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Builder 관련 문의
생성자를 private로 하고 그 위에 빌더패턴을 사용하는데,이러면은 결국에 모든 곳에서 생성자에 접근 가능하다는 얘기인데 private를 쓰고 builder를 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원핫인코딩시
get_dummies 에서 drop_first=True 를 필수로 작성해야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코랩 "이전셀실행"과 동일한 기능이 시험환경에서도 있나요?
계속 코랩으로 연습하다보니 궁금해 문의드립니다.유형2에서 베이스라인잡아놓고 돌아와서 인코딩이나 스케일할때 강의중에는 이전셀실행을 사용하는데 시험환경에서는 이전셀실행 기능이 있는지와 어떤식으로 해당 기능이 적용되는가 급 궁금해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조금 더 깊은 내용, 실무적인 내용, 미래의 계획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영한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지금 강의도 정말정말 좋고 많은 것을 다루지만, 이런 것들을 다룰 예정은 없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Lock next level(자바)ReadWriteLock, StampedLock, Mutex, Semaphore비동기/멀티스레드 next level(feat. 스프링)CountDownLatch 사용법, Transaction 동시성 테스트, 멀티스레드를 활용한 성능/부하 테스트 방법 항상 잘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미해결C#과 유니티, 실전 게임으로 제대로 시작하기 (저자 직강)
기존에 있던 스크립트에 워링이 새로운 스크립트에서도 콘솔에 뜹니다.
안녕하세요.덕분에 재미있게 공부중입니다. example 폴더에 있는 기존 스크립트 들에서전역에 변수를 지정후 사용을 안할경우 워링이 뜹니다. 문제는 워링이 뜨던 스크립트를 게임오브젝트에서 연동 제외하고 새로 게임오브젝트에 다른 스크립트를 연동해도 기존에 스크립트에 오류뜨던게 같이 뜹니다. 맞는건가요? 지역변수는 상관없고 전역변수에서만 워닝이 뜨네요.프로젝트 폴더에 있는건 유니티에서 상시 다 읽어들인다고 보면 될까요?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하단바 설정하는 방법
선생님께서 영상에서 보여주신 것처럼 Frame은 실제 화면 상관없이 길게 하고, 맨 하단에 하단바 Fixed position으로 놓아주고, Prototype에서 볼때 실제 볼 디바이스 설정해서 보는 방법이 있고,1번 방법 아니면 첨부 이미지와 같이 Frame을 실제 볼 디바이스 해상도로 설정해주고, 하단바를 저런 식으로 Frame 하단에 붙여주고, 그 밑으로 스크롤 되는 컨텐츠들은 Frame 밖에 저렇게 놓고 묶어주는게 맞는건가요? (핑크색 바탕에 블랙 사각형 4개 있는 것이 하단바입니다.) 1번 방법이 디자인 작업할때는 쉬운데, Prototype에서 해당 디바이스 설정하면 자꾸 휴대폰 모양 프레임이 나와서 별로예요.. 다른 방법이 있는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3D 모델링 입문을 위한 라이노(Rhino) '꿀팁' Part.1
자주쓰는 명령키 살펴보기_6:25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6:25 loft 입력하고 네모 두개를 잡고화살표 방향이 나온뒤로 또 다시 엔터를 누르면 로프트 옵션이나와서 더 이상 진행이 안되요 ㅠㅠ어떻게해야될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5-R 어느 부분이 잘못됐는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http://boj.kr/9fff1d9753f744368a676b0324bf1c6e코드가 너무 복잡한건지 TestCase도 통과를 못합니다.맵을 선생님이랑 다르게 만들었는데 이게 문제인건지...아예 다른 문제점이 존재하는건지 아무리 살펴봐도 모르겠어서 질문남깁니다 ㅠ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하이퍼 파라미터 시 문의
랜덤포레스트에서 estimators와 depth 파라미터 수정할때,둘중 어떤것을 미세조정으로 먼저 맞추는 것이 낫나요? 그리고 estimators=100, depth =3이라고 하셨는데,아무것도 설정 안해줫을 값이랑 같지가 않습니다.아무것도 설정안해주며 자동으로 기본값으로 되는거아닌가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강의 다 듣고 와서 락 관련 질문드립니다.
