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TensorFlow로 배우는 심층 강화학습 입문 - Deep Reinforcement Learning
코드 첫 라인부터 오류납니다.
코드 첫 라인부터 오류납니다.확인해서 다시 올려주세요. --------------------------------------------------------------------------- CalledProcess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ipython-input-5-4f475c98efa9> in <cell line: 0>() ----> 1 get_ipython().run_cell_magic('bash', '', '# Install additional packages for visualization\nsudo apt-get update\nsudo apt-get install -y xvfb python-opengl > /dev/null 2>&1\npip install pyvirtualdisplay > /dev/null 2>&1\npip install git+https://github.com/tensorflow/docs > /dev/null 2>&1\npip install gym[classic_control]\n') 4 frames<decorator-gen-103> in shebang(self, line, cell) /usr/local/lib/python3.11/dist-packages/IPython/core/magics/script.py in shebang(self, line, cell) 243 sys.stderr.flush() 244 if args.raise_error and p.returncode!=0: --> 245 raise CalledProcessError(p.returncode, cell, output=out, stderr=err) 246 247 def _run_script(self, p, cell, to_close): CalledProcessError: Command 'b'# Install additional packages for visualization\nsudo apt-get update\nsudo apt-get install -y xvfb python-opengl > /dev/null 2>&1\npip install pyvirtualdisplay > /dev/null 2>&1\npip install git+https://github.com/tensorflow/docs > /dev/null 2>&1\npip install gym[classic_control]\n'' returned non-zero exit status 1.
-
해결됨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수평적 확장을 통해 병목 지점 해소를 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최근 성능 최적화와 관련되어 병목 지점을 명확히 하고싶어 해당 강의를 수강중인 한 학생입니다. 강의 내용 중, ec2 의 cpu의 사용량이 100% 찍어, 수평적 확장을 통해 병목 지점을 해소하려고 한 내용을 확인하였습니다. 현재 개발되어있는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tomcat 서버의 pool 사이즈에 대한 설정과 hikari pool 에 대한 사이즈 설정이 default 로 들어가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default 가 min : 10 으로 설정되어있어, 이를 처리하기 하기 위한 thread 생성을 하다 보니, 더 늘어났다고 생각) 물론, 해당 spring boot 의 서버의 자원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툴이 적용되어 있지 않아 판단이 어려운 부분이 있긴 할 것 같습니다. 만약, 스카우터 등을 사용해 모니터링 한 결과, cpu 사용량이 100퍼센트까지 치솟는 지점이, 신규 thread 가 막 늘어나고, 요청들이 waiting 되는걸 확인한다면, pool 사이즈 부터 건들여 보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React-native-webview가 0.77.0버전에서 작동이 되지 않습니다.(흰화면)
질문이 아닙니다.해당 현재"react-native": "^0.76.6","react-native-webview": "^13.13.2",에서 웹뷰로 카카오 로그인을 접속하려고 했으나.버그가 있어 렌더링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기존 제공해주신 깃허브 코드로 이어가려고 했으나 동일하네요. 원래는 0.77.0이었으나 해당 라이브러리 깃허브 이슈로 등록되어서 다들 동일하게 에러 뱉습니다.++++ 방법을 찾아보니 랩핑하면 안되고 있습니다. +++랩핑을 제거후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ScrollView style={styles.container}> <WebView style={styles.webview} source={{uri: uri}} onMessage={handleOnMessage} /> // </ScrollView>
-
해결됨한국에서 제일 쉬운 리눅스 커널 강의
xshell 와이파이 연결이 안됌.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에 혹시 답이 있을 수 있어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이렇게 xshell이 연결이 안됩니다.. 동영상 보고 그대로 따라 했는데 왜 안되는 걸까요,,>?
