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개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큰돌님, 큰돌님 강의 덕에 작년에 취업했던 학생입니다. 유튜브도 챙겨보는데, 개고민 컨텐츠에 저도 상담드리고 싶은데 메일로 고민을 보내면 될까요?투고 방법을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
회사의 온갖 뒷처리 다 했더니 성과 리뷰에서 개털림ㅋㅋ
(음슴체로 편하게 써보겠음) 최근에 Glue Work에 대한 글을 봤는데 읽자마자 진짜 내 얘기라 너무 공감됐음. 회사 생활 내내 소위 Glue work만 진짜 열심히 했음. 프로젝트마다 회의록 안 쓰고 넘어가는 사람 있으면 나중에 문제 생길까봐 내가 대신 정리해서 올리고, 갑자기 일정 바뀌면 당황하는 팀원들 사이에서 내가 혼자 부서들 연락 돌리면서 조율하고, 누락된 업무 문서화도 결국 나 혼자 야근해서 정리해놓고 그랬음. 솔직히 그렇게 안 했으면 팀 업무 진작에 난리났을 상황 많았는데, 이번 성과 리뷰 받고 진짜 빡침. 팀장 왈 “이런 일들은 원래 하는 거 아닌가요?” 이러고 넘어감ㅋㅋㅋ 오히려 일 대충 해서 프로젝트 꼬이게 만든 사람은 결국 겉으로 보이는 성과가 있다고 칭찬 받고, 나는 이게 당연한 일이라는 이유로 아무 인정도 못받았음. 이러려고 그동안 남들 귀찮아하는 Glue work 하면서 야근하고 주말에도 신경 썼나 싶어서 너무 허무했음. Glue work가 중요하다는 건 알겠는데, 앞으로도 계속 이럴 생각하면 회사생활 현타 씨게 올 듯. 제발 이런 일들도 좀 알아서 인정해줬으면 좋겠음. 내가본거 https://news.hada.io/topic?id=19671
-
C# 개발자 질문 (경력)
안녕하세요. 현재 5년차 C# 및 .net 개발자 입니다. 주로 메인 경력은 C#으로 MES 시스템(Sever/Client 및 소켓) 프로그램 개발을 했습니다..net 경력은 1년이고, 해당 프로젝트는 인사시스템을 개발했으며, 풀스택으로 프론트는 vue.js로 개발 하였습니다.DB는 mssql, mysql, oracle을 지금까지 다루어 봤구요. 질문 : 제가 지금 회사를 다니면서 거짓말 안보태고 30개 정도 회사에 최근 면접을 봤었는데 (웹개발만 하고 싶어서 이직 결정),면접 다니는 회사마다 C#, .net으로도 요즘 웹개발 하냐는 소리만 듣고, 계속 면접에서 탈락되는 상태입니다.보통 면접 보러가는 회사는 spring 으로 웹개발 하는 회사들이죠.(한국이 90% 이상이 java로 웹개발하니..) 저는 스프링을 김영한 선생님의 강의를 모두 듣고(JPA포함) 가벼운 개인 토이프로젝트를 만들어 봤습니다.나머지 시간은 회사일이 많아 회사일을 했어야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C#으로 경력이 많은 사람도 spring으로 이직을 하려면 10년 경력이 넘은사람이라 한들 신입으로 들어가거나, 못들어가는건가요?즉, 한 언어를 한사람은 평생 그 언어만 하고 살아야 하는건지 아니면 연봉의 눈을 낮춰서 제 연차에도 신입으로 들어가야 하는건지선배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람다에 대한 내용
김영한 강사님 자바 중급 1편 익명클래스 마지막부분에 람다는 나중에 깊게 다룬다고 하셨는데 혹시 어느강의에서 다루는지 알수있을까요?
-
딥러닝 CNN 완벽 가이드 - TFKeras 버전
[새강의 수강 쿠폰 요청]
안녕하세요. 메일을 확인하고 글을 남겨봅니다. 선생님 덕분에 머신러닝을 잘 학습하였고, 딥러닝이나 cv도 틈틈이 수강하고 있던 차에 딥러닝 새로운 강의를 출시되었다고 해서요. 저도 새롭게 다시 학습을 하고 싶은데, 제가 이전에 비즈니스(?) 계정이 되었던 상태에서, 선생님 강의를 개인적으로 다 구매해서 수강했었나봐요. 쿠폰을 보내주시면 새 강의를 다시 구매해서 들어보겠습니다.
