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프로세스 제로투원 : Figma로 기획부터 디자인, 딜리버리까지
인프런
디자인 팀도, 기획서도, PM도 없는 환경에서 우리는 어떻게 기획하고 전달하고 설득할 수 있을까요? 전 29CM 프로덕트 디자인 리드 김영준 디자이너가 Figma를 중심으로 셀프 프로덕트 전략을 실전 사례와 함께 공유합니다. 구조 없는 환경에서 살아남는 법부터 Figma 하나로 구조를 세우는 법까지 자세히 알아보세요.
입문
Figma, 프로덕트디자인
成長する IT 人の祭典、インフコン 2024 で行われたオープニングおよび発表セッションを動画で再視聴できます。
Inflearn サービスのビジョン、成果、将来計画を共有
開発、PM/PO、プロダクト デザイナーが直面する成長課題に関するアドバイスと経験の共有
AI を実務に適用した事例の共有
学習対象は
誰でしょう?
さまざまな開発者、PM/PO、プロダクト デザイナーの実務者がどのように働いているのかを知りたい方
技術力とビジネス理解力を同時に高めたい方
プロジェクト管理とチーム コラボレーションに関心のある方
自己ブランディングとコンテンツ制作に興味のある方
698,177
受講生
5,805
受講レビュー
118
回答
4.7
講座評価
130
講座
배움의 기회는 경제적, 물리적 한계에서 자유로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성장기회의 평등을 추구합니다.
全体
49件 ∙ (29時間 13分)
講座資料(こうぎしりょう):
全体
39件
4.9
39件の受講レビュー
受講レビュー 2
∙
平均評価 5.0
5
우선 토비님의 세션 정말 잘 들었습니다. 강의를 보면서 클린코드 뿐만 아니라, 제 인생에 대해서도 한번 살펴본 거 같습니다. 우선 19년도 때 클린코드 라는 책이 유행했고, 채용 공고에도 클린코드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저도 그때 클린코드를 읽었고. 맹목적으로 추종을 했었습니다. 주석을 적는 행위는 내 코드가 클린한 게 아니다! 라는 생각까지 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한 번에 완벽한(클린한) 코드를 작성하는 거는 현재의 나로서도 되게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리고 클린코드에 나온 내용을 맹목적으로 100% 추종하는 것이 맞을까? 라는 생각도 들게 된 것 같습니다. 클린코드 책을 읽어서 그것을 다 외우는 것. 그것이 정말 클린코드 일까? 그러면 그 책에서 나오지 않는 예제. 그러한 케이스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이런 생각이 드는 거 같습니다. 결국 지금 다시 드는 생각은 유지 보수하기 좋은. 누구나(팀원들) 읽기 좋은. 그런 게 클린코드가 아닐까? 라는 생각까지 하는 거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나에게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팀 수준에 맞게 잘 읽히는 코드도 클린코드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또 어떻게 클린한 코드를 지속적으로 가지고 갈 수 있을지 고민인 거 같아요. 유지보수를 하면서 새로운 코드가 들어오게 되고, 그러면 그 들어온 코드가 클린코드라는 것을 망치게 되는 것일 텐데. 그 망가진 클린코드를 다시 클린코드로 바꾸려면 리팩터링의 시간을 갖게 될 것이고, 테스트코드가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을 한 번 더 느꼈습니다. 그리고 강의 내용 중 "함께 코드를 작성하고, 읽고, 변경할 동료 개발자들에게 친절한 코드" 라는 내용을 보고선. 클린코드 또한 팀의 문화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토비님이 말씀하신것 처럼 혼자서 너무 많은 짐을 떠안고 고민하고. 나는 부족해서 이런 말을 나는 달고 살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같이 팀원들과 고민하고 이야기하면 혼자 고통받는 시간이 사라질뿐더러 팀원들도 다 같이 성장하지 않았을까? 라는 회고를 했습니다. 그리고 나는 정말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했는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나를 이해 못 해준다고 너무 불친절하지 않았는가? 하면서 스스로를 다시 돌아보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受講レビュー 46
∙
平均評価 5.0
受講レビュー 8
∙
平均評価 5.0
受講レビュー 22
∙
平均評価 5.0
受講レビュー 495
∙
平均評価 4.8
無料
知識共有者の他の講座を見てみましょう!
同じ分野の他の講座を見てみましょ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