-
미해결실습으로 손에 잡히는 SQLD의 정석(2과목)
ORA-01017 에러
안녕하세요. DBeaver에서 username과 password에 소문자로 잘 맞게 작성했는데 계속 ORA-01017 에러가 발생합니다.여러 차례 시도했는데도 계속 같은 에러가 뜨는데 어떻게 하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완벽한' 프론트엔드 코스
css-js 마스터 과정에 이런 것들이 개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섹션 5를 거의 다 들은 수강생으로써 느낀 개선점을 말해 봅니다. 각 섹션에 제목이 있으면 좋겠습니다!각 섹션은 css 두 섹션과 js 두 섹션이 묶여 있는데, 이 네 섹션이 왜 한 섹션으로 묶여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어, 섹션 1의 css 파트인 여백, 정렬과 js 파트인 변수와 함수 및 그 활용이 서로 관련성이 없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css 섹션이 끝나는 강의 마지막에 "다음 시간에는 css 애니메이션에 대해 공부해 보겠다"고 하셔서 '어? 다음은 js 강의인데...? css를 먼저 들으라는 건가?' 좀 혼란스러웠습니다. 만약 제 생각이 틀렸다면 각 섹션별로 제목을 붙여서 커리큘럼 확인이 더 잘 되면 좋겠습니다. (사실 챕터와 섹션으로 상위/하위 부분을 명명해 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과제 관련 강의를 추가해 주시거나, 그게 어렵다면 강의에서 과제 수행에 대한 언급을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각 챕터가 끝날 때마다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데, 그걸 챕터 5까지 듣고서야 알았습니다... 물론 제 불찰이긴 하지만요... 일기장 관련 언급이 OT에서 "같이 한번 만들어 보려고 한다"는 언급 말고는 이후 강의들에선 전혀 없어서, 저는 매 섹션이 끝날 때마다 '이제 일기장 만드나? 어, 아니네...' 몇 강 후 '이제 일기장인가? 어, 아니네...'를 반복하다 노션을 열고 그제야 알았습니다. 과제 해설 강의는 아니더라도, '이전에 배운 이런이런 걸 잘 활용해서 해 봐라.' 정도의 안내 영상이 있었으면 합니다.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request failed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재성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수업 내용을 저의 서비스에 적용하다가 질문이 있어서 이렇게 글 남겨요.vuser 200으로 5분동안 게시판 글 조회 api를 요청했습니다.ec2, rds의 cpu memory사용은 아래와 같이 안정적인데..k6 대시보드에서는 vuser 100을 기점으로 httprequest를 보내지도 못하며, k6로그에는 request timeout 로그들이 많이 나옵니다.참고로 현재 k6는 로컬(노트북)에서 도커로, 서버는 ec2내에서 도커로 실행되고 있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의 주인만 외래키를 관리할수 있다는 의미
안녕하세요. 연관관계 부분이 많이 헷갈리지만 확실히 알고 가고 싶어서 좀 더 공부하면서 알아보고 있다가 질문드릴게 있어서요..!강의에서 연관관계의 주인만 외래키를 관리할수 있다는 의미에 대해서 코드로 제가 이해한 바가 맞는지 직접 확인해보았는데요. 연관관계의 주인만 setTeam()메서드 등을 통해 외래키를 추가 및 변경할 수 있고,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닌쪽은 외래키를 참조해서 조회만 할수 있다. 예를들어,Team team = new Team(); em.persist(team);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 member3 = new Member(); member1.setTeam(team); // 이렇게 해야함 member2.setTeam(team); // 이렇게 해야함 em.persist(member1); em.persist(member2); em.persist(member3); team.getMembers().add(member3); // 이렇게만 하면, member3의 외래키(TEAM_ID)가 설정되지않음. // 즉 member3의 team필드는 여전히 null이다. List<Member> newMembers = new ArrayList<>(); Member member4 = new Member(); em.persist(member4); newMembers.add(member4); team.setMembers(newMembers); // 이렇게만 하면, member4의 외래키(TEAM_ID)가 설정되지않음. // 즉 member4의 team필드는 여전히 null이다 tx.commit(); //그래서 위와같이하면, 이 상태로 db에 저장된다고 해도, 이후에 team.getMembers()를 호출하면, 리스트안에 member1, member2만 있고 member3과 member4는 없다.