-
ㅁㄴㅇㄹ
삭제된 글입니다
-
MFC Windows 프로그래밍 - 응용
안녕하세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강의 덕분에 장비 제어 개발자로 취직을 해서 잘 버텨나가고 있습니다.제가 여쭤보고 싶은 것은 개인적인 호기심 때문입니다.현업에서 우연히 장비 제어 쪽에서 오래 일하신 분들의 코드를 보게 되었습니다. 공통적으로 흥미로운 현상(?)을 발견했는데 장비 통합 제어를 할 때 문자열로 명령어를 전송메인명령어$$$서브명령어###파라미터1@@@파라미터2%%%..... 이런 식으로 명령어를 주고 받고 $$$, ###, @@@, %%%를 파싱해서 명령어를 해석하는 식으로 작성하십니다. 이유를 여쭤봐도 당연히 이렇게 해야한다고 답변을 받았는데, 저로서는 명쾌한 답변이 아니었습니다. MFC를 개발하다보니 장비 제어 쪽으로 입문하게 되었고, 다른 회사 분들의 코드를 접하다 보니 경력직 분들이 이런식으로 작성을 하시던 데, 혹시 선생님께서는 이유를 알고 계신지 여쭙고 싶습니다. 제가 고민한 바로는 1) 문자열로 보내는게 혹시 통신 안정성이나 신뢰성면이 좋아서, 2) 파싱하는 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추후 유지보수 하는 것이 좋아서 이렇게 추측하고 있는데 맞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강의를 모두 듣고 난 후
안녕하세요! 루키스님.해당 강의를 2번 정도 반복해서 들었는데,취업을 위해서 게임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Window API로 2D 게임을 만들고 언리얼을 공부한 뒤 언리얼로 3D 게임을 제작하는 순서로 준비하려고 했는데,DX를 공부해야 된다는 말이 있어서 DX를 먼저 공부한 뒤에 게임을 만들어보는 것이 좋을까요?아니면 원래 제가 생각한 방향대로 가는 것이 좋을까요? 혼자 고민한 뒤 정말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
React, Node.js, MongoDB로 만드는 나만의 회사 웹사이트: 완벽 가이드
요즘시장에 MERN스택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가 많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몽고디비 시장은 어떤지 궁금합니다.요즘 시장에 몽고디비(MERN)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사업들이 많이 있나요?제가 NOSQL위주로 취업을 준비중이라서요 ㅠ MYSQL 및 시퀄라이저를 활용 할줄알지만, 몽고디비가 너무 좋아서요
-
[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클라이언트 개발자 공부 방향성
안녕하세요, rookiss님.클라이언트 개발자로서의 공부 방향성에 대해 고민이 있어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남깁니다. [저의 현재 상황]1. C++ 기초 지식 보유 (rookiss님 part1 강의 수강 및 추가 학습)2. 언리얼 엔진 기본 사용법 숙지 (싱글 게임 클론 프로젝트, 싱글 게임 프로젝트, 리슨 서버 기반 멀티 게임 제작 경험) [본래 계획]코딩 테스트 준비 + (Part 4, 5 or 스킵) + D1, 라이라 모작 or 소스코드 분석 강의 수강 + 개인 프로젝트 진행 + 그래픽스 학습 [고민]최근 게임 업계 취업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내년 하반기 취업을 대비하기 위해"언리얼 엔진만을 깊이 파고들 것인지" 아니면 "유니티까지 함께 공부하여 범용성을 높일 것인지" 고민이 큽니다...어느 방향이 보다 현실적으로 취업에 도움이 될지 조언을 들어보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
혹시 기술면접공부는 어떤식으로 하시나요?
학창시절부터 발표며 면접이며 죄다 망쳐왔던터라 잘 준비해보고싶은데어디부터 어떻게 공부해야하는지를 모르겠네요..그냥 면접에 자주 나오는 질문들을 달달 외워서 공부하는게 맞을까요?다른 분들은 어떻게 공부하시는지 궁금해요
-
할인행사하는 강의는 쿠폰 할인같이 중복할인 안되는거죠?
중복할인 가능 여부 여쭤봅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하루 강의 얼마나 들어야 좋을까요?
