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temList에 moive, album 정보 나타내는 법
[질문 내용]Book 외에 Album, Moive도 구현하려고 합니다.예제의 itemList.html에는 추상 클래스 Item에 정의된 속성들만 표시되도록 되어있는데요. Item이 Book인 경우에는 author, isbn이 Album인 경우에는 artist, etc 등이 같이 표시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구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까요? 타임리프에서 Item의 클래스를 체크한 후(instance of 와 유사) 다운캐스팅해서 각각의 타입에만 해당하는 내용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고, href도 "items/{id}/edit"을 수정해서 "items/{id}/book-edit", "items/{id}/album-edit"과 같은 식으로 하는게 맞는 방법인가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Next15의 서버사이드 렌더링과 서버 컴포넌트
안녕하세요! Next 강좌를 보던 중 헷갈리는게 있어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다름이아니라, 현재 next15에서 getServerSideProps 등이 사라진걸로 알고있는데 그럼 서버사이드 렌더링을 서버 컴포넌트로 대체하는건지 여쭤보려고 합니다!서버사이드 렌더링과 서버 컴포넌트는 다른 개념이라고 알고있는데 결국 서버사이드 렌더링을 서버 컴포넌트를 이용해서 구현하는 것인지,, 그게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완벽한' 프론트엔드 코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혹시 최초 프로젝트 생성할때, nextjs15버전으로 설정되었는데 괜찮을까요?14로 다운그레이드 해야할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P, 제가 작성한 코드가 괜찮은지 봐주세요.
https://www.acmicpc.net/source/87733901 강의를 보기전 구현해본 코드입니다.백준 통과는 됐는데, 제가 느끼기에 강사님 코드에 비해 길이가 길고 난잡하다 해야할까요?
-
미해결[Rookiss University] UE5 Lyra 클론 코딩 (Haker)
GameplayTags 싱글톤
보통 싱글톤으로 사용할 클래스를 만들 때 생성자와 소멸자를 private으로 지정하고 복사생성자를 차단하는데 이런 방식을 쓰지 않은 이유가 있나요?
-
해결됨[2025] 비전공자도 가능한 React Native 앱 개발 마스터클래스
macOS개발환경 세팅
안녕하세요 현재 macOS를 사용해서 개발환경을 세팅하고 있는데요. 저는 원래 iOS 개발을 하고있어서 기본적으로 xcode와 cocoaPods가 깔려있어서 iOS개발관련해서는 별도로 셋팅할게 없었는데요. Android의 경우에는 한번도 개발해본적이 없어서 셋팅이 필요합니다. Chocolatey, 등이 필요한건가요? 아님 Chocolatey와 Windows 파워쉘은 Window 세팅의 경우만 필요한건가요? 저는 그냥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만 설치하면 되는 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errors.properties에 파라미터로 넘겨주는 매개변수 타입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errors.properties에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메시지에 new Object[]{1000, 1000000}로 매개변수를 전달하였을 때, 자동으로 1,000 / 1,000,000와 같이 쉼표가 포함되는 숫자로 표시되는데 숫자인 경우엔 쉼표를 자동으로 넣어주는건가요?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goto문에서 라벨과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C 기초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강사님께서 작성하신 goto문의 예제 중 하나인 bool과 관련해서 질문이 있는데요,라벨은 중괄호로 묶이지 않는이상 라벨 직후의 구문만 포함한다고 나괄호로 묶이지 않는이상 라벨 직후의 구문만 포함한다는 정보를 찾았는데, 강의에서 작성하신 코드에서는 CLEAN_UP에 대한 구문이 중괄호로 묶여있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int main(void){ bool isA = false; bool isB = false; int nInput; scanf_s("%d", &nInput); if (nInput > 0) isA = true; else goto CLEAN_UP; scanf_s("%d", &nInput); if (nInput > 0) isB = true; else goto CLEAN_UP; CLEAN_UP: if (isA) isA = false; if (isB) isB = false; return 0;}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회원가입시 왜 리다이렉트 안되죠?
