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수박님의 프로필 이미지
수박

작성한 질문수

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DataAccessException과 예외 추상화

JpaTransactionManager에 대해 궁금합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13

0

@Transactional을 쓰지 않고 JpaTransactionManager 사용했을 때 좋은 점이 있을까요? @Transactional과 JpaTransactionManager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수박님.

@TransactionalJpaTransactionManager의 차이에 대해 질문해 주셨군요. 이 두 가지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트랜잭션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지만, 그 역할과 사용 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Transactional:

    • @Transactional은 메소드나 클래스에 적용할 수 있는 애노테이션으로, 선언적으로 트랜잭션을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 메소드에 @Transactional을 붙이면, 해당 메소드는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되게 하며, 오류 발생 시 롤백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가 직접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것보다 코드가 간단해지며, 선언적으로 트랜잭션 처리가 된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2. JpaTransactionManager:

    • JpaTransactionManager는 JPA 사용 시 트랜잭션을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현 클래스입니다.
    • 직접적으로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커밋하거나 롤백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더 세밀하게 트랜잭션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다이나믹한 트랜잭션 경계를 설정하거나, 복잡한 트랜잭션 로직이 필요할 경우 적합할 수 있습니다.

장점으로 볼 때, @Transactional은 코드가 심플하고 선언적인 트랜잭션 관리를 제공하지만, JpaTransactionManager는 더 세밀한 컨트롤을 가능하게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제 코드나 사용 패턴을 참고하면 더 상세한 이해가 가능할 것입니다. 관련해서 더 탐구하고 싶으시다면 다음의 링크를 참고해 보세요:
- JPA 트랜잭션 설정과 스프링 부트의 활용
- 스프링의 트랜잭션 관리 이해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수박님의 프로필 이미지
수박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