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회사에서 모셔가는 이력서 작성법
수업자료는 PDF로 못받을까요?
인프런 PDF 뷰어 문제인지 PDF 원본 문제인지 모르겠지만 글자가 깔끔하지 못합니다..
-
해결됨서류합격률 4%를 탈출하는 개발자 이력서 작성법(실습 포함)
다른 직종의 경력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유용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ㅎㅎ경력 섹션 부분에서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개발 경력이 아닌 다른 직종의 경력은 '역량을 뽑아내고 개발자가 필요한 역량과 이어주기' 라고 말씀해주셨고이부분은 강의의 이력서 피드백 부분에서 다뤄주신다고 하셨는데 제가 놓친건지 다른 직종의 경력을 가지신분의 이력서 예시를 못찾겠더라구요 😅제가 개발 경력을 쌓기 이전에 개발 부트캠프 강사나 프로젝트 PM으로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데 이부분을 경력란에 적을 때 어떻게 개발자로서의 역량과 연관지을 수 있을까요?그리고 개발을 한건 아니지만 해당 경력의 프로젝트도 엄연히 실무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이부분도 필요하다면 프로젝트 섹션에 녹여낼 수도 있어보이는데 이부분도 어떻게 개발자의 이력서에 녹여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뭔가 구체적인 사례도 함께 알려주시면 너무너무 감사할것 같습니다 ㅠㅠ
-
미해결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클라우드 환경 배포시 부하 테스트 방식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딩코님, 클라우드 환경에서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올바른 테스트 방법에 대해 여쭙고자 질문 남깁니다. 제 스스로 느끼기에, 제가 프리티어로 사용하고 있는 EC2 인스턴스 내부에서 k6 스크립트를 실행하게 되면 EC2 과부화는 물론 RDS 에도 몇백만건의 데이터가 삽입이 되니 비용적, 컴퓨팅 자원적 문제가 발생할 것 으로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혹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클라우드 환경 테스트를 진행하면 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테라포밍을 통해 AWS EC2 + RDS 조합으로 서버 배포배포된 해당 주소로 제가 가지고 있는 노트북(EC2 아니고 제 로컬 PC) 터미널에서 k6 스크립트 실행이때도 비용문제가 발생하는지? -> 아니라면 저비용으로 테스트하는 국룰 방법을 좀 소개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강의 너무 재밌습니다 ㅋㅋㅋ 감사합니다 !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수상 기록은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다다익선의 역설에 따르면 적지 않는 것이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안 적기도 너무 아까운 이력이여서 어떻게 할지를 모르겠어요..ㅠㅠㅠ저는 서버 개발자를 준비중인데 다음의 이력들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한국외대 2023 GBT 학부 Hackerthon Challenge 1위 대상 에 경우 진짜 애매한 게 ai 관련된 대회라 시간이 많이 지났기도 했고 그래서 어떻게 구현했는지 내용을 다 까먹었어요... 어떤 것을 넣고 어떤 것을 빼는 게 좋을까요...? 욕심같아선 다 넣고 싶지만 그냥 다 빼버릴까요..- 한국외대 공과대학 코드 페스티벌 알고리즘 대회 1위 대상-Google Solution Challenge Global Top 100설명: 구글 개발자 학생 클럽(GDSC) 연례 행사로, 전 세계 대학생들이 구글 기술을 활용하여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중 하나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대회한국외대 2023 GBT 학부 Hackerthon Challenge 1위 대상• 설명: 한국외국어대학교(HUFS) GBT 학부(Global Business & Technology 학부) 주최 2023 GBT Hackathon Challenge는 AI 교육원 주관, 데이콘과 HD현대사이트솔루션 지원으로 진행된 해커톤 대회• 대회 주제: 건설 장비 내부 기계 부품의 마모 상태 및 윤활 성능을 오일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AI를 활용한 분류 모델 개발을 통해 적절한 교체 주기를 파악• 문제 상황: 진단 환경에서 제한된 feature 만으로도 작동 오일의 상태를 분류할 수 있는최적의 알고리즘을 만들어야 하는 문제 • 한국외대 & UMC 제 1회 Hackerthon 2위 우수상• 설명: 연합개발동아리 UMC 와 한국외대 공과대학에서 개최한 Hackerthon0 주제: 시간• 시간이란 주제로 어떻게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앱을 만들 수 있는지 겨루는 대회0 해결 앱: 가족과의 시간이란 문제를 정의하고 그것을 Momento란 앱으로 해결함
-