회원가입후 회원가입완료되면 자동으로 메인페이지 이동해야 하는데, 라이디렉트가 안되고 있습니다.db는 확인해보니 제대로 전송되고 있고요.데이터 또한 정상적으로 200 떠서 넘김 처리한거 같은데 뭐가 말썽인지 모르겠습니다.기존꺼 듣다가 15로 업데이트 해서 패키지로 기존에 싹다 날리고, npm i로 다시 설치 했습니다. 그래도 안되서 문의드려요.1. env, 2.handler, 3.browser, 4.https, 5.auth 6.기타 컴포넌트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놨는데도 문제가있네요.그리고 추가로 가입하기 버튼후 새로고침 안하면 계속 대기중으로 표시되는것 같습니다.회원가입 시 프론트서버 회원가입 시 백엔드 서버(npm run start:dev) 회원가입시 브라우저콘솔( 이부분은 확인해보니 매우느리게 status가 200으로 처리가 되었네요) 확인사항: 방금 https://github.com/ZeroCho/next-app-router-15 으로 그대로 zip파일열어서 그대로 실행시켜 봤는데 제 코드랑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걸로 봐서는 백엔드 혹은 백엔드와 상호작용에서 뭔가 문제가 있는것 같은데 혹시 문제해결을 알수있을까요? *추가로 새로보시는 분들은 상관없는데,기존에 보시다가 변경되신 분들은 지금 강의 너무 혼란스럽습니다. 진행자 입장에서는 크게 변한게 없다고 하겠지만, 시청하는 입장에서는 패키지 버전부터, 기타 등등 이 바꼈고, 이해안가는 부분만 해당 강의를 시청할려고 다시 듣는데 기존꺼랑 새로운거랑 그냥 아예 섞여버려서 강의가 가독성이 지금 너무 떨어지고있습니다. 인트로부분에 15버전수정은 15버전이라고 기재한다고 했는데, 그것도 일부분만 하고 나머지도 슬쩍 변경이 됬는데, 아예 기존것처럼 해놔서 더 혼동이 오네요. 차라리 업데이트를 한번에 하시지 왜 진행도중에 하시는지 ..조금 불편합니다.. 나중에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repository 인터페이스에 vo전달 방법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실무를 하는데 궁금한게 있어 질문 남깁니다. repository 인터페이스에 생성된 메소드를 실행하는데 string으로 파라미터 값을 보내주는 예제를 보여주셨는데, 혹시 vo를 바로 보내줄수도 있을까요? 가능하다면 어떤 형식으로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버전으로 인한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스프링 입문 강의 수강 중 문의드리고 싶어 글을 남깁니다. 강사님 말씀대로 hellospringapplication을 실행하니 붉은 색 글씨로 아래 문구처럼 출력됩니다. Mockito is currently self-attaching to enable the inline-mock-maker. This will no longer work in future releases of the JDK. Please add Mockito as an agent to your build what is described in Mockito's documentation: https://javadoc.io/doc/org.mockito/mockito-core/latest/org/mockito/Mockito.html#0.3WARNING: A Java agent has been loaded dynamically (/Users/user/.gradle/caches/modules-2/files-2.1/net.bytebuddy/byte-buddy-agent/1.15.11/a38b16385e867f59a641330f0362ebe742788ed8/byte-buddy-agent-1.15.11.jar)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in use, please run with -XX:+EnableDynamicAgentLoading to hide this warning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not in use, please run with -Djdk.instrument.traceUsage for more informationWARNING: Dynamic loading of agents will be disallowed by default in a future release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 자바는 openjdk oracle 23.0.1을 사용 중이고, gradle jvm도 oracle openjdk 23 버전을 사용 중입니다. 제공해주신 다른 답변들을 확인하여 자바 버전을 17로 다운그레이드 하려 했는데 project structure에서 17 버전을 선택하니 amazon corretto가 선택되었습니다. 오라클 17 버전은 따로 뜨지가 않더라고요.. 오라클 버전 외 다른 17 버전을 선택하고 gradle jvm도 조정하면 해결될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양질의 컨텐츠 제공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배달앱 클론코딩 [with React Native]
