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가 얼마나 걸리는지 확인하는 방법
1. 현재 학습 진도1-10 듣고 있습니다 2. 어려움을 겪는 부분 이 코드에서 for index in range(len(alphabet_occurrence_array)) 는 N이 아니라 상수이기때문에 O(1)라고 말씀해주셨는데 해당 부분이 잘 이해 가지 않습니다.. for문이라도 정해진 숫자의 범위가 돌면 O(n)의 시간 복잡도가 아닌건가요? 만약 이렇게 이해하게 되면 for char in string: 코드에서 string도 배열에 크기에 정해진 숫자만큼만 돌게 되는데.. 헷갈립니다..! 단순히 변수의 for문이면 n 상수의 for문이면 1 이렇게 생각하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kruskal 관련
비 모수 검정 시 kruskal 분석 사용해서 p value 값은 어떠한 것을 확인하는 건가요?stats.kruskal(df['A'], df['B'], df['C'], df['D']) 에서 나오는 p value는 어떤걸 의미하는건지 궁금합니다.그리고 해당 p value의 가설 귀무 가정을 알수있을까요?
-
미해결파이썬/장고로 결제 시작하기 (Feat. 아임포트) - 기본편
로그아웃 405 에러
로그아웃뷰가 기본적으로 get 요청을 수용하지 않는다고 하던데 이거 뭔가요. 페이지가 없다는 에러가 나오는게 아니고 아예 405 에러가 나오네.. ㅠ
-
미해결웹 게임을 만들며 배우는 React
useMemo와 useCallback 사용 시기
안녕하세요.useMemo와 useCallback에 대한 사용 시기에 관련해서 여쭤보고싶습니다.useMemo와 useCallback을 사용한다면 특정상황을 제외하고, 기억된 값 또는 함수를 사용하여 성능을 올릴 수 있다는 부분까지 이해했습니다.질문 드리고 싶은 부분은 useMemo를 "복잡한 함수", 불필요하게 다시 실행되는 함수의 결과값을 저장하기 위해, useCallback은 함수의 생성 비용이 "크다"라고 생각될때 사용하는 것이라고 이해중인데, 이때 "복잡한"과 "크다"의 기준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복잡한"과 "크다"에 수치, 기준이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정확한 수치가 있는것인지, 주관적인것인지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2회와 3회 작업형 2의 차이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작업형 2 기출2회 에서는 범주형변수의 컬럼이름만 찾았는데 기출3회에서는 범주형변수와 수치형변수를 분리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ㅠ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수치형 데이터, 범주형 데이터 분리 기준
안녕하세요,수치형 데이터, 범주형 데이터 분리해서 스케일링 및 인코딩을 하셨는데요!수치형 데이터, 범주형 데이터 분리를 할때와 안할때의 차이가 무엇이고, 기준이 무엇일까요? 다시 말씀드리면, 수치형 데이터, 범주형 데이터 분리를 할때와 안할때의 장단점이 궁금하고,어떤 상황에서 분리를 해야하고, 어떤 상황에서 분리를 하지 않아도 되나요?
-
미해결
코드팩토리님 디스코드 링크 가면 잘못된 초대라고 나옵니다.
코드팩토리님 디스코드 링크 가면 잘못된 초대라고 나옵니다. 어디에 메시지를 보내야 하는지요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보이지 않는 임시 객체 9:48초에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보이지 않는 임시 객체 9:48초에 질문이 있습니다.자바 컴파일러가 String s1 = "Java";를 String s1 = new String("Java");로 변환한다고 하셨는데 자바 컴파일러는 변환 하는것이 아닌걸로 이해하고 있어요.. String은 리터럴 방식과 객체 생성 방식이 다르게 관리되고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혹시 제가 잘못 이해를 하고 있는건가 싶어서요.
-
해결됨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pinecone 질문입니다
database = PineconeVectorStore.from_documents(document_list, embedding, index_name=index_name)코드 실행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PineconeApiException: (400) Reason: Bad Request HTTP response headers: HTTPHeaderDict({'Date': 'Sat, 23 Nov 2024 12:34:02 GMT',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ontent-Length': '104', 'Connection': 'keep-alive', 'x-pinecone-request-latency-ms': '3748', 'x-pinecone-request-id': '2915271834887315110', 'x-envoy-upstream-service-time': '5', 'server': 'envoy'}) HTTP response body: {"code":3,"message":"Vector dimension 4096 does not match the dimension of the index 3072","details":[]}초기 embedding 모델은 upstage 임베딩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Pinecone index 생성시 기존 text-embedding-3-large 모델 선택했더니 dimension 기본값이 3064였는데 4096으로 변경했어야하는 부분인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 범주형 인코딩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작업형 2 모의문제 푸는 도중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범주형 변수(object) 중 drop을 하는 경우가 있고 안하는 경우가 있는것 같은데, 어느정도를 기준으로 잡아야 할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한개의 컬럼 값이 90개여서 원핫인코딩 시 컬럼이 100개가 넘어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구요.이런 경우에 drop을 하는게 도움이 될지, 아니면 drop하지 않고 모든 범주형 변수를 인코딩할지 구분이 어렵습니다.
