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QL 대신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를 듣다가 JPQL을 생성해주는 JPA나 QueryDSL이 되게 편리하고 유용한 기술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네이티브 쿼리를 활용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궁금해지더라구요.네이티브 쿼리를 활용해야만 하는 상황이나, JPQL 대신 네이티브쿼리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유스케이스를 알려 주실 수 있나요? 예를 들어, 대용량 배치 작업의 경우에는 ....과 같은 부분에서 오버헤드가 발생하는 JPQL 대신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할 수 있는 JDBC 템플릿 등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서 많이 사용된다거나 하는 부분입니다.
-
미해결마이크로서비스 디자인 패턴 완벽 가이드
마이크로서비스와 모듈러 아키텍처 선택 질문
db(db2, 오라클 등등)가 여러 종류로 나뉘어 서비스 중입니다. 무조건 마이크로 서비스 구조를 채택하는것이 좋을까요?
-
미해결옵시디언 마스터 클래스(생산성을 바꾸는 기록 습관)
6F 구조에서 노트를 분류할 때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노트나 항목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예를 들어, Figurehead 항목에 제가 공부하고 있는 것들을 정리하려고 합니다.개발 등 여러 범주의 내용들이 들어갈 것 같아 중분류 격의 항목들을 만들어 up 속성으로 MOC에 추가 하였는데요,이 때 실제 공부하는 항목들은 up 속성을 해당 중분류 항목 뿐만 아니라 Figurehead까지 가지게 됐습니다. (Figurehead의 Effort base 에 표시하기 위해서) 문득 이런 경우들이 많아지면 그래프 뷰에서 확인할 때 굉장히 복잡해 질 것 같았습니다.세부 항목들이 중분류 뿐만 아니라 가장 상위인 6F 항목들 까지 연결되니까요.분류를 상세하게 하면 할 수록 두드러질 듯 합니다.중간 분류를 위해서는 어떻게 정리하는 것이 좋을까요?위 상황처럼 가장 가까운 상위와 최상위를 연결최상위는 연결하지 않음애초에 중간 분류를 만들지 않음중간 분류 항목을 만들지 말고 다른 속성 등으로 관리 MOC 항목에는 위 처럼 분류를 위한 항목이 들어가도 될까요?Map of Contents 인 만큼 세부 항목들이 들어가도 되긴 하겠지만, 훗날 수가 많아 질 경우를 위해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강사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checkDuplicateEmail 메서드와 동시 요청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토비님!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잘 듣고 있습니다.작은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checkDuplicateEmail 메서드와 동시 요청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섹션 5. 28강 회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테스트(2) 20:47초 경에 email 중복 체크를 위하여 checkDuplicateEmail 메서드 코드를 작성하였고, 같은 email로 가입하려고 하면 DuplicateEmailException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다른 가정을 해보고 그런 상황에서 토비님이라면 어떻게 하셨을지 궁금합니다.만약 email이 아닌 id로 회원가입을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면,email과 다르게 id는 여러 사람이 같은 id로 회원가입하려고 시도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동시에 2개의 요청이 들어오게 된다면 checkDuplicateEmail는 둘 다 통과하고 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이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DB에서 유니크 제한을 걸었기 때문에)규칙인 id는 중복되지 않는다는 지켜지겠지만,사용자가 보게 될 예외는 우리가 의도했던 DuplicateEmailException가 아니게 되겠죠. 여기서 궁금한 점은 이런 상황까지 고려하여 코드를 작성하여야 하는 것인지아니면 그냥 넘어갈 것인지 궁금합니다. 저라면,드물게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을 했다면 로깅만 잘 해놓고, 해당 예외가 많이 발생했거나 관련 cs문의가 많이 들어온다면 추가로 코드를 작성할 것 같습니다.처음부터 만약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면 try-catch를 통해 예외를 변경해줬을 것 같습니다.아마 다음과 같은 코드가 될 것 같습니다.@Override public Member register(MemberRegisterRequest registerRequest) { try { checkDuplicateEmail(registerRequest); Member member = Member.register(registerRequest, passwordEncod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emailSender.send(member.getEmail(), "등록을 완료해주세요",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등록을 완료해주세요"); return member; } catch (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 e) { if (/*e를 통해 유니크 키 예외를 확인했다면*/) { throw new DuplicateEmailException(); } throw e; } }서비스의 코드가 현재보다는 보기 지저분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니면 이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토비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자바가 아닌 다른 언어에서도
동작원리자체는 동일할까요?닷넷에서 테스트코드 작성해도 동일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CloudFront 생성 UI
CloudFront 생성 UI가 변경이 됬는데 보충자료에 올라온거 봤는데 클릭 하는 창이 안 뜨네요 정식적으로 바껴서 그런가요 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잘 사용하진 않지만 풀 외부 조인을 사용하신 사례가 궁금합니다!