현재 방학 기간이여서 시간이 그냥 비어있습니다.꾸준히 학습은 하고 있지만 더 강의를 들으려고 하면 전에 배웠던 내용을 잊어버릴까봐 학습량을 증가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개인적으로 진도를 조금 더 속도를 내고 싶다는 마음에 질문 남깁니다!보통 이런 경우에는 다들 하루에 강의 몇개씩 듣고 복습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
DevOps/백엔드 신입 파트타임 취직을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경제적인 사정으로 인해 여름방학 전에, 졸업 전에, 휴학 없이, 파트타임으로 취직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핏만 맞으면 스타트업이라도 취직 의향 있습니다. 어디든 하루빨리 커리어를 시작해야 하니까요.학교는 spk 비전공(이과)에 개발 동아리에서 2년 간 활동경험(Proxmox VM 및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운영, DB 마이그레이션 등) 있습니다. 향후 전과로 컴공에 편입은 가능하나 확실하진 않습니다. (편입이 실현되지 않더라도 핵심 강좌는 다수 수강해 둔 상태입니다.)문제는 학벌 외에 객관적인 스펙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현재 스펙으로는 풀스택 웹서비스 1인 개발에 쿠버네티스 자격증(CKA)이 있습니다. 여름방학 전에 협업 프로젝트 강의(유니티 게임 개발)를 이수할 예정이지만 게임 개발이므로 Git 등 협업 스택 경험 위주로나 의미가 있을 것 같고, 웹서비스를 개발하면서 얻은 AWS 운영 경험을 토대로 AWS SAP 자격증도 추가로 취득할 계획입니다. 또한 인터넷의 사이드 프로젝트에 백엔드 포지션으로 참여할 생각입니다.일단 현재 시장에 신입 DevOps 구인 포지션이 많지 않기 때문에 JavaScript/Python 백엔드 포지션을 투트랙으로 준비할 계획이고, 이중 백엔드로 커리어를 시작할 경우 장차 DevOps로 진로를 밟아 나갈 생각입니다.또한 PC에서 Proxmox 클러스터를 운영함으로써 DevOps 씬에서 요구되는 기술 스택 또한 연습 중입니다. 추가적으로 취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전략적인 노력이 필요할까요?1. 현재까지 서류 합격률은 매우 높으나(>50%) 아직 몇 차례의 면접에서 최종 합격하지 못했습니다. 신입 DevOps 특성 상 지원 횟수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지원 횟수를 높이려면 백엔드 포지션을 노려야 할까요?1-1. 현재 웹서비스 개발 경험 외에 백엔드 스택(Express, Django) 숙련도가 낮은 바, 어떤 전략으로 준비해야 할까요?1-2. 면접 과정에서 혹시 레드 플래그가 있다면 무엇일까요?2. 제가 준비 중인 전략 외에 면접관 입장에서 유효한 전략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그외에도 목표 달성을 위한 조언을 제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프로젝트 경험이 없는 경우
삭제된 글입니다
-
IT회사 or 전산직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취득해야 할 자격증 있을까요? 기사하나, 컴활하나 가지고 있습니다현재는 토익 공부 중 입니다.
-
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현재 퍼블리셔인데 풀스택 개발자로 성장하고자 java 입문 강의를 듣기 시작하였습니다. 챗지피티한테 커리큘럼에 대해 조언을 구하니..백엔드 기초 java+spring+MySQL 을 먼저 시작하는 게 좋다고 해서요! (웃길 수도 있겠네요 ㅎ)직장과 병행하여 진행 예정인데 java 강의를 중급까지 듣고 spring boot 강의로 넘어가면 될까요? 혹시 입문으로 spring boot와 MySQL 강의를 추천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커리를 어떻게 타면 될지 조언을 구합니다^^
-
IT 경력직을 위한 맞춤 커리어 학습 PlanIT 의견을 보태주세요.
저희는 SeSAC 프로덕트 매니저 주니어 양성과정을 수강중인 학생들입니다. 저희는 이전 기획을 보완하여 IT 경력직을 위한 맞춤 커리어 학습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실 유저의 요구사항을 파악 / 적용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준비했습니다. IT 산업 재직 중이신 업계 선배님들의 의견이 절실히 필요합니다.저희의 기획이 아직 많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동료로서, 업계 선배로서 의견을 주신다면 귀담아 새겨듣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valentine48089.softr.app/
-
IT 취업을 위한 맞춤 학습 로드맵 서비스, PlanIT✨ 출시를 위해 의견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저희 PlanIT(플랜잇)은 대학생 개발자 팀으로, 맞춤형 학습 로드맵을 설계하고, 실무 프로젝트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를 기획 및 개발하고 있습니다.앱 배포를 목적으로 기획/개발하고 있는데, 해당 서비스가 정말로 도움이 되는지 확신이 필요해 간단하게 랜딩페이지와 설문조사를 제작하였습니다. 아래 서비스 소개 페이지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의견 한번씩 남겨주시면 저희에게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https://plan-it.softr.app 여러분의 작은 의견 하나하나가 저희 팀에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네카라쿠배 면접관의 경력기술서 (/feat. 서류합격률 100%)
안녕하세요 강사님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수강하였습니다.다름이 아니라 경력 개발자가 정보보안 - 취약점진단 신입으로 취업하려고 하는데,혹시 그와 관련해서 포트폴리오와 이력서에 추가하면 좋은 것들과 조언해주실 만한게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