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게임기획이란 무엇인지 맛보고 싶으시다면, 인디 게임 제작에 앞서 기획서를 작성할 때 무엇부터 시작할지 망망대해에 빠진 기분이시라면, 게임회사 취업을 위해 기획서 포트폴리오를 제작함에 있어 어려움을 느끼시거나 현 역량 이상으로 한단계 업그레이드를 원하신다면, 이 강의가 여러분의 목표를 향한 길에 기준점 또는 참고자료로서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눈에 띄는 커리큘럼을 찾기 어려워요." "학원은 비용 부담이 너무 커요." "독학을 하자니 잘 하는 건지 막막해요."
게임기획, 역기획서, BM분석과개선제안서, 창작기획서, PM,
서비스기획 강의입니다.
#게임기획 #역기획서 #BM분석과개선제안서 #창작기획서 #PM #서비스기획
게임 기획을 배우려고 마음을 먹었지만, 막상 게임 기획을 배우려 첫걸음을 떼기는 쉽지 않습니다. 게임기획 교육 시장 자체가 크게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뾰족하게 눈에 띄는 게임 교육 커리큘럼을 찾기도 어렵고, 학원 자체가 재정적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이죠. 그렇다고 독학을 하자니 과연 내가 잘 하고 있는지 의문이 들고, 무언가 확신을 심어줄 이정표를 찾게 되기 마련입니다.
사실 게임기획에 있어 수학공식마냥 완벽한 정도(正道)란 없습니다. 게임기획자마다 세세한 표현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협력해나갈 동료 개발자와 디자이너에게 가장 용이하고 명료하게 생각한 바를 전할 것, 이게 모든 기획자들의 공통된 목표입니다.
하지만 이런 큰 틀을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신다면, 본 강의가 이정표로서, 혹은 참고자료로서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게임의 숲을 보는 게임 기획서의 모든 것!
게임을 제작함에 있어 제작의 근본이자 목적이 되는 매출은 게임 기획과 밀접한 관계를 맺습니다. 현재 고매출을 올리고 있는 게임의 시스템 역기획서를 통해 인기 게임의 일면을 구조적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세밀한 시스템 역기획서가 나무라면 전체적인 게임의 틀을 볼 수 있는 창작 기획서는 숲입니다. 창작게임 기획서를 통해 기본적인 장르별 게임 제작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게임기획서를 통해 7가지 장르별 게임 제작법을 파악하고, 전체적인 게임의 틀을 이해해보세요!
본 강의에서는 RPG, 디펜스, 클리커, 퍼즐 등 대중들에게 인기있는 총 7가지의 장르별 게임을 다룹니다. 현재 성황리에 운영 중인 고매출 인기 게임 3종과 창작 게임 4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포트폴리오용 창작 기획서 작성이나 실제 인디게임 제작 준비에 효과적입니다.
시스템 역기획, BM(Business Model) 분석 및 제안, 창작 기획 등 다방면에서 해당 게임을 접근해 보면서, 기본적인 게임 제작 프로세스에 대한 파악은 물론 주제별 접근법까지 익힐 수 있습니다.
누가 들으면 좋을까요?
실전 게임기획이란 무엇인지 맛보고 싶은 분
인디게임 제작에 앞서 기획서를 작성할 때 어떻게 시작할지 막막한 아기 기획자님
게임회사 취업을 위한 기획서 포트폴리오를 제작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분
현재 역량 이상의 업그레이드를 원하는 현업 주니어 게임 기획자
미래의 일류게임 기획자를 위해!
시각 자료로 이해하기 쉬운 게임기획서 작성법
RPG부터 클리커까지 다양한 장르별 게임 접근법
기획서의 흐름을 탄탄히 잡는 쉽고 자세한 설명
다양한 게임 장르로 다채롭게
본 강의를 통해 여러 게임 장르를 접할 수 있습니다. 인지도 높은 RPG부터 인디 게임으로 제작하기 좋은 클리커 게임까지, 서로 다른 4가지 장르의 게임(RPG, 디펜스, 클리커, 퍼즐)을 처음 접하는 분의 눈높이에 맞춰 다양한 장르를 쉽게 풀어냈습니다.
누구나 쉽게 배우는 게임기획 학습
처음 게임 기획서를 접하는 분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시각적 요소를 활용해 강의를 진행합니다. (프리젠테이션 + 기타 사진/그림 자료)
기본적인 내용은 PPT 프리젠테이션으로 작성했으며, 추가적인 요소는 사이툴(PaintTool SAI)을 이용해 제작한 강의입니다.
실제 서비스 중인 게임의 역기획서는 저작권 문제로 게임 스크린샷 대신 그림을 대체하여 넣었습니다. 덧붙여, 게임 내 이름 등의 고유 용어에는 어느 정도 변형이 있습니다.
이런 내용을 학습합니다.
Step 1. RPG
인기 RPG ‘A’ 게임의 역기획서를 작성해 봅니다. ‘A’ 게임의 ‘관계 시스템’ 개요부터 진입 UI를 분석하고, 데이터 테이블을 작성합니다.
1강 캡처 화면
1강 캡처 화면
2강 캡처 화면
2강 캡처 화면
인기 RPG ‘G’ 게임의 역기획서를 작성해 봅니다. ‘G’ 게임의 ‘업적 시스템’ 개요부터 상세 UI를 분석하고, 데이터 테이블을 작성합니다.