-
해결됨친절한 블렌더 - [LV.1] 기초 모델링
images as planes 메뉴가 보이지 않습니다.
영상강의 보기만 하다가 요즘 실전도 열심히 따라하고 있습니다.입간판 만들려고 하는데 reference, background는 있는데 images as planes만 없습니다.환경설정의 add-ons 체크 다 하고 사용중 입니다. 어떻게 해결안될까요? 제가 쓰고 있는 버전은 3.6.17 입니다.
-
해결됨실전도커: 도커로 나만의 딥러닝 클라우드 컴퓨터 만들기
Virtual Machine 생성시 가격문의
472.31/month 라는 가격이 한달 내내 해당 virtual machine을 사용한다고 가정했을때 과금 되는 가격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Async와 await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강의를 듣다가 Async와 await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api요청과 같이 시간이 걸리는 작업은 비동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작업이 먼저 이루어지고 그다음 데이터가 불러오면 그 작업을 해야되므로 비동기로 만들어 주기 위해 async를 붙인다 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await은 비동기 작업까지 다 처리되고 결과값을 얻기 위해 사용이 되는건가요? 마지막으로 async는 함수 앞에 작성이 되는데 await은 어디에 작성이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디지털포렌식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실기 시험대비 강의(Encase/Autopsy)
23회 실기 시험
안녕하세요 오늘 23회 실기 시험을 치게 되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1번 문제가 증거 USB를 사본 생성 후, 훼손된 파티션 부분을 복구시키고 그 과정을 서술하라는 문제였습니다.제가 1번 답안 문제에 usb사본 생성 후 '제출하시오' 라는 말이 없어서 해당 이미징 파일(.E01)을 제출하지않았는데 이 부분 혹시 문제가 있을까요? 답안용 usb에 혹시 몰라 그냥 넣을려고 했는데 용량이 부족하다고 떠서 넣지 못하고 각 번호별 답안과 그 답안의 증거물 들만 제출하고 나왔습니다....제출용 usb 용량이 14.5?14.4GB정도 되었는데 .E01으로 이미징 해보니14.4GB 정도 나와서 넣어보려했지만 용량이 부족하고 너무 커서 안된다는 식으로 떠서 압축하여 넣어보려고 해도 안되서 넣지 못하고 나왔습니다.시험은 끝났지만 불안해서 여쭙고 싶습니다....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BUILD FAILED (macOS 15.0.1 on arm64 using ruby-build 20241105)
❗질문 작성시 꼭 참고해주세요현재 문제(또는 에러)와 코드(또는 github)를 첨부해주세요. 맥/윈도우, 안드로이드/iOS, ReactNative, Node 버전 등의 개발환경을 함께 적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에러메세지는 일부분이 아닌 전체 상황을 올려주세요. (일부만 자르거나 복사하지말아주세요.) 개발환경/코드에 대한 정보가 없을경우 답변이 어렵습니다.Macbook Ari M1 / MacOS 15.0.1rbenv [루비버전] rbenv install 3.2.2rbenv: /Users/teng/.rbenv/versions/3.2.2 already existscontinue with installation? (y/N) yruby-build: using openssl@3 from homebrew==> Downloading ruby-3.2.2.tar.gz...-> curl -q -fL -o ruby-3.2.2.tar.gz https://cache.ruby-lang.org/pub/ruby/3.2/ruby-3.2.2.tar.gz % Total % Received % Xferd Average Speed Time Time Time Current Dload Upload Total Spent Left Speed100 19.5M 100 19.5M 0 0 16.5M 0 0:00:01 0:00:01 --:--:-- 16.5M==> Installing ruby-3.2.2...ruby-build: using readline from homebrewruby-build: using libyaml from homebrewruby-build: using gmp from homebrew-> ./configure "--prefix=$HOME/.rbenv/versions/3.2.2" --with-openssl-dir=/usr/local/opt/openssl@3 --enable-shared --with-readline-dir=/usr/local/opt/readline --with-libyaml-dir=/usr/local/opt/libyaml --with-gmp-dir=/usr/local/opt/gmp --with-ext=openssl,psych,+-> make -j 8 BUILD FAILED (macOS 15.0.1 on arm64 using ruby-build 20241105) You can inspect the build directory at /var/folders/yk/px23h3t50fn50y19rbdwp81r0000gn/T/ruby-build.20241123200520.32443.l96uOOSee the full build log at /var/folders/yk/px23h3t50fn50y19rbdwp81r0000gn/T/ruby-build.20241123200520.32443.log 이렇게 오류가 발생합니다. 선생님.2.7.6을 다운로드 했는데 deprecated 됐다고 나오고, 그래서 이 버전으로도 해봤는데 안 되더라구요... 거의 몇시간을 찾는데 관련 글도 안 나옵니다 ㅜㅜ
-
미해결피그마 시작하기
공유 주신 피그마 url 404에러 뜹니다
공유 주신 피그마 url 404에러 뜹니다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debounce 함수 테스트 정확도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debounce 함수 테스트 관련 강의를 보고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debouncedFn이 300ms이 지난 후 실행되어야 함을 테스트할 때, 기존에 작성해주신 것 처럼 테스트할 시에는 함수가 300ms 후가 아닌 즉시 실행이 되거나 그보다 작은 시간이 지나고 실행이 되어도 테스트가 통과하게 됩니다. 그에 따라 아래처럼 작성하는 것이 더 정확한 테스트라고 생각이 되는데 이렇게 테스트하지 않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it('특정 시간이 지난 후 함수가 호출된다.', () => { const spy = vi.fn(); const debouncedFn = debounce(spy, 300); debouncedFn(); expect(spy).not.toHaveBeenCalled(); // 즉시 호출되지 않았는지 확인 vi.advanceTimersByTime(299); expect(spy).not.toHaveBeenCalled(); // 299ms 후에도 호출되지 않았는지 확인 vi.advanceTimersByTime(1); expect(spy).toHaveBeenCalledTimes(1); // 300ms 후에 정확히 한 번 호출되었는지 확인 expect(spy).toHaveBeenCalled(); });
-
미해결최신 Vue 3 완벽 가이드: 프로젝트 설정 & 스펙 총정리
eslint 질문
안녕하세요.이전 eslintrc에서 사용한 process.env.NODE_ENV를 eslint.config.js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모의문제2 질문입니다.