window - mac 협업 과정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제로초님현재 저희는 두명이서 같이 rn 으로 앱을 만들려고하는데요한사람은 window이고 한사람은 mac을 이용하는 상황입니다.그래서 깃을 통해 파일을 하나로 통합시켜 진행하려고 하는데window개발자가 개발해놓은 파일을 Git-clone해보니 mac에서 안돌아가고(android 빌드 까지는 되는데, ios 빌드에서 자꾸 RCTAppDelegate import에 대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반대로 mac에서 먼저 프로젝트를 새로 만든 후, ios, android에서 모두 빌드가 되는 것을 확인한 후에 window로 넘겨주니 또 window에서 빌드 오류가 생깁니다..1. 원래 운영체계가 다른 두 컴퓨터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것이 잘못인 건가요?2. 그게 아니라면 통합하는 매뉴얼같은게 있을까요?3일째 일을 못하고 이거에만 시간쓰다 도저히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실전편 (인공지능 수익화)
셀레니움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군대에서 정말 잘 듣고있습니다. 아무래도 싸지방이다보니 codespace로 동작시켰는데요.다름이 아니라 셀레니움 부분을 공부하던 중 어찌저찌해서 driver를 연결까진 했으나, 화면이 뜨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에러가 나는 것은 아니지만, 아마 GUI가 설정이 안되어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어떻게 해야할까요? 아래는 driver = webdriver.Chrome()를 codespace에 맞게 변경한 코드이고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from selenium.webdriver.chrome.service import Service from selenium.webdriver.chrome.options import Options # ChromeDriver 경로 명시 chromedriver_path = "/usr/local/bin/chromedriver" # ChromeDriver 경로 chrome_path = "/usr/bin/google-chrome" # Chrome 브라우저 경로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Chrome 옵션 설정 options = Options() options.add_argument("--headless") # GUI 없이 실행 options.add_argument('--no-sandbox') options.add_argument('--disable-dev-shm-usage') options.binary_location = chrome_path # Chrome 브라우저 경로 설정 # ChromeDriver 서비스 설정 service = Service(chromedriver_path) # WebDriver 생성 driver = webdriver.Chrome(service=service, options=options)아래는 이로인해 나타나는 화면입니다.driver.get() 등등의 메소드를 이용하면 title, current_url의 결과로 잘 작동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하지만, 화면이 바뀌지 않아서 문제입니다.앞에서도 언급했지만, GUI를 codespace에서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야할 거 같은데 쉽지 않습니다..GUI가 없다보니 headless를 설정할 수밖에 없었구요..
-
미해결딥러닝 CNN 완벽 가이드 - TFKeras 버전
소프트맥스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얼마전 머신러닝 완벽가이드 강좌에 소프트맥스 질문 드렸던 사람입니다.저는 소프트맥스 연산에 대한 하드웨어 가속기 설계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석사 과정생입니다.그 때 남겨주셨던 답변에 대해 답을 드리면, Softmax의 Input 정밀도라는 것은, 마지막 FC layer를 통과한 후, Softmax층의 input으로 들어가는 값에 몇 bit를 할당할 것이냐에 관한 내용입니다. 즉 제가 알고 싶은 내용을 다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oftmax의 input (혹은 output도)에 많은 bit가 할당되면, H/W resource가 커지게 되므로, 모델의 accuracy를 크게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어느 정도의 정밀도를 유지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하여 모델에서 softmax input 전에 따로 텐서 안의 값들을 특정 소수점 자리에서 반올림 해주는 함수를 정의해 반올림을 거치거나, 기존의 FP32를 FP16으로 casting을 거치도록 하여 좀 더 낮은 정밀도에서 잘 돌아가는 지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중이었습니다. 저의 시뮬레이션 내용은 아래에 첨부하겠습니다. (rounding의 경우는 텐서 안의 값들이 제대로 반올림이 안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인지.. 