3강 캡처 화면
3강 캡처 화면
인기 RPG ‘O’ 게임의 BM을 분석하고, 제안서를 작성해 봅니다. 현 게임의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개선을 제안하는 방법에 대해 익힐 수 있습니다.
4강 캡처 화면
4강 캡처 화면
Step 2. 디펜스 게임
디펜스 게임 ‘판타지 히어로즈’를 기획해 봅니다. 메인 화면 UI부터 스테이지 선택화면, 게임 플레이 구조를 기획하는 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그외에 파티원/유닛 설정, 뽑기, 업그레이드 시스템 등 게임에 필요한 요소를 구축해 봅니다.
5강 캡처 화면
Step 3. 클릭커(방치형) 게임
방치형 게임 ‘새우 키우기’를 기획해 봅니다. 메인 화면 UI 기획부터 ‘개발’, ‘보관함’, ‘상점’, ‘교배’, ‘도감’ 등 게임 내 컨텐츠의 상세 UI/구조를 세울 수 있습니다.
7강 화면 캡처
7강 화면 캡처
액션 클리커 게임 ‘위대한 대학원생’을 기획해 봅니다. 메인 화면 UI 및 상세 메뉴를 알아본 다음, 게임 내부 컨텐츠인 ‘무기’, ‘스펙’, ‘연구’, ‘채용’ 컨텐츠를 구축하고, 상점 UI/구조에 대해서도 따라 기획할 수 있습니다.
9강 화면 캡처
9강 화면 캡처
Step 4. 퍼즐 게임
퍼즐게임 ‘디저트 팡퐁’을 기획해 봅니다. 메인 화면 UI 기획부터 게임 플레이 규칙에 따른 시스템 구축, 플레이 보조 아이템 적용 구조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11강 화면 캡처
12강 화면 캡처
강의를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요?
써니라이더
PO / 게임기획자 / 서비스기획자 / 사업 PM (현) 강연자 , 프리랜서 서비스 기획자, PM (전) 3D 메타버스 서비스 PO / 기획팀장 (전) 데브시스터즈 게임기획자 (쿠키런 킹덤 기획 / 파티파티 데코 플레이 기획팀장) (전) 하이브로 미디어본부장 (드래곤빌리지W PD) (전) LINE+ 게임기획자 (LINE 파이터즈 기획) (전) NHN 게임기획자 (우파루마운틴 기획) (전) 조이시티 사업 PM (히어로즈 인더스카이 사업PM) #저서 : 유저를 끌어당기는 모바일 게임기획
게임기획자 / PO 써니라이더 입니다. 네이버 7년 경력을 포함해서 포함해 게임 업계에서 17년 동안 일했습니다. 구글플레이 전체 매출 상위 5위 안의 게임(우파루마운틴)을 기획해 런칭한 경험이 있고, 게임 시스템 기획, 게임 콘텐츠 기획, 밸런스 기획, 레벨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많은 분들을 도와 넷마블, LINE, 카카오, 스마일게이트, 넥슨, 네오플, 크래프톤, 조이시티, 네오위즈, 비트망고 등 여러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최종 합격시킨 경험이 풍부합니다. 다년간의 지도 경험을 활용해 게임 기획자 및 게임 사업 PM을 지망하는 초보자를 대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듭니다.
안녕하세요.PD(디렉터), PO(프로덕트 오너), 사업 PM, 게임기획자 경험이 있고 PO를 맡고 있는 써니라이더 입니다. 네이버 7년 경력을 포함해서 게임업계에서 17년 동안 일했습니다. 구글플레이 전체 매출 상위 5위 안의 게임(우파루마운틴)을 1인 기획해서 런칭한 경험이 있고, 게임 시스템 기획, 게임 콘텐츠 기획, 밸런스 기획, 레벨디자인이 가능합니다. 많은 분들을 도와드려서 넷마블,LINE, 카카오,스마일게이트,넥슨,네오플,크래프톤,조이시티,네오위즈,비트망고 등 여러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최종 합격시킨 경험이 풍부합니다. 다년 간의 지도 경험을 활용해 게임기획과 게임사업PM을 지망하는 초보자를 대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듭니다.
The lecture quality is somewhat disappointing compared to the good lecture materials.
The instructor is just busy reading the text in the PPT materials, and even if there are mistakes, they are all recorded in the video. He repeats the same words or reads long stories straight through, and if that were reduced, the video length would be reduced by half.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e video had explained helpful stories that cannot be seen in the PPT. I didn't feel much of a difference from just watching the PPT materials.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he had explained more about things to watch out for while working, or his experience as a practitioner.
It would have been good to show the editing process directly when explaining PPT functions such as 'point editing', but it was disappointing that he just explained it in words.
The data screens in the 3rd lecture video and the uploaded class materials are not synchronized. ('Achievement Page' ↔ 'Achievement Page')
Agreed, I don't know how this is supposed to help anyone get a job.
The explanation is too poor, almost nonexistent.
It just feels like they're explaining a game they made in the past.
You'll understand the game system if you play the game a bit,
but it doesn't tell you how to mak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