풀 외부 조인을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사용하실 때가 있다고 했는데 어떨 때 사용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회사에서 바로 쓰는 업무자동화 AI 에이전트 (w. n8n, LangGraph)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진행할 때는 어떠한 워크플로우로 진행하나요?
현업에서 보통 n8n 워크플로우를 Python 노드로 어느 정도 수준까지 전처리를 진행하나요? Python 환경과 n8n 환경을 sync를 맞춰서 연동하는 좋은 꿀팁 혹은 구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JPA (ORM) 개발자를 위한 고성능 SQL (High-Performance SQL)
JSON 타입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강의에서 JSON 타입을 활용하는 부분이 인상 깊어서, 이를 실무 API 배치 작업에도 적용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재는 API 호출 비용 절감을 위해 응답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외부 API는 언제든 스펙이 변경될 수 있어서, '원본 응답을 그냥 JSON 형태 그대로 저장하는 게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다만 저희는 MySQL을 사용하고 있어서, PostgreSQL의 Materialized View 같은 기능을 직접 활용할 수 없습니다.대신 MySQL에서 JSON 컬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백오피스 조회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JSON 컬럼에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자주 조회하는 필드는 생성 컬럼을 두고 인덱스를 적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인지, 아니면 JSON은 단순 보존용으로만 두고, 정규화된 별도 테이블을 함께 운영하는 것이 나은지,또는 다른 고성능 패턴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실무에서도 외래 키를 쓸수 있지만 쓰지 않는 경우?
실무에서도 외래 키(Foreign Key)를 쓸수 있는 상황이지만특별히 쓰지않고 처리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예를 들어 시스템 초기에 보다 유연한 설계를 위해?데이터 보전을 위해? 아니면 쓸수 있으면 최대한 쓰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핵심만 골라배우는 CSS3
style 속성마다 박스 형태를 따로 따로 가지나요?
a tag, span 태그는 각각의 박스 성질을 가지고 있다하셨는데, 줄바꿈을 해도 각각의 박스 성질을 유지하나요?
-
미해결2시간으로 끝내는 프론트엔드 테스트 기본기
Jest의 test와 it 사용에 대한 컨벤션 질문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중 jest에서 한글로 적을 때는 test, 영어로 적을 때는 it으로 적는 게 가독성이 좋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실무 팀에서는 이런 네이밍 컨벤션을 어떻게 정하고 유지하는지, 혹시 Prettier, ESLint 같은 도구로 특정 스타일(예: test만 사용)을 강제하는 경우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AI 시대의 혁신적인 게임 개발 입문 with Unity6
Input Setting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완강한 시점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먼저는 Unity6를 이용한 강의가 많이 없어서 좋은 강의 제공해주심에 감사 인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고 Input관련 함수를 사용하려고 하면 Project Settings에서 Both로 바꾸어야 하는 점, 그리고 사용하셨던 함수들은 옛날버전이어서 곧 지원이 끊긴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앞으로 배워나갈 제 입장에서는 공부할때부터 새로 제공되는 함수를 주로 사용하려고 하는 편이 아무래도 낫겠죠...?사실 현재 시중에 있는 여러 프로젝트들도 왠만하면 다 레거시 함수들을 쓰고 있을거라 생각이 드네요..너무 당연한 질문일 수도 있지만 유니코티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메모리의 형태가 전체설계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1. 질문 챕터] : HDL19장 4분 50초[2. 질문 내용] : 같은 메모리 크기라도 Width와 Depth를 다를 수 있다고 해당 강의를 보고 이해 했습니다. 갑자기 든 궁금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령 넓고 얕은 메모리와 좁고 깊은 메모리 중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FPGA 내부의 라우팅 복잡도나 타이밍 마진, 전력 소모에 어떤 실질적인 차이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에러가 발생했을 때 어디까지 구글링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강의 영상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상세히 문의를 작성해주시면, 주말/휴일 제외, 2~3일 내에 답변드립니다 (이외의 문의는 평생 강의이므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강의 답변이 도움이 안되셨다면, dream@fun-coding.org 로 메일 주시면 24시간 내에 재검토하겠습니다.- 괜찮으시면 질문전에 챗GPT 와 구글 검색을 꼭 활용해보세요~-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다운로드 방법포함)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너무 지피티에 의존해도 안된다고 하는데 배우는 단계에서 얼마나 지피티를 활용해야 할지 감이 안잡히네요..