미해결백엔드 6주 실전 미션과 1:1 피드백으로 완성하는 합격 포트폴리오 - 2기
이력서 관련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딩코딩코 선생님. 다름이 아니라 궁금한 점이 있어 Q&A에다가 글을 올립니다.6주차 까지 진행을 하며 현재 실제 업무를 하며 해결한 내역들에 대해 다시 한번 정리 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했을 때 혹시 피드백을 해 주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포트폴리오 어나더레벨
강의에 소개된 이력서 양식 내용에 관한 질문
제공된 이력서 양식은 수상과 오픈소스를 앞단에 배치하여 이를 강점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프로젝트 관련 내용들은 일부 수치화가 들어있지만, 단순 경험 나열식 표현이 많다고 느꼈습니다. (ex. REST API 설계 및 구축, ~ 제작 등)만약, 오픈소스와 수상이 아니라 프로젝트를 주요 강점으로 어필해야 한다고 하더라도 제공된 이력서 양식처럼 간략하게 표현하는게 나을까요? 만약, 주어진 양식에서 프로젝트를 앞단에 배치한다고 했을 때, 어떻게 표현을 추가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k6 dashboad 안나오는 상
1. 현재 학습 진도2-9 2. 어려움을 겪는 부분window 11 에서 k6 1.3.0 버전을 사용 중 이고set K6_WEB_DASHBOARD=truek6 run k6-scripts/k6-test.js로 명령어를 쳐도 테스트 자체는 실행이 되지만 대쉬보드가 나오지 않습니다 3. 시도해보신 내용처음엔 버전 문젠가 해서 최신 버전으로 수정 했고 5665 포트도 사용 중 은 아닌 것 을 확인 이 외에 체크를 해야 할 것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회사에서 모셔가는 이력서 작성법
mockup image 관련 질문
내용에서 이해가 안가거나, 어떻게 적용할지 모르겠는 부분에 대해서 질문을 주시면 좋습니다.이력서 전체를 업로드하시고, 피드백 요청하시는건 답변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우선 좋은 강의 자료 감사합니다.강의를 보고나니 고민이 생겼습니다.Mockup image의 장점에 대해 공감했지만 어떻게 만들지 고민이 생겼습니다. 예를 들면 CI/CD 파이프라인 개선이나 새로운 개발 문화를 주도적으로 만든 프로젝트 같은 경우 어떤 목업 이미지를 사용해야할지 고민입니다.draw io로 설계도를 간단하게 그려서 추가해야할지 고민인데 혹시 이에대한 꿀팁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2-4 도커 빌드 에러가 계속 납니다.
1. 현재 학습 진도2챕터 4강 2. 어려움을 겪는 부분docker compose -d --build 를 터미널에 입력하면이렇게 => ERROR [internal] load metadata for docker.io/library/openjdk:17-jdk-slim 해당 에러가 계속 발생합니다.(docker compose -d 는 정상 실행 됩니다.)3. 시도해보신 내용찾아보니 docker 설정 파일을 삭제하고 하라던지 jdk 이미지를 삭제하고 하라던지 해서 rm ~/.docker/config.json 라던지 등을 해봤습니다만 계속 문제가 생깁니다.현재 해당 도커 이미지가 사용 중지된거같아서Dockerfile 에 FROM eclipse-temurin:17-jdk-jammy 로 수정했는데 이래도 괜찮을까요 ?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AWS EC2에 도커 컨테이너가 동작하지 않을 때 확인 해야하는 것
안녕하세요 딩코님. 강의 즐겁게 수강하고 있습니다.딩코님의 테라폼 코드를 토대로, 저의 프로젝트에 도입하는 와중에테라폼 정상 작동 및 AWS 모든 서비스 정상 작동 -> 빌드 -> 커밋 & 푸시 -> CI/CD Actions 통과 까진 성공하나, 막상 EC2에서 docker ps 입력시 아무 컨테이너가 띄워지지 않습니다. 뭔가 ECR에 아무 이미지가 업로드 되지 않고 있나? 라는 합리적 의심이 들긴하는데, 혹시 어느부분부터 점검해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아 도움 부탁드리고자 질문 남깁니다. 추운데 늘 건승하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팀프로젝트에서 역할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팀 단위로 프로젝트를 진행중입니다. 역할 분담을 하게 되었지만 제가 꼭 원하던 역할을 맡지 못하게 되어 큰 아쉬움과 실망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물론 협업의 경험도 매우 중요하지만 기술의 사용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재는 제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하고 추후에 이 프로젝트의 기획서를 바탕으로 다른 팀원들의 역할까지 즉 프로젝트 전체를 제가 다시 해봄으로써 기술역량을 키워보고자 합니다. 이러한 생각이 혹시 괜찮을까요? 나중에 포트폴리오에 작성을 할때 같은 주제로 팀으로도 해보았고 개인적으로도 해보게 된건데 작성을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
해결됨[취업폭격기] 공공기관 전산직(IT) 취업 준비를 위한 정규과정 (기초~고급)
