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7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현재강의에선 역량분석을 작성하실 때, 프로젝트 별로 STAR을 작성해주십니다.
(프로젝트와 STAR가 1대 1 매칭)
실제로는 하나의 프로젝트도, 여러 STAR를 도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가령, 아래와 같이 말이죠.
A프로젝트 - 1) 사용자 경험을 위해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하기위해 **을 적용
2) 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 적용
이런경우엔 1번과 2번에 대한 STAR를 따로 작성해두는 것이 나을까요?
아니면 강의 예시대로 프로젝트 단위로만 써도 될까요?
강의 뒷부분에 나오는 내용인지 모르겠지만,,
자기소개서와 이력서에서도 STAR을 어느 정도 크기로 나누어서 쓰는 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지금 저의 이력서의 경우에 한 프로젝트당 STAR가 10개 내외로 드러나게 세세하게 쓴 상태인데..
좀더 포괄적으로 갯수를 줄여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경력 2년 정도의 프론트엔드 개발자 입니다!)
+ 그리고 강의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답변 2
0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드려요.
하나의 프로젝트에 다양한 문제 해결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적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다만 각 상황에 맞는 성과가 있어야 논리적으로 맞겠죠
예를들면, 로딩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라면 -> 로딩속도가 얼마나 높아졌는지. 협업 효율이라면 -> 협업 효율이 높아진걸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도 함께 나와줘야합니다.
다만, STAR 를 구체적으로 쓰는건 STAR 표에서만 그렇게 하는것이지, 이력서 자체에서는 매우 함축적으로 50자 이내의 압축적인 문장으로 적으시는걸 꼭 잊지 마시구요! (간혹 이력서에도 STAR 을 각각 적으시거나 구구절절하게 적으시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시면 안되고 매우 압축적으로 수치가 드러나게 작성하셔야 합니다 🙂 )
그리고 그 중에서 앞으로 지원하시는 업무와 맞아보이는것만 적으시는것도 잊지 마시구요!
(예를들면 고객 경험 쪽이라면 프로젝트에서 고객 경험을 늘린 부분을 강조/구체적으로 쓰셔야겠죠 🙂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꾸타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작성 시 STAR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공유해 주셨습니다. 질문에 대해 자세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프로젝트별 vs. 세부 성과별 STAR: 일반적으로 이력서와 자기소개서에서 STAR 기법을 활용할 때는 프로젝트 단위로 작성하되, 가장 두드러진 성과나 주요 경험을 중심으로 기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젝트 내에서 여러 개의 STAR가 있을 수 있는데, 모든 세부 성과를 나열하기보다는 지원 직무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경험을 선별해 집중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경력과 STAR 기법의 크기: 경력이 2년 정도 되셨다면, 너무 많은 STAR를 나열하는 것은 오히려 정보의 과다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핵심 경험 3~5개 정도로 압축해 작성하되, 각 STAR는 해당 경험을 통해 배우고 이룬 것에 중점을 두어 작성하세요. 이는 면접 시 효과적인 자기 소개나 질문에 대한 답을 준비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실제 적용 예시:
추가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