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로드맵추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새로운 pdf에선 스프링 완전정복 시리즈, 스프링부트와 JPA 실무 완전 정복 로드맵이있어요 이둘의 차이가 있다면 어떤것이 있고 어떤상황에서 이런거 추천한다 이런게 있나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npm run build 시 에러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실습도중에 에러가 발생하였는데 원인을 찾지못해서 질문드립니다..1.3)실습용 백엔드 서버 세팅하기 강의에서 12:11분에 npm run seed 명령어로 시드데이터도 받아지는것을 확인했습니다. (그 이전까지의 실습도 에러없이 정상적으로 실행했습니다.) 이후에 npm run build를 실행해보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해서 질문드립니다.=================================C:\study\React\onebite-books-server-main>npm run build> onebite-books-server@0.0.1 build> nest buildsrc/book/book.service.ts:22:29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22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book/book.service.ts:28:29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28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book/book.service.ts:35:29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35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book/book.service.ts:56:29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56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book/book.service.ts:70:31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70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book/book.service.ts:88:29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88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util/prisma-client-exception.filter.ts:6:15 - error TS2339: Property 'PrismaClientKnownRequestError' does not exist on type 'typeof Prisma'.6 @Catch(Prisma.PrismaClientKnownRequestError) ~~~~~~~~~~~~~~~~~~~~~~~~~~~~~src/util/prisma-client-exception.filter.ts:8:27 - error TS2694: Namespace '"C:/study/React/onebite-books-server-main/node_modules/.prisma/client/default".Prisma' has no exported member 'PrismaClientKnownRequestError'.8 catch(exception: Prisma.PrismaClientKnownRequestError, host: ArgumentsHost) { ~~~~~~~~~~~~~~~~~~~~~~~~~~~~~Found 8 error(s).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5-k 맞왜틀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아쉽게도 강의처럼 2차원 배열에 모아둔 후, 한칸씩 당기는것을 생각을 못해 노가다로 풀어버렸습니다.다만 알고리즘 자체는 맞다고 생각하고, 예제도 다 맞는데 16%에서 틀려버리네요.어디가 틀렸는지 궁금합니다.http://boj.kr/76b5753735c448b7a9558225494e778e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2유형 test_size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번 달에 실기시험 보고 온 수강생입니다. 평소에는 train_test_split에서 test_size를 0.2로 했는데시험장에서 무슨 바람이 분 건지 test_size를 0.1로 하고 왔습니다.이것 때문에 점수가 10점이 깎일 수도 있을까요?이외에는 랜덤포레스트 분류 모델 정석 코드 그대로 실행, 제출하고 왔습니다.2유형만 40점 나오면 넉넉하게 합격일 것 같은데 괜히 불안해지네요..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실습한 리소스 삭제
(과금이 안되려면) VPC도 삭제해야 하지 않나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이번 section에서 소소한 의문점 질문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__)이번 section에서 소소한 의문점이 하나 남아서 질문 글 남깁니다. 먼저 강의에서 작성해주신 아래의 코드 블럭 말인데요, // mount가 됐는지 확인 하는 ref 변수 const isMount = useRef(false); // 1. 마운트 : 탄생 useEffect(() => { console.log("mount"); }, []); // 2. 업데이트 : 변화, 리렌더링 useEffect(() => { if (!isMount.current) { isMount.current = true; return; } console.log("update!"); });isMount ref 변수가 현재 컴포넌트의 마운트 여부를 체크하는 변수로 만들어졌는데, 그렇다면 마운트 시점에서 true로 갱신해줘야하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기본적으로 컴포넌트가 마운트 되면 컴포넌트가 만들어졌다, 즉 변화 했다라고도 할 수 있는거니, update 로직도 같이 실행 되어야 하는게 맞지 않나 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위 예시는 제가 이해한대로 해석하면 "컴포넌트가 마운트가 되었지만 처음 시점의 update 로직은 패스한다" 라고 생각되는 느낌이라서 살짝 애매하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 1. 