깃허브 권한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취업폭격기 제로미니 입니다.정규과정을 신청하신분은 Zeromini-lab 권한, Zeromini Git Hub 취업자료 권한 신청 관련하여디스코드 (제로미니 IT취업 공부방) [초대장] 을 통해 '취업폭격기 제로미니'에게 다이렉트 메시지를 남겨주시면내용을 안내해드리도록하겠습니다! 폼작성 완료했습니다(잘못보내서 다시 제출하였습니다) 깃허브 권한 요청드립니다~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성능 측정시
이력서에 넣을 성능을 측정할 때단순한 쿼리 실행 속도나 API 응답 속도까지로컬이 아니라 aws에 띄워서 비교하는 게 좋을까요?
-
해결됨서류탈락은 그만! 챗GPT로 기업별 맞춤 합격 이력서 반자동화하기
역량분석 - 프로젝트 단위인가요? 세세한 성과와 액션 단위로 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현재강의에선 역량분석을 작성하실 때, 프로젝트 별로 STAR을 작성해주십니다.(프로젝트와 STAR가 1대 1 매칭) 실제로는 하나의 프로젝트도, 여러 STAR를 도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요.가령, 아래와 같이 말이죠.A프로젝트 - 1) 사용자 경험을 위해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하기위해 **을 적용2) 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 적용 이런경우엔 1번과 2번에 대한 STAR를 따로 작성해두는 것이 나을까요?아니면 강의 예시대로 프로젝트 단위로만 써도 될까요? 강의 뒷부분에 나오는 내용인지 모르겠지만,,자기소개서와 이력서에서도 STAR을 어느 정도 크기로 나누어서 쓰는 게 좋을지 궁금합니다.지금 저의 이력서의 경우에 한 프로젝트당 STAR가 10개 내외로 드러나게 세세하게 쓴 상태인데..좀더 포괄적으로 갯수를 줄여야 되는지 궁금합니다..!(경력 2년 정도의 프론트엔드 개발자 입니다!) + 그리고 강의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API 별 실행 쿼리 모니터링 구현 질문 있습니다.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 여기까지 이해하신 내용은 무엇인가요? 2. 어려움을 겪는 부분어느 부분에서 막히셨나요?코드의 어떤 로직이 이해가 안 되시나요?어떤 개념이 헷갈리시나요? 3. 시도해보신 내용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에러가 발생했다면 어떤 에러인가요?현재 작성하신 코드를 공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저는 강의를 보고 아래와 같이 이해를 했습니다.1.API 별 실행 쿼리 모니터링 구현2.그러면, 모든 api 엔드포인트에 대한 쿼리 min , max값을 알 수 있음. 질문1근데, 그렇게 되면 실제로 서비스에 필요한 코드와 모니터링 코드가 불필요하게 섞이는 거 아닌가요? 왜냐하면, 실제 모니터링이라고 하면 서버를 유지보수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와서 시각화한다는 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API 별 실행 쿼리 모니터링 구현"은 서버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모니터링 기능이 아니라, 1번만 딱 실행되면 되는데 이 부분이 왜 모니터링 구현으로 분류가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질문2API 별 실행 쿼리 모니터링 구현 부분에서, 실무에서도 "API 별 실행 쿼리 모니터링을 구현"해서 사용하는게 맞나요? 잘은 모르겠지만, 쿼리 분석이나 다른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왜 이 부분이 서비스 코드 내에 포함을 시키면서까지 모니터링의 영역으로 분류가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질문3 만약에 실무에서는 해당 방법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면 API 별 실행 쿼리 횟수를 보통 어떤 식으로 측정을 하는건가요??? 감사합니다 ! 이렇게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더 정확하고 도움이 되는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이력서 작성에 대한 질문
강사님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신입 개발자로 이력서를 준비하며 몇 가지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1. 이력서는 간결해야 한다고 들었는데 한 프로젝트당 설명은 보통 어느 정도 분량이 적절할지 궁금합니다. A-B-C 패턴처럼 결과 위주로 간결하게 쓰는 게 좋은지, 배운 점까지 포함하는 게 나을지 고민됩니다. 2. 강의를 듣고 기존 프로젝트를 리팩토링하려고 하는데, 이 경우 프로젝트 기간과 개선 기간을 따로 구분해 써야 할지, 아니면 하나로 묶는 게 더 나을지 구성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3. 성과 수치화 외에 신입 개발자 이력서에서 눈길을 끄는 프로젝트 작성 방식이나 구조가 있었다면 어떤 게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트랜잭션 격리성 설계도 어필포인트로 가져갈 수 있을까요?
