잘한다’는 게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를 들으면서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모델링의 중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문득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잘한다’ 혹은 ‘데이터 모델링을 잘한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졌습니다.설계 과정에는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모델링 등 여러 단계가 있고, 각 단계마다 좋은 설계의 기준이 조금씩 다를 것 같은데요.실무에서는 이런 기준을 어떤 방식으로 판단하시나요?만약 같은 요구사항을 모델링했을 때 한쪽은 유지보수성이 높고 다른 쪽은 성능이 좋은 경우, 어떤 관점에서 우선순위를 정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상관 서브쿼리와 성능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상관 서브쿼리와 성능 설명해 주실때 데이터베이스 옵티마이저가 JOIN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셨는데, 혹시 관련 자료를 찾아 학습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간단한 질문. Workbench가 얼마나 사용되는 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Q. 수업에서 사용되는 MySQL Workbench가 실무에서도 사용될만한 지 혹은 실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비슷한 수준인지,아니면 단순 수업용이라고 보는 게 맞을지 궁금합니다!항상 스승님의 강의가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게 바로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히 잘 듣고 있습니다!일반적으로도 DB 강의에는 Workbench를 사용하는 것 같던데, 이러한 이유가무료라서가벼워서실무 제품과 유사해서중에 어떤 것인지 갑자기 궁금해져서 질문을 드려보게 되었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도메인엔티티와 JPA 엔티티 분리 문의
안녕하세요. 도메인 엔티티와 JPA 엔티티를 아예 분리하는 case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Domain 패키지에는 순수한 도메인 클래스들만 모아놓고 JPA에선 도메인 엔티티 -> JPA엔티티로 변환해서 사용하는경우도 있나 궁금합니다.
-
미해결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파이썬과 자바를 병행해서 코딩 문제를 2번씩 풀어보는게 좋을까요?
저는 자바를 위주로 코딩과 문제들을 풀고 있는데 강사님의 강의가 파이썬으로 하다보니 파이썬도 동시에 자바 한 번 파이썬 한 번 풀어봐야하는지 고민이네요.. 이게 욕심인지 좋은건지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RDB 선택 기준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강의에서는 주로 MySQL을 사용했는데 현업에서도 PostgreSQL대신 MySQL을 많이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RDB를 선택할 때 기준같은게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Lv.3] 실전 네트워크 통신 - SwiftUI Combine, Async/Await
@Published의 용도
안녕하세요이번 실전 네트워크 통신 강의를 들으며 ViewModel을 만들 때 1번 방법이 아닌 2번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앞쪽 강의에서 기존 1번 방식에서는 변수 생성 시 @Published 를 붙여야했지만, 2번 방식처럼 @Observable을 사용하면 @Published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고 하셔서 결국 위의 두 코드는 같은 기능을 한다고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이번 강의에서 아래와 같이 @Published를 사용하여서, 이 부분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혼자 고민해본 결과로는, - count 변수: 단순히 값을 읽고 쓰는 용도- textFieldID: 퍼블리셔(특정 시간/조건에 따라 값을 방출하는..?)로 사용 위의 용도 차이이다. 그렇다면 기존 방식에서 @Published를 모두 붙여야했던 이유는 무엇인지..? 라는 질문이 또 생기는 것 같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데이터베이스 접근 및 DB 락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데이터 베이스 접근 및 DB 락에 대해서 학습을 하면 "동시성 이슈" 그리고 "트랜잭션 격리성" 에 대한 전반적인 DB Lock 이슈 관리에 도움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