-
미해결회사에서 바로 쓰는 업무자동화 AI 에이전트 (w. n8n, LangGraph)
데이터 전처리 작업 구성관련 질문
안녕하세요!!n8n으로 데이터 자동화 워크플로를 만들고 있는데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어떻게 구성하는 게 좋을지 고민이 됩니다. 실무에서는 보통 n8n 내부 Python 노드로 어느 정도 수준까지 전처리를 하고복잡한 전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외부 Python 환경과 연동하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n8n과 Python을 함께 쓰는 효율적인 구조가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조건 제약 처리 부분 질의
안녕하세요.섹션 8에서 장바구니에 주문을 생성할 때 같은 상품이 중복으로 생성되게 하지 않게 제약 조건을 걸었는데실무에서는 쿼리에서 제약 조건을 거는 지아니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없을 때 추가- 있을 경우 수량 증가와 같이 아니면 비즈니스 로직에서만 처리 하는 지어떤 케이스나 어느 비율로 적용하는 사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템플릿과 콜백의 역할 경계를 구분하는 기준
안녕하세요! 토비님ㅎㅎ 강의를 잘 듣고있는데, 궁금한게 있어 여쭤봅니다! 템플릿/콜백 구조에서 '고정된 틀(템플릿)'과 변하는 로직(콜백)의 경계를 어디까지 두는 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강의에서는 ApiTemplate 안에서 URI 생성, 응답 처리, 예외 변환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는데, 이런 부분들도 콜백으로 분리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템플릿 내부에 두는 게 더 적절할까요?
-
미해결옵시디언 마스터 클래스(생산성을 바꾸는 기록 습관)
강사님께서 쓰시는 지식관리 도구가 더 있을까요?
옵시디언을 기존에 알고만 있었는데 이번에 제대로 써보려고 합니다.예전부터 에버노트, 노션이나 스크리브너와 같은 지식관리체계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는데요.기록이라는 어플하나만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구요.그래서 요즘에는 spark이나 n8n같은 도구들을 저한테 맞춰서 쓰고 있습니다.강사님은 어떤 체계를 갖추셨는지 궁금하네요.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테스트를 작성하지않아도 되는 경우
안녕하세요 토비님명료한 설명, 가르침받고 있습니다!테스트 관련해서 모든 클래스마다 테스트가 있어야하나 생각해보다가 크게 두 가지 질문이 있어 이렇게 남겨봅니다~ 1.작성하는 모든 클래스에 대해 테스트를 해야하는지, 테스트를 만들지 않아도 괜찮은 경우가 있을까요?예를 들면 아래 경우에 테스트 의미가 있을까라고 생각이 들었네요 테스트 대상 클래스가 협력자(?)를 추가 로직없이 wrapping하는 경우, 즉 대상 클래스가 단순 wrapper인 경우 2.강의 중에서 PaymentService에 있던 valid 체크로직을 Payment로 이동하였고, 이에 따라 PaymentTest에 도메인 오브젝트에 대한 테스트를 작성하였습니다.헌데 PaymentServiceTest에서 valid에 대한 test suite가 있는 상황입니다. 이 경우 PaymentServiceTest만으로 PaymentTest는 커버가 되는 상황이기에 PaymentTest의 valid 테스트는 하지않아도 되는거 아닐까요?혹은 Payment에서 테스트하는게 더 적절하다면 PaymentService에서 valid 테스트는 하지않고 단순 Payment가 생성되었는지만 체크하도록 테스트를 수정해야할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