기존에는 @Transactional만으로 데이터 일관성이 보장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강의를 들으며 동시에 재고를 조회·갱신하는 상황에서 격리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뒤늦게 인식했습니다. 이런 흐름을 이력서에서 “단순 구현 → 시스템 안정성 중심의 설계로 성장한 과정”으로 기술적 사고 확장으로 어필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너무 이론적으로 보일까요?(항상 서비스 내 로직만 고려해서 롤백 여부로 트랜잭션을 생각했는데, 큰일이네요ㅜㅜ )
-
해결됨면접 전에 알고 가면 좋을 것들 - 신입 Java 백엔드 개발자편
JVM/GC 최적화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GC와 JVM 메모리 관리에 대해 설명해주신 부분을 듣다가, 제가 겪었던 Thread Starvation 문제가 떠올라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 제가 겪었던 상황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 1차 문제 발생[프로젝트 환경]- Spring Boot 3.x, Java 21- AWS EC2 t3.small (2 vCPU, 2GB RAM)- Docker 컨테이너 배포- 개발 서버 (비용 최적화 목적) [문제 발생 과정]초기에는 Docker 메모리 제한 없이 JVM만 -XX:MaxRAMPercentage=75.0로 설정했습니다. 카카오 소셜 로그인 기능을 추가한 후 배포 시 Thread Starvation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초기 설정 (문제 발생)- Docker: 메모리 제한 없음- JVM: -XX:MaxRAMPercentage=75.0 (호스트 2GB의 75% = 1.5GB) [결과]- JVM이 힙 1.5GB + 스택/Metaspace 400MB = 총 1.9GB 사용- OS/Docker 600MB 사용- 총 2.5GB 필요 → t3.small 2GB 초과- Thread Starvation 발생 [1차 해결]Docker 메모리 제한을 추가하고 JVM heap을 축소했습니다.# DockerfileENTRYPOINT ["java", "-XX:+UseZGC", "-Xms512m", "-Xmx1g", "-jar", "app.jar"]# 배포 스크립트docker run -d --memory="1.5g" --memory-swap="1.5g" --cpus="1.8" ... ✔ 2차 문제 발생이후 구글/네이버 소셜 로그인, CRUD API들이 추가되면서 다시 Thread Starvation이 발생했습니다.AWS EC2 서버를 재부팅하고 SSH로 서버에 접속해서 원인을 파악해보았습니다. 아래 내용은 당시 작성했던 깃허브 이슈 내용입니다.✏ 문제 상황 정리1. 컨테이너 상태 확인- docker ps -a | grep nugudi-dev (컨테이너는 실행중이지만 unhealthy 상태)- docker top nugudi-dev (컨테이너 내부 프로세스 확인: 아무런 프로세스도 출력되지 않았습니다 → Java 프로세스가 죽은 상태) 2. 헬스체크 실패 원인 확인- Connection reset by peer 에러 →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응답할 수 없는 상태 3. 컨테이너 로그 확인- HikariCP에서 반복적으로 Thread Starvation 경고 → GC가 CPU를 독점하여 애플리케이션 스레드들이 실행될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는 상태 4. OOM Killer 확인- docker inspect 명령으로 OOMKilled 여부 확인 → false → Linux의 OOM Killer가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한 것이 아니라, Java 프로세스가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GC Thrashing 상태에서 스스로 응답 불가 상태 5. 메모리 사용량 측정- EC2 인스턴스의 실제 메모리 사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중지한 상태에서 free -m 명령 실행- OS + Docker 데몬: 256MB 사용- t3.small 인스턴스의 총 메모리: 1901MB- → 컨테이너에 안전하게 할당 가능한 메모리: 1901MB - 256MB = 1645MB (약 1.6GB) 6. Docker 메모리 사용량 확인 (docker stats nugudi-dev --no-stream)- 재부팅 후 안정화된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메모리 사용량 확인: 866MB / 1.5GB (56%) 사용- 안정화된 상태의 메모리 사용량.