소수점 10번째에서 rounding을 하든, 20번째, 30번째에서 하든 accuracy에 큰 변화가 없고 거의 36프로 정도를 보였습니다.) 또 일반적으로 H/W설계 시에 floating point보다 fixed point가 구현이 훨씬 간단하며, 리소스 사용량이 매우 적은데,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델을 학습시킬 때의 데이터는 대부분 float 32 또는 float 64를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이는 역전파 과정에서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 모델 학습 시에 fixed point를 사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까요 ? (소수점 10째자리에서 반올림을 하든, 20,30째자리에서 반올림을 하든 이론상으로는 정밀도가 높아질수록 accuracy가 높아져야 될 것 같은데 제 시뮬레이션 상으로는 모두 36프로의 정확도를 보여 코드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알고리즘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FP16으로 표현 가능한 최대 정밀도의 값들이 훈련 시에 자주 사용되는지, 실제로 필요한 수준의 정밀도인지 궁금합니다. softmax 층의 input으로 들어가는 logit값(?)들의 range가 어느 정도인지도 궁금합니다. 아마 모델과 사용하는 데이터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 같기는 한데, 제가 읽었던 softmax accelerator관련 논문들에서는 일반적으로 softmax의 input의 range를 [-10,10]으로 가정을 했습니다. (알고리즘 분야가 아닌 하드웨어 논문들이기는 합니다..ㅠㅠ) 허나 실제 학습 시에 floating point를 사용한다는 것은 분명 logit값이 10보다 매우 큰 값이기 때문일 것 같은데 왜 논문들에서는 저런 범위를 가정했는지 궁금하여 든 생각이 혹시 practical한 모델 내에서는 softmax로 들어가기 전에 특정 범위 안으로 들어가도록 전 처리를 해주는 layer가 따로 있는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또 학습이 점점 진행되면서 logit 값이 학습 후반부로 갈수록 일반적으로 수렴하는 분포(?)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epoch별로 logit 값을 출력해보고 싶은데, 아직 코딩에 익숙치 않아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본질적으로 softmax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multi classification에서 결국 하나의 class로 분류하는 것이 목적인데, 그러면 최종 logit값들 중 가장 큰 값을 선택하면 되는데 왜 굳이 softmax를 통해 확률 분포를 만든 후에 가장 높은 확률의 class로 선택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어차피 softmax를 취한 후의 maximum이나 취하기 전의 maximum이나 같을텐데)( 시뮬레이션 내용 ) 지난 번의 코드는 깃헙에서 임의로 가져온 코드라 조금 더 제대로 된 코드로 실습하고자 이번에는 선생님의 강의 자료인 VGG_Practice 실습 코드를 이용했습니다. 실습 코드의 모델 정의 부분에서 소프트 맥스 layer 직전에 rounding, 혹은 casting하는 부분을 추가한 것 외에 달라진 점은 없습니다.그림 1: float 16그림 2. float 16 결과그림 3. rounding (소수점 10째자리에서 반올림)그림 4. rounding 결과회로 설계 관련 연구를 진행하다 보니 AI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다소 난해하게 질문드리게 된 점 정말 죄송합니다.. 또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생각하다보니 알고리즘 부분과는 다소 동떨어진 질문이 있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그런 부분이 있다면 죄송합니다 ㅠㅠ몇 년전,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머신러닝에 관심을 갖게 되어 선생님의 강의를 수강하고, 잘 공부했었던 기억이 있어 이렇게 다시 찾아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긴 내용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
jooq로 auditing 구현하는방법