마운트 : 탄생 useEffect(() => { console.log("mount"); // mount 시점에서 실행 될 프로세스 start // mount 시점에서 실행 될 프로세스 end // 모두 마무리시 if (!isMount.current) { isMount.current = true; } }, []); // 2. 업데이트 : 변화, 리렌더링 useEffect(() => { // update 프로세스 진행 console.log("update!"); });마운트 시점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가 마무리 된 후 isMount를 갱신하고, 그 다음 update 시점은 이미 마운트가 되어야지만 동작하는거니 별도의 mount 체크 필요없이 update 프로세스를 작성하면 되지 않나 싶었습니다. 물론 이렇게 되면 isMount 자체를 현 시점에서 사용 할 이유가 없으니 애매해지긴 하겠지만요.. 글 재주가 없어서 질문이 좀 난해해서 죄송합니다 ㅠㅠ 강사님께서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웹 개발자와 정보보안 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웹 해킹 & 시큐어 코딩
접근이 거부되었다 에러
실습을 잘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로그인 페이지에서 로그인하면 에러가 발생하여 다시 insecure_website를 다운하여 실습을 진행하려 하는데 insecure_website폴더를 htdocs폴더 안에 넣었고 common.php에서 패스워드도 설정하고 query.txt의 내용을 복사하여 MYSQL에 작성도 했는데 접근이 거부되었다고 나옵니다. 전에는 잘 되었는데 다시 다운받아서 하니 되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동기식 리셋과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맛비님. [HDL 3장] reset과 관련하여 질문있습니다.https://aifpga.tistory.com/entry/Verilog-HDL-QA-021-reset%EC%9D%84-negative%EB%A1%9C-%EC%A3%BC%EC%8B%9C%EB%8A%94-%EC%9D%B4%EC%9C%A0%EA%B0%80-%EB%AD%90%EC%A3%A0-positive%EC%97%90%EB%8A%94%EC%9D%B4%EB%AF%B8-clk%EC%9D%B4-%ED%95%A0%EB%8B%B9%EB%90%98%EC%9E%88%EC%96%B4%EC%84%9C%EA%B7%B8%EB%9F%B0%EA%B0%80%EC%9A%94맛비님께서 올려주신 포스트 내용을 보면 Xilinx에서는 synchronous active-high reset을 권장한다고 되어있습니다.제가 궁금한 점은 이 synchronous active-high reset 핀을 실제로 FPGA가 있는 PCB 보드의 어떤 신호에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인지 입니다.인터넷에 다른 유저들의 FPGA 프로젝트들을 보면 보통 푸쉬버튼 스위치를 리셋 입력으로 받아오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만, 제 생각에는 동기식 reset 입력으로 푸쉬버튼과 같은 비동기적 신호를 연결할 경우 CDC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특히 Multi-clock 으로 되어 있는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 심각할 것 같습니다.혹시 synchronous reset을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2 stage F/F을 이용해서 async reset을 sync reset으로 동기화해주는 모듈을 구현해야 하나요?맛비님께서는 synchronous reset의 I/O constraint를 어떻게 설정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eg) 몇 장, 몇 분 몇 초 쯤. or 수강생 분들이 봤을 때 어디구나?! 할 수 있게 표기 부탁 드려요.[2. 질문 내용] : eg) 질문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시면 되겠습니다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eg) 설치영상은 이렇게 시도했는데 안되더라 or 본인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실습 내용 중에 이해가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는데, 이러 이러한 근거로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 다음 내용은 읽어보시고 지우시면 됩니다.=================질문 내용을 작성해주실 때, 위의 3단계로 제가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Vue.js 시작하기 - Age of Vue.js
크롬 확장 프로그램 vue devtools 설치했는데
개발자도구에서 vue탭이 안보입니다. 버전이 여러게 있길래 다 시도해봤는데도 안보이네요. 현재는 legacy 버전을 설치한 상태이고, 파일 url액세스 허용도 체크되어 있습니다.여전히 vue탭은 개발자도구에서 안나타나네요. 가이드를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Flutter로 SNS 앱 만들기
파이어베이스에서 실수로 강의프로젝트를 실수로 삭제하였습니다.도와주세요
도움부탁드려요.강의를 전부시청하였습니다.파이어베이스에 실수로 강의프로젝트를 삭제하였습니다.그런이유로 작동이 잘안되어 문의 드립니다. 어떤이유인지 같은이름의 프로젝트를 생성불가하여노트북도 새로 포맷하여 새롭게 설치 하였습니다.gmail을 새로운계정을 만든고,파이어베이어스 등록하였습니다.프로젝트이름 같은이름으로 생성하였습니다.Authentication,Firestore Database는 강의내용과 같아서 정상적으로 등록하였습니다.혹시나 싶어서.새로운 계정으로git과 github을 다시설치했습니다.그러나, 파이어베이스에 스토리지가 일부 변경이 되어 답변내용중에 스토리지변경에 대한내용을 참고하라는 설명에 설치를 하게되었습니다.기존에 강의를 불러서 firebase_options.dart 을 안드로이드,앱키등등을 새로생성된것으로 변경하였는데.앱이 정상작동이 안돼는데.. 어떻게 바꿔줘야 하는지 부탁드려요. 여기에서 넘어가지를 않습니다.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출력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빈 등록하고 실행했는데 이렇게 뜨는 이유가 뭔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제네릭 상한 설정을 위해 생성자를 활용하는 것이 extends보다 못한 점이 무엇인가요?