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항상 질문에 답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rows per chunk 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번에 커버링 인덱스를 설명하시면서 아 대충 왜 빠르게 조회가 되는지 이해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했던 프로젝트 중에 이와 비슷한데 왜 성능이 개선되었는지 모르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아래 부분인데요..일단 created_at 은 index 가 적용되지 않았음을 알려드립니다. select ep1_0.employee_post_id, ep1_0.access_url, ep1_0.contact, ep1_0.contents, ep1_0.member_id, m1_0.member_id, m1_0.access_url, m1_0.authority, m1_0.birth_day, m1_0.email, m1_0.login_id, m1_0.name, m1_0.nick_name, m1_0.password, m1_0.personal_link, m1_0.personal_statement, m1_0.sex, m1_0.tmp_password, m1_0.twitter_link, m1_0.youtube_link, ep1_0.payment_amount, ep1_0.payment_method, ep1_0.title, wft1_0.work_field_tag_id, wft1_0.name, ep1_0.career_year, ep1_0.created_at, ep1_0.updated_at from employee_post ep1_0 left join work_field_tag wft1_0 on wft1_0.work_field_tag_id=ep1_0.work_field_tag_id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ep1_0.member_id where wft1_0.work_field_tag_id=1 order by ep1_0.created_at desc, ep1_0.employee_post_id desc limit 0,10;이것을 explain analyze 한다면 Limit: 10 row(s) (cost=1088 rows=10) (actual time=39.1..39.1 rows=10 loops=1) -> Nested loop inner join (cost=1088 rows=1968) (actual time=39.1..39.1 rows=10 loops=1) -> Sort: ep1_0.created_at DESC, ep1_0.employee_post_id DESC (cost=399 rows=1968) (actual time=39..39 rows=10 loops=1) -> Index lookup on ep1_0 using FK_work_field_tag_TO_employee_post (work_field_tag_id=1) (cost=399 rows=1968) (actual time=0.0949..7.91 rows=1968 loops=1) -> Single-row index lookup on m1_0 using PRIMARY (member_id=ep1_0.member_id) (cost=0.25 rows=1) (actual time=0.011..0.011 rows=1 loops=10)이렇게 나오고 성능이 무척 안좋은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using filesort 가 직접적인 원인) 근데 문제는 member 에 대한 inner join 을 빼면 -> Limit: 10 row(s) (cost=398 rows=10) (actual time=10.5..10.5 rows=10 loops=1) -> Sort: ep1_0.created_at DESC, ep1_0.employee_post_id DESC, limit input to 10 row(s) per chunk (cost=398 rows=1968) (actual time=10.5..10.5 rows=10 loops=1) -> Index lookup on ep1_0 using FK_work_field_tag_TO_employee_post (work_field_tag_id=1) (cost=398 rows=1968) (actual time=0.0712..6.03 rows=1968 loops=1) 위와 같이 나오면서 성능이 무척 개선된다는 점입니다. 제가 보았을 떄 핵심적인 부분은 10 rows per chunk 입니다. 혹시 10 rows per chunk 같은 키워드는 언제 언제 발생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왜 member에 대한 join 을 빼면 나타나구, wft1_0 을 left outer join 을 하는 것은 영향이 없는지..)mysql 공식 문서를 계속 뒤져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강의와 관련 없는 부분이라고도 생각하실 수 있는데 이런 질문 해서 정말 죄송합니다.. 관련해서 블로그 정리한 거 혹시 필요한 정보가 있을 수도 있으니 링크 남겨놓겠습니다...https://velog.io/@dionisos198/Query-DSL-%EC%84%B1%EB%8A%A5-%EA%B0%9C%EC%84%A0-%EB%B0%8F-fetch-join-%EA%B3%A0%EC%B0%B0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wired 필드명"과 "@Primary" 우선순위