강의 잘 들었습니다🙏락을 구현할 때 ReadLock을 만들었는데 전체 강의 코드를 보면 ReadLock을 사용하는 데가 없더라고요(DB 쪽은 스킵했습니다). 우리 프로젝트에만 해당하는 특별한 경우인지 실무에서도 WriteLock 사용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인지 궁금합니다.락을 직접 구현한 이유 중 하나가 (동일 스레드 기준) 쓰기 락이 걸려있을 때 읽기를 허용하기 위한 것도 있었는데, 읽기 락을 만들어놓고 한 번도 사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약간 신기하게 느껴졌습니다.+) 답변하시기 전에 추가 질문서두에 말씀하신, 직접 락을 구현하는 이유가, 기획 데이터는 대부분 읽기를 수행하는데(잘 안 바뀌는 데이터), 굳이 스레드 간에 상호배타적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표준을 이용한 방법이 있으나), 읽기에 대해선 모든 스레드가 접근할 수 있게 ReaderLock이 필요한 걸로 이해했습니다.그렇다면 운영에서 기획 데이터에 아이템을 추가한 걸 화면에 보여줘야 할 때는, WRITE_LOCK이 사용되나요?..기획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어오는 건지 업데이트를 하면 서버를 재시작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실무 경험이 없다 보니까 기획 데이터로 예를 들어주실 때 상황이 명확하게 안 그려지네요. 서버를 재시작하는 거라면 이미 변경된 데이터를 서버 구동 때 읽어오는데 쓰기 락이 왜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2유형에서 RMSE가 너무 크게 나오는 문제
아래와 같이 코딩을 했는데, RMSE값이 42만 정도가 나옵니다. 강사님 강의에서는 4만 수준으로 나오는데요.무엇이 잘못된건지 모르겠습니다...ㅜimport pandas as pd train=pd.read_csv('mart_train.csv') test=pd.read_csv('mart_test.csv') # print(train.info(), test.info()) y=train.pop('total') # print(y.describe()) # print(train.info(), test.info()) print(train.shape, test.shape) total=pd.concat([train,test], axis=0) print(total.shape) total=pd.get_dummies(total) print(total.shape) train=total[0:700] test=total[700:] print(train.shape, test.shape)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ain, X_val, y_train, y_val = train_test_split(train, y, test_size=0.2, random_state=2024) print(X_train.shape, X_val.shape, y_train.shape, y_val.shape)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Regressor rf=RandomForestRegressor(random_state=2024) rf.fit(X_train, y_train) pred=rf.predict(X_val) # print(pred) from sklearn.metrics import mean_squared_error print(mean_squared_error(pred, y_val)**0.5) result=rf.predict(test) # print(result) print(result.shape) final=pd.DataFrame({ 'pred':result }) final.to_csv('result.csv', index=False)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범주형 타겟을 수치형으로 변환해야하는 경우
타겟값 변경은 주로 분류 문제에서 범주형 라벨을 숫자로 변환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진 분류에서는 True/False, Yes/No와 같은 값이 입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값을 0과 1처럼 변환하여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로 주신 (y_test['income'] != '<=50K').astype(int)은 소득이 특정 값보다 작거나 큰지를 0과 1로 변환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타겟 라벨을 모델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범주형을 숫자로 변환해서 모델에서 이해하도록 변경해야하는 경우는 그럼 어떤 경우가 있을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
[6. 학습 및 평가] 단계에서 RandomForestClassifier / RandomForestRegressor 까지만 하고평가지표를 뽑아보지 않은 상태로[7.예측 및 제출]을 해도 무방하지 않은지 궁금해졌습니다. (방금 빼먹고 푼 거 맞습니다.ㅠ) 처음 나온 평가지표를 기준점으로 삼아위에서 전처리 작업 등을 추가하지 않는 극초보생 기준의 궁금증입니다.작업형2를 반드시 40점 맞아야하는 관점에서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평가지표 다시 외우는 중~ㅋ)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예시문제 작업형2(신버전) concat 문의
target = train.pop('성별')train['환불금액'] = train['환불금액'].fillna(0)test['환불금액'] = test['환불금액'].fillna(0)df = pd.concat(['train', 'test']) concat 해서 원핫인코딩으로 해보려고 했는데 TypeError: cannot concatenate object of type '<class 'str'>'; only Series and DataFrame objs are valid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데 왜그런건가요 ㅜ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Dependency Injection(DI)
웹 개발에서는 DI를 통해 객체를 관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게임 프로젝트에서도 DI를 활용해 객체를 관리하는 사례가 많을까요? 아니면 강의에서 소개된 것처럼 Managers 객체를 통해 관리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인가요
-
해결됨블렌더 3D 미피 캐릭터 인사하는 애니메이션 만들기
Ctrl + 숫자패드+/- 단축키 질문
Ctrl + 숫자패드+/-주위의 영역을 넓혀가거나 좁혀가면서 선택제가 맥북을 사용중인데요 컨트롤 대신 option,command, shift 등을 대신 눌러봐도 작동을 안하네요ㅜ이 기능의 명칭? 같은게 있을까요? 맥용 단축키 서치해도 해당기능은 잘 안나와서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ttest_rel 순서와 alternative
뮤d = (살충제를 뿌린 후의 곤충 수- 살충제를 뿌리기 전의 곤충 수)의 평균귀무: 뮤d>=0대립: 뮤d<0before_spr : 살충제를 뿌리기 전의 곤충 수after_spr : 살충제를 뿌린 후의 곤충 수 stats.ttest_rel(df['after_spr'], df['before_spr'], alternative = 'less') 이게 맞는거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8회 기출 작업형2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안녕하세요target=train.pop['TotalCharges'] 하면'method' object is not subscriptable이라는 메세지가 뜨는데 왜그런 걸까요ㅠㅠ
-
미해결
ㅇㅇ
ㅇㅇㅇㅇ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ttest_rel 이것이 맞나요?
데이터 입력 순서는μd = (before – after)라면stats.ttest_rel(df['after'],df['before']로 μd = (after - before)stats.ttest_rel(df['before'], df['after']로 작성해주세요 alternative는 대립가설이 참일 때 기준, 첫번째 파라미터 자리가 큰지 작은지에 맞춰 작성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