[질문 내용]제네릭의 상한 설정을 소개하시기 전에 어떻게 특정 타입만을 받도록 할지 혼자 고민을 해 보았는데, 클래스 생성 시 생성자를 통해 받을 타입을 제한하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public class Box<T> { private T animal; public Box(Animal animal) { this.animal = (T) animal; } } 결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는 했는데, 이 방법에도 여전히 문제가 있기 때문에 extends를 이용하는 거겠죠? 상기한 방법이 extends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못한 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postman userinfo 엔드포인트 질문
안녕하세요 userinfo 엔드포인트를 호출을 postman에서 하면 body에 아무런 정보가 뜨지 않고 400 상태만 반환합니다..그런데 실제 웹 브라우저에서 똑같이 헤더 추가하고 하면은 200 OK json body가 딱 떨어지는데 뭐가 문제일까요?postman에서 뭔가 잘못된 거 같은데.. 원인을 모르겠네요..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프로덕션 환경과 테스트 환경 Config를 다르게 가져가는 방법
안녕하세요 선생님,현재 프로젝트에서 프로덕션에서 사용하는 SecurityConfig클래스와 테스트에서 사용하는 SecurityConfig를 다르게 가져가려 합니다. 이유는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jwt필터 같이 커스텀 필터들을 적용해야하고, 테스트 환경에서는 해당 필터들을 거치지 않도록 해서 테스트를 더 편하게 하기 위함입니다.@Configuration @EnableWebSecurity public class SecurityConfig { @Bean("prodSecurityFilterChain") public SecurityFilterChain securityFilterChain(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 ... http.addFilterBefore(jwtAuthenticationFilter,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Filter.class); ... }@TestConfiguration @EnableWebSecurity public class TestSecurityConfig { @Bean("testSecurityFilterChain") public SecurityFilterChain testSecurityFilterChain(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 //필터 없음 }위 처럼 작성하였습니다.컨트롤러 테스트 시@SpringBootTest(webEnvironment = SpringBootTest.WebEnvironment.RANDOM_PORT) @ActiveProfiles("test") public class InterfaceTest { @LocalServerPort private int port; @BeforeEach void setUp() { RestAssured.port = port; } }위의 클래스를 상속받아서 테스트를 구현합니다. 제 의도는 테스트 시에는 @TestConfiguration이 주어진 SecurityConfig를 기반으로 설정이 될거고TestSecurityConfig에는 jwt필터가 없으니, 테스트 코드에서는 필터를 거치지 않고 잘 수행이 될거다 였으나, 실제 Security 디버그를 보면 2024-12-11 10:17:32 [Test worker] DEBUG org.springframework.security.web.DefaultSecurityFilterChain - Will secure any request with filters: DisableEncodeUrlFilter, WebAsyncManagerIntegrationFilter, SecurityContextHolderFilter, HeaderWriterFilter, CorsFilter, LogoutFilter, BlackListCheckFilter, JwtAuthenticationFilter, RequestCacheAwareFilter, SecurityContextHolderAwareRequestFilter, AnonymousAuthenticationFilter, SessionManagementFilter, ExceptionTranslationFilter, AuthorizationFilter로 JwtAuthenticationFilter가 있으며, 인증처리가 안되었다는 401에러를 뱉고있습니다.질문 드립니다.1. 프로덕션 환경과 테스트 환경 Config구분시 별도의 설정이 더 필요할까요? 자료들을 더 찾아보아도 다른 방법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2. 혹시 Config를 구분하는것이 아예 불가능한것일까요??아니라면, 실무에서도 위와 같은 구조가 자주 사용되는지 등 궁금합니다.