문득 @Autowired 필드명 과 @Primary 의 우선순위가 궁금해서 아래와 같은 테스트를 진행해봤습니다. OrderServiceImpl 클래스의 생성자 파라미터 중에서 DiscountPolicy 타입의 변수명을 fixDiscountPolicy 로 변경하고RateDiscountPolicy 클래스에 @Primary 를 주고 테스트를 돌려봤습니다.@Test void test2() { // 강의에서 사용하던 AutoAppConfig.class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 OrderServiceImpl orderService = ac.getBean(OrderServiceImpl.class); // OrderServiceImpl 클래스에 getDiscountPolicy 따로 정의 assertThat(orderService.getDiscountPolicy()).isInstanceOf(RateDiscountPolicy.class); } 위 테스트의 결과는 통과하였습니다.즉, @Primary 가 @Autowired 필드명 보다 우선순위가 높다는 얘기인데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제가 궁금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위처럼 테스트를 하는 것이 맞나요?(여기서 OrderServiceImpl 클래스의 멤버변수인 discountPolicy 변수명은 안 건드려도 되죠?)테스트가 통과하는 게 맞는 결과인가요?이와 같은 흐름으로 이해하는 게 맞나요?1) 생성자 주입이 이루어질 때 DiscountPolicy 타입으로 등록된 빈 2개 발견2) @Primary 가 있는 RateDiscountPolicy 타입의 빈이 주입3) 만약 @Primary 가 없었다면 @Autowired 필드명 에 의해 FixDiscountPolicy 타입의 빈이 등록 됨그럼 @Qualifier , @Primary , @Autowired 필드명 순서로 우선순위가 높은 게 맞죠?위 내용과는 별개의 질문인데요 특정 클래스에 @Primary 를 붙여주면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빈으로 등록될 때 BeanDefinition 에 @Primary 관련된 정보도 같이 들어가는건가요?
-
미해결[신규 개정판] 코딩 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완벽가이드
Visual Studio Code 통합?
안녕하세요! Visual Studio Code를 각 각 다른 컴퓨터에 다운 받아서 사용하였는데요!해당 작업물이 각 각 다르게 나오고 있더라고요..각 각 다른 컴퓨터에서 각기 다른 작업을 하는 2개의 Visual Studio Code를 통합하여 어느 컴퓨터에서 사용하든 작업을 이어갈 수 있을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안녕하세요 1-J long long 선언 관련 질문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http://boj.kr/b83ac67345ca4ddc920bf59bf488a427혼자서 풀다가 하도 안 돼서 강의를 봤는 데 답이 되는 변수의 범위가 커서 long long으로 선언되야 하는걸 놓친 걸 알고 고쳤지만 그래도 틀리더라구요.선생님과 다른 부분이었던 map에 추가할 문자열 b(제 코드에서는 wearKind)를 구하는 과정을 선생님 코드처럼 바꾸니까 맞더라구요.이 부분의 제 코드가 안 되는 반례가 있는거 같아 보이는데 도움 부탁드립니다.. 다시 확인해보니 제 코드에서 m == 0 인 경우 그 뒤 로직수행을 해도 되지만 굳이 안하게 하기 위해 0을 출력하는 로직을 추가했는데 이때 '\n' 출력을 빼먹었네요.. 해결 되었습니다.'\n'을 안넣은 것도 잘못했지만 m==0일 때 0을 출력하는 로직은 뒤에 로직에서 다 포함해서 해결해준다는 걸 문제 풀때 확인했는데도 굳이 해당 로직을 넣은게 아쉽네요. 문제를 풀때는 m=0일때의 계산량을 줄여줄 수 있다고 생각해서 추가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굳이? 느낌이네염.. 1-J 관련해서 다른 질문이 생겨서 글 수정해 질문드립니다.답이 될 변수 ret이 long long으로 선언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ret의 최댓값을 생각해봤습니다.언뜻 생각해봤을 때 해빈이가 가질 수 있는 의상의 수는 최대 30이므로 모든 의상의 종류가 다를 때의 경우의 수인 2^30-1 정도가 최댓값이 될거 같았습니다. 좀 더 생각해서 의상의 종류가 30개에서 조금 줄어든다면 답에서 지수 30이 29,28 줄어들고 대신 3, 4..가 곱해질텐데 그러면 값이 더 작아지는 것으로 생각되어 최댓값은 2^30 근처인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하지만 int는 최대 2^31-1 까지 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이 문제에서 가능할 거 같습니다.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바는 경우의 수 문제처럼 한 변수에 계속 숫자를 곱해나가는 경우 팩토리얼처럼 매우 쉽게 숫자가 급격하게 커질 수 있고 이 문제에서처럼 가능하더라도 정확하게 범위를 생각하는 것보다 맘편하게 4바이트? 더 써서 안전하게 푸는게 좋다는 뜻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시분할과 스케줄링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얼마만큼 실행될지는 운영체제가 결정하는것을 스케줄링인데 그럼 스케줄링이 실행되고나서 시분할이 적용되는 방식인가요?