r2 score에 경의 테스트가거의 0.3이하로만 계속 출력되는것으로 강의에서 확인되는데제가 알기로 0.3이하면 굉장히 낮은수준의 모델로 알고있습니다.시험장에서 0.3이하가 나오더라도 제출하는데 문제없을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몽고db 연결 오류가 납니다 위에껀 입력한 코드, 아래껀 터미널이에요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5000 const mongoose = require('mongoose') mongoose.connect('mongodb+srv://newlifecode:1234@newlifecode.f0tau.mongodb.net/test?retryWrites=true&w=majority&appName=newlifecode' , { useNewUrlParser: true, useUnifiedTopology: true, }) .then(() => console.log('MongoDB Connected...')) .catch(err => console.error('MongoDB Connection Error:', err.message)); app.get('/', (req, res) => { res.send('Hello World!') }) app.listen(port, () => { console.log(`Example app listening on port ${port}`) }) PS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 npm run start > boiler-plate@1.0.0 start > node index.js (node:7628) [MONGODB DRIVER] Warning: useNewUrlParser is a deprecated option: useNewUrlParser has no effect since Node.js Driver version 4.0.0 and will be removed in the next major version (Use `node --trace-warnings ...` to show where the warning was created) (node:7628) [MONGODB DRIVER] Warning: useUnifiedTopology is a deprecated option: useUnifiedTopology has no effect since Node.js Driver version 4.0.0 and will be removed in the next major version node:events:496 throw er; // Unhandled 'error' event ^ Error: listen EADDRINUSE: address already in use :::5000 at Server.setupListenHandle [as _listen2] (node:net:1907:16) at listenInCluster (node:net:1964:12) at Server.listen (node:net:2066:7) at Function.listen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node_modules\express\lib\application.js:635:24) at Object.<anonymous>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index.js:19:5) at Module._compil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546:14) at Object..js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689:10) at Module.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318:32) at Function._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28:12) at TracingChannel.traceSync (node:diagnostics_channel:315:14) Emitted 'error' event on Server instance at: at emitErrorNT (node:net:1943:8) at process.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90:21) { code: 'EADDRINUSE', errno: -4091, syscall: 'listen', address: '::', port: 5000 } Node.js v22.11.0 PS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 npm run start > boiler-plate@1.0.0 start > node index.js (node:860) [MONGODB DRIVER] Warning: useNewUrlParser is a deprecated option: useNewUrlParser has no effect since Node.js Driver version 4.0.0 and will be removed in the next major version (Use `node --trace-warnings ...` to show where the warning was created) (node:860) [MONGODB DRIVER] Warning: useUnifiedTopology is a deprecated option: useUnifiedTopology has no effect since Node.js Driver version 4.0.0 and will be removed in the next major version node:events:496 throw er; // Unhandled 'error' event ^ Error: listen EADDRINUSE: address already in use :::5000 at Server.setupListenHandle [as _listen2] (node:net:1907:16) at listenInCluster (node:net:1964:12) at Server.listen (node:net:2066:7) at Function.listen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node_modules\express\lib\application.js:635:24) at Object.<anonymous> (C:\Users\USER\Documents\boiler-plate\index.js:19:5) at Module._compil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546:14) at Object..js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689:10) at Module.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318:32) at Function._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28:12) at TracingChannel.traceSync (node:diagnostics_channel:315:14) Emitted 'error' event on Server instance at: at emitErrorNT (node:net:1943:8) at process.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90:21) { code: 'EADDRINUSE', errno: -4091, syscall: 'listen', address: '::', port: 5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