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시작 단계에서의 피크 메모리 사용량은 아닙니다.) 7. CPU 크레딧 확인- 78-90 크레딧 유지하고 있음. 따라서 CPU 크레딧 고갈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GC Thrashing으로 예상됩니다. 🧐 원인 파악[메모리 부족 원인]애플리케이션 시작 단계에서는 모든 클래스를 한 번에 로딩하고, 모든 Spring Bean을 생성하며, DB 커넥션 풀을 초기화하는 등 메모리 사용량이 피크에 달합니다. 이 시점에서 필요한 메모리가 Docker limit인 1.5GB를 초과하면서 메모리 부족 상태가 발생했습니다.메모리를 확보할 수 없게 된 GC는 계속해서 메모리 확보를 시도하며 CPU의 90% 이상을 소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애플리케이션 스레드들이 실행될 기회를 얻지 못하는 Thread Starvation 상태에 빠지게 된 것으로 예상됩니다.[ZGC의 문제점]현재 사용 중인 ZGC는 초저지연을 목표로 설계된 GC 알고리즘입니다. 이를 위해 복잡한 메모리 구조를 사용하며, 이 과정에서 heap 크기의 10-20%를 Native Memory로 추가 소비합니다. 현재 너구디의 설정인 1GB heap 기준으로 약 200MB의 Native Memory를 사용하는 것입니다.반면 G1GC는 heap의 약 5%만을 Native Memory로 사용하므로 약 50MB 정도만 필요합니다.따라서 ZGC를 G1GC로 변경하면 약 150MB의 Native Memory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ZGC는 수백 GB 이상의 대용량 heap과 초저지연이 중요한 프로덕션 환경에 적합하지만, 1GB 정도의 작은 heap을 사용하는 너구디 개발 서버에서는 오히려 메모리 오버헤드가 부담이 됩니다. G1GC는 10-50ms의 pause time을 가지지만, 개발 서버에서는 이 정도의 지연은 문제가 되지 않으며, 메모리 효율성이 훨씬 중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애플리케이션 시작 vs 안정화 메모리 차이]docker stats로 확인한 866MB(56%)는 애플리케이션이 시작을 완료하고 안정화된 상태의 메모리 사용량입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시작 단계에서는 훨씬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합니다.시작 단계(0-2분)에서는 JVM이 모든 클래스를 메모리에 로딩하고(+200MB), Metaspace를 초기화하며(+150MB), Spring Boot가 모든 Bean을 생성하고(+300MB), DB 커넥션 풀을 초기화하며(+100MB), 캐시를 초기화(+100MB)합니다.이 시점의 피크 메모리 사용량은 1400-1500MB 입니다. 시작이 완료된 후(3분 이후)에는 GC가 불필요한 임시 객체들을 정리하면서 메모리 사용량이 800-900MB로 감소하여 안정화됩니다. 🤔 질문1. GC 알고리즘 선택에 대해1GB 수준의 heap에서 ZGC보다 G1GC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변경했습니다. 이러한 판단이 적절한지 여쭤보고싶습니다. ZGC는 어느 정도 규모의 heap부터 효과적인지 궁금합니다. 2. -Xms = -Xmx 설정에 대해gemini 코드 리뷰에서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초기 힙과 최대 힙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힙 확장 오버헤드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받았습니다.메모리가 빡빡한 상황(여유 100MB)에서 처음부터 1.2GB를 할당하는 것이 안전한 선택이 맞을까요..! 오히려 512MB로 시작해서 필요할 때 늘리는 게 더 안전한것일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3. Docker 메모리 제한과 JVM heap 비율에 대해현재 Docker 1.6GB 중 JVM heap 1.2GB (75%)로 설정했는데, 이 비율이 적절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비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4. Native Memory 측정에 대해현재는 관련해서 정리해둔 기술 블로그 등을 통해 (G1GC는 heap의 5%, Metaspace 100MB 등)로 추정했는데, 실제로 정확히 측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XX:NativeMemoryTracking=detail 같은 옵션을 운영 환경에서 사용해도 성능에 영향이 없을까요?! 5. 