-
해결됨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VMware Ethernet1이 없는 경우
Vmware 윈도우11이 ms사에서 제공하지 않아서따로 윈도우11 이미지를 받아서 VMware player에서 받아서 완전 쌩 윈도우11을 다운받앗는데cmd 창에서 ipconfig를 쳐보니까 Ehternet0 밖에 안뜹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Cat에 toString 을 오버라이딩 하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위와 같이 Cat 클래스에 toString 메서드를 오버라이드 했을때 findAnimal2 의 결과가 Cat()이 나오는게 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타입 인자가 Animal이고, Cat은 Animal을 상속받은 자식 클래스기 때문에 Cat의 toString 이 나와야 하는거 아닌가요..? 어디서 놓친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10.3강 memo(Header) 리렌더링 질문
안녕하세요.컴포넌트 최적화 하는 부분에서 질문있습니다. 10.3강에서 대략 5분 40초쯤에 Header 컴포넌트에 memo 기능을 사용해서 최적화 한 뒤에, 체크박스를 클릭하면서 헤더 컴포넌트가 리렌더링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확인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질문사항은 memo 기능을 통해 최적화를 하던 안하던 개발자 도구에서 Header 컴포넌트가 항상 리렌더링이 일어나는것 같은데 어떻게된걸까요? 헤더부분이 계속 노란색으로 뜨면 리렌더링이 일어났다는걸로 보이는데 강의 영상에서도 다른 컴포넌트와 동일하게 노란색으로 변경됩니다. 강의에서 TodoItem을 커스텀한 부분은 강의대로 적용됐습니다.(이부분은 리렌더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해결됨[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카프카 2.8.2 버전과 많이 차이가 있을까요??.
강의 매우 유익하게 듣고 있습니다. 다른 질문들도 많이 찾아보았는데요 3버전은 실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있는 사례가 없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카프카 버전이 현재기준으로는 2버전은 2.8.2버전까지 나온걸로 아는데 강의 들을 때 사용하는 2.5.0버전이 아직 현역인지 궁금합니다 ㅎㅎ (제가 근무하는 회사는 카프카 적용사례도 없고, 현황을 알기 어려워서요 ㅠㅠ) 우선 강의 기준 2.5.0으로 열심히 강의 듣고 2.8.x버전과 차이를 스스로 공부해보려고 하는데 개발하는데 차이가 없다면 2.8.2바전 기준으로 주키퍼버전도 올리고 듣는게 좋을까요? ㅎㅎ
-
미해결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스프링부트 기반의 API 템플릿 프로젝트 구현
5:23분 테스트 결과 관련 문의드립니다.
강사님 안녕하세요 :)우선 양질의 강의 감사드립니다. ========== 1. 문제 사항에러 메시지 내 정보가 강의 내용과 다르게 반환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404 -> 500@FeignClient(url = "http://localhost:8080", name = "helloClient") public interface HelloClient { @GetMapping(value = "/api/health2", consumes = "application/json") HealthCheckResponse healthCheck(); } { "errorCode": "500 INTERNAL_SERVER_ERROR", "errorMessage": "[500] during [GET] to [http://localhost:8080/api/health2] [HelloClient#healthCheck()]: [{\"errorCode\":\"500 INTERNAL_SERVER_ERROR\",\"errorMessage\":\"No static resource api/health2.\"}]"} ========== 2. 문제 파악전역 예외 처리 코드와 에러 디코더 코드에 디버깅 포인트를 걸고 확인한 결과, 전역 예외처리 코드가 먼저 실행되어 에러 디코더로 넘어가는 시점에는 이미 500 에러가 반환되는 것 같습니다. 이에 전역 예외 코드를 주석처리하고 재실행하면,에러 디코더에서 404 에러가 반환되는 점까지는 확인했습니다. ========== 해당 문제 외 다른 테스트 결과는 모두 강의 내용과 동일합니다. 혹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어떤 부분일지요? 방법이나 키워드 말씀 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더불어 @ExceptionHandler와 ErrorDecoder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구체적으로 설정한 ErrorDecoder의 예외 처리 이후에 전역 예외 처리가 실행되는 흐름일지요? 두 기능을 함께 사용할 때 예외 처리의 흐름 간략히 설명해주시면 학습에 참고하겠습니다. :)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HealthFeignTestController { private final HelloClient helloClient; @GetMapping("/health/feign-test") public ResponseEntity<HealthCheckResponse> healthCheckTest() { HealthCheckResponse healthCheckResponse = helloClient.healthCheck(); return ResponseEntity.ok(healthCheckResponse); } } @Configuration @EnableFeignClients(basePackages = "com.app") @Import(FeignClientsConfiguration.class) public class FeignConfiguration { @Bean public ErrorDecoder errorDecoder() { return new FeignClientExceptionErrorDecoder(); } @Bean public Retryer retryer() { return new Retryer.Default(1000, 2000, 3); } }
-
해결됨컴팩트하게 이해하고 바로 구현하는 Kubernetes ELK 로그 모니터링 시스템
수업 노트를 다운로드 받으려고 하는데 어디에 있나요
강의 중간에 나오는 건가요?메니페스트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githun 링크가 나온다고 해서 찾아보는데 다운로드 받는 곳이 보이지 않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