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처음이야님의 프로필 이미지
처음이야

작성한 질문수

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JPA와 도메인 모델 패턴

AI 시대에서 공부와 실무의 관계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작성

·

15

0

안녕하세요 토비님.

강의에서 말씀하신 공부할 때는 AI 관련 도구를 끄고 지식을 습득 해야 한다는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

이전에도 공부와 실무 사이에는 늘 간극이 있었고, 이번 강의는 그 간극을 인지하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신다고 느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AI가 빠르게 보편화되면서, 공부와 실무의 관계가 또 다른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신규 업무나 개인 프로젝트에서 AI의 활용 방식과, 기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거나 확장하는 과정에서의 AI의 활용 방식이 다르게 느껴집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AI를 새로운 학습 형태이자, 학습과 실무를 잇는 새로운 도구로 봐야 할지, 아니면 보조적인 수단으로 바라봐야 할지 고민됩니다.

토비님은 실무에서 AI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계신지, 그리고 이 시대의 개발자가 어떤 균형점을 가져야 한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처음이야님께서 질문하신 AI 시대에서의 공부와 실무의 관계에 대한 고민은 현업 개발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AI와 공부 및 실무의 관계

  1. AI의 역할:

    • AI는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학습 방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실무에서도 효율성을 높이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공부 단계에서 AI를 활용하면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자료를 빠르게 찾고, 이해를 돕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는 AI에 너무 의존하기보다는 기초 지식을 쌓고,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2. AI 활용 전략:

    • 신규 업무 및 개인 프로젝트: 새로운 기술이나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AI를 활용하면 초기 설정이나 환경 구축, 기본 코드 생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더 나아가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고, 새로운 솔루션을 시도해 볼 여지를 제공합니다.
    • 기존 시스템 개선 및 확장: 기존 시스템에서는 AI를 사용하여 코드 품질을 높이고, 특히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코드 리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AI를 학습 도구로써 바라보는 관점:

    • AI는 개인의 학습 속도를 높여줄 수 있지만, 항상 AI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개발자로서 스스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먼저 갖춰져야 합니다. AI는 이런 능력을 지원하는 보조 수단으로 바라보면 좋습니다.
  4. 균형점 찾기:

    • 결국 중요한 것은 AI가 제공하는 효율성을 잘 활용하되, 본질적인 개발 능력을 키우는 데 집중하는 것입니다. 즉,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능력을 갖추면서, AI를 통해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이 이상적인 접근입니다.

토비님의 관점

토비님은 강의에서 AI를 보조적인 수단으로 권장하셨으며, AI의 자동화 기능을 활용하더라도 기초에 충실한 학습을 강조하셨습니다. 실무에서는 AI를 활용하여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더 창의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할 수 있는 방향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는 관련 주제에 대해 도움이 될 링크입니다:
- 공부 방법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처음이야님의 프로필 이미지
처음이야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