현업에서의 리소스 관리이런 제한된 리소스 환경을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메모리 설정의 기준은 어떻게 정하시는지 궁금합니다! 6. 모니터링 지표Thread Starvation을 사전에 감지하려면 어떤 지표를 모니터링해야 할까요?? 강의 내용과 연결하여 최근에 개발하면서 궁금했던 부분들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초기 스타트업에서 백엔드 개발을 하고 있는데 개발하면서 이슈가 생기면, 강의들을 보기도 하고 구글링을 열심히 하기도 하고 AI와 정말 긴 대화를 나누기도 하면서 원인을 찾고 저희 상황에 제일 적합한 해결책을 찾고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문제 상황을 맞게 파악한건지, 가장 최선의 해결책을 찾은게 맞는지 늘 더 생각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스스로의 판단에 확신을 갖기 위해서 더욱 더 많이 공부하고 기반을 탄탄하게 해야함을 느낍니다.Thread Starvation 문제를 겪고 제가 파악하고 해결한 방법이 적합한지, 리소스 관리와 관련해서 현업에서는 어떻게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지 여쭤볼 수 있는 분이 주변에 없어서 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해결됨서류합격률 4%를 탈출하는 개발자 이력서 작성법(실습 포함)
수치적인 부분이 부족한듯하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우선 이전 질문에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해당 답변을 보고 우선 경험들을 정리해서 이력서를 계속해서 작성해 나가고 있는데 이전에 측정해둔 값은 없고.... 제가 백오피스를 주로 개발하는 SI 개발자다보니 제가 어떤것을 해서 얻는 비지니스 임팩트를 수치화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예를 들자면Winston을 활용한 Nuxt 서버 에러 로그 보존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기존의 ToastUI Editor를 Tiptap editor로 변경하고 팀 내 공용 컴포넌트로 확산단일 책임 원칙과 MVVM 구조를 적용한 리팩토링을 통해 코드 가독성 및 확장성 강화API 명세 변경 대응을 위한 fetch 함수 래핑 구조 재설계GitHub Actions 워크플로우에 Dependabot 보안 이슈 자동 수정 프로세스 추가뭐 이런식입니다만, 한분의 피드백 + AI 이력서 평가 에서 수치적인 부분이 부족해보인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수치적인 부분을 어떻게 추가할 수 있을지 고민이 됩니다. 질문의 큰요지는 두가지 정도인거 같습니다. 이력서에 수치적인 부분은 어느정도까지를 가져야할까요? (예시에서는 많지 않았던거 같은데 피드백에서는 많아야한다고 해서요)FE 개발자의 이력서에서 수치적인 부분을 어떤식으로 추가할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수치화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수치화 하는 부분에 있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개선점을 수치화 하기 전에, 개선에 앞서서 미리 문제 상황을 예상하고 고려 할 수 있는 방법도 궁금합니다.미리 고려 했어야 하는 점과, 실제로 실무에서도 문제상황으로 마주하는 부분을 구분하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현업에서는 어디까지 미리 고민을 해보고, 어느 정도부터는 실제 문제로 마주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질문의 배경은 아래와 같습니다.면접에서 개선 및 수치화 사례에 대해서 "해당 이슈는 매우 known이슈인데, 충분히 미리 고려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었는지? 고민을 안했었는지?" 질문을 받았었습니다.예를 들어 7초 -> 2초 줄이는 것보다 2초 -> 0.7초 개선하는것이 더 어려울텐데설계나 개발전에 미리 고민해보고 2초로 시작 할 수 있었던 문제 아니냐 라는 질문 같았습니다!수치화를 위한 수치화로 보인다거나, 사전에 고려하지 않는 태도로 보였을까봐 우려되는 지점이었습니다.이러한 우려를 피하고 싶은데 고견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