jpa, querydsl 을 완전 걷어내고 jooq 만 사용해보려 하는중인데, 아무래도 모든테이블에 "작성일, 작성자, 수정일, 수정자" 정보가 들어갈거 같아 auditing 기능을 구현 하려 하는중입니다.프로페셔널 상품을 사용하기는 어려운 상황이고, RecordListener 를 이용하여 구현해보려 하는데 리스너가 제대로 등록이 되질 않고 있네요 ㅠㅠ@Repository class UserRepository( private var dslContext: DSLContext, ) { init { val config = dslContext.configuration().derive() config.set(userRecordAuditListener()) dslContext = DSL.using(config) } private fun userRecordAuditListener(): RecordListener { val createAudit: (UsersRecord) -> Unit = { it.createdAt = LocalDateTime.now() it.createdBy = 1 } val updateAudit: (UsersRecord) -> Unit = { it.updatedAt = LocalDateTime.now() it.updatedBy = 2 } return RecordAuditListenerGenerator<UsersRecord>().generate( UsersRecord::class.java, createAudit, updateAudit, ) } fun insertUser(user: UsersRecord): Long? { return dslContext .insertInto( USERS, USERS.NAME, USERS.AGE, ).values( user.name, user.age ).returningResult(USERS.ID) .fetchOneInto(Long::class.java) } } class RecordAuditListenerGenerator<R : UpdatableRecordImpl<R>>( ) { fun generate( recordClass: Class<R>, insertStart: (R) -> Unit, updateStart: (R) -> Unit, ): RecordListener { return object : RecordListener { override fun insertStart(ctx: RecordContext) { println("============== 1 ==============") insertStart(recordClass.cast(ctx.record()) as R) } override fun updateStart(ctx: RecordContext) { println("============= 2 ===============") updateStart(recordClass.cast(ctx.record()) as R) } } } } 데이터는 insert 되는데 작성자, 작성일이 안들어가고 있네요. 찍어놓은 프린트도 호출이 안되구요..혹시 왜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매니저관리에대해 질문이있습니다.
강의를 듣고 제가 느낀 매니저들을 관리하는 방식은 최상위 Managers를 통해 각각의 매니저를 접근하도록 만든 방식인거 같더라고요(저의 해석이 틀렸다면 지적부탁드립니다.)제가 여기서 궁금한 점은 다른 방식으로 각각의 매니저들을 싱글톤으로 만들어서 하는 방식이 존재하는데, 강의가 만약 게임의 규모가 커진다면을 생각해서 코드를 확장하기시기때문에 저도 좀 더 생각해보아서 후자의 방식이 더 좋은방식이지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이 주장의 근거는1.매니저들이 점점커지면 Managers에게 초기화 부담도 커질것이다. 2.Managers에 문제가생기면 모든 개별 Manager가 작동하지 않는다. 3.각 매니저는 전부 Managers에서 초기화 되기때문에 한 매니저에 의존성이 있는 매니저가 있을때 초기화 순서를 잘 해놓지않으면 오류가 발생한다.다시 강조하자면 "게임의 규모가 커진다면 개별적으로 매니저들을 관리하는게 더 관리하기 좋은 방식이지 않을까?"에 대한 루키스님에 의견을 듣고싶어 질문을 올립니다.
-
미해결3D 모델링 입문을 위한 라이노(Rhino) '꿀팁' Part.1
iphoe 모델링 : 스케치를 입체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 18:10분에 똑같이 따라했는데도선생님처럼 똑같은 모양이 아니라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실제 이력서 사례로 알아보는 [합격하는 이력서] 작성 가이드
프로젝트 경험 작성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이력서는 어느 정도 작성해놓은 상태인데, 몇 가지 질문이 있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전 회사에서 일했던 경력 중에서 성과로 드러낼만한 것이 거의 없어서 2년 전쯤에 부트캠프에서 했던 경험 중에 적을만한 것이 있다면 이력서에 적어도 될지 여쭤봅니다.다만 프로젝트 링크가 접속은 되는 상태지만 몇 가지 기능은 돌아가고 있지 않아서 좋지 않게 보지 않을까 하는 걱정입니다.. 요약하자면오래 전에 했던 프로젝트 경험을 적어도 될 지 궁금합니다.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프로젝트도 따로 링크를 걸어도 될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12:로그아웃 & 무한 루프 에러
안녕하세요. 덕분에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마지막 섹션 강의를 따라 진행하던 중, 로그아웃이 안되거나 무한 루프 오류가 나서 글을 남깁니다. 코드는 다 맞게 작성한 거 같은데, 어떤 부분을 확인해야 할 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antd 적용
antd 편해서 적용하려는데 문제없나요?styled component 문제있다하셔서 css module로 커스텀하려는데 인라인 스타일로 커스텀하면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