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1
·
수정됨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강의를 듣다가 JPQL을 생성해주는 JPA나 QueryDSL이 되게 편리하고 유용한 기술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네이티브 쿼리를 활용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궁금해지더라구요.
네이티브 쿼리를 활용해야만 하는 상황이나, JPQL 대신 네이티브쿼리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유스케이스를 알려 주실 수 있나요?
예를 들어, 대용량 배치 작업의 경우에는 ....과 같은 부분에서 오버헤드가 발생하는 JPQL 대신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할 수 있는 JDBC 템플릿 등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서 많이 사용된다거나 하는 부분입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뽁뽁이님.
JPQL과 네이티브 쿼리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적절한 상황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거나 불가피한 몇 가지 상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특정 DB 기능 사용: 네이티브 쿼리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기능이나 확장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라클이나 MySQL의 고유 기능을 활용해야 하는 경우 네이티브 쿼리를 작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성능 최적화: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복잡한 쿼리의 경우, 네이티브 쿼리가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JPQL 은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복잡한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하는 것이 성능 면에서 이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복잡한 SQL: JPQL로 작성하기 어려운 복잡한 조인이나 서브쿼리를 네이티브 쿼리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보호, 유지보수 및 배포 문제: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정책이 변경되거나 성능 문제로 특정 쿼리가 중요한 경우 네이티브 SQL을 사용하여 해당 문제를 직접 수정할 수 있습니다.
상세한 설명이 있는 관련 질문 URL에서는 엔티티가 아닌 DTO로 조회할 때 JdbcTemplate을 사용하면 더 편리한 면이 있다는 지식공유자의 답변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