-
미해결하루 10분 한달완성 최적화이론 1
최적화이론 2
안녕하세요 최적화이론1을 거의 완강한 수강생입니다.강의중에 몇몇 내용들은 최적화이론2에서 다룰거라고 몇 번 말씀을 하셨는데, 아직 최적화이론2 강의가 있는거 같지 않아서 여쭤봅니다.혹시 최적화이론2 강의 계획이 있으신가요?최적화이론1 강의가 도움이 너무 많이 되어서 2 강의도 꼭 듣고 싶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제보] 11. 동시성 컬렉션.pdf 14페이지
[오타 내용]대상 강의록: 11. 동시성 컬렉션.pdf 대상 페이지: p.14 첫 번째 그림에 대한 설명 중 마지막 부분내용기존: 클라이언트인 test() 입장에서 ... (중략) ... BasicList의 어떤 구현체든지 다 받아들일 수 있다.변경: 클라이언트인 test() 입장에서 ... (중략) ... SimpleList의 어떤 구현체든지 다 받아들일 수 있다.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미해결[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서버 오류(?)
npm run start:dev 했을 때 오류는 안 나는데 'refresh'해도 스키마에 Tables에 table이 안 떠요..그래도 일단 진행해 봤는데 수업 노트 보고 api/axios.ts도 수정한대로 했는데 ERROR [ExceptionsHandler] No metadata for "User" was found. 이 오류가 뜨는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이 오류 때문에 회원가입,로그인 눌러도 아무 반응이 없는 것 같아요. 아래 질문에 '[3-8]회원가입/로그인 오류' 글에 저와 같은 오류가 나오신 분이 있었는데 댓글봐도 해결을 못하겠네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실행하면 오류가 나면서 종료됩니다.
19-Feb-2025 22:14:57.625 SEVERE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 배치 descriptor [C:\Users\cksgh\.SmartTomcat\server\server\conf\Catalina\localhost\ROOT.xml]을(를) 배치하는 중 오류 발생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자식 컨테이너를 시작하는 중 오류 발생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addChildInternal(ContainerBase.java:602)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addChild(ContainerBase.java:571)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Host.addChild(StandardHost.java:654)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HostConfig.java:635)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run(HostConfig.java:1889) at java.base/java.util.concurrent.Executors$RunnableAdapter.call(Executors.java:539) at java.base/java.util.concurrent.FutureTask.run(FutureTask.java:264)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InlineExecutorService.execute(InlineExecutorService.java:75) at java.base/java.util.concurrent.AbstractExecutorService.submit(AbstractExecutorService.java:123)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s(HostConfig.java:530)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Apps(HostConfig.java:421)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start(HostConfig.java:1629)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lifecycleEvent(HostConfig.java:303)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fireLifecycleEvent(LifecycleBase.java:109)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etStateInternal(LifecycleBase.java:389)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etState(LifecycleBase.java:336)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Internal(ContainerBase.java:776)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Host.startInternal(StandardHost.java:772)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64)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Child.call(ContainerBase.java:1203)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Child.call(ContainerBase.java:1193) at java.base/java.util.concurrent.FutureTask.run(FutureTask.java:264)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InlineExecutorService.execute(InlineExecutorService.java:75) at java.base/java.util.concurrent.AbstractExecutorService.submit(AbstractExecutorService.java:145)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Internal(ContainerBase.java:749)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startInternal(StandardEngine.java:203)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64)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startInternal(StandardService.java:415)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64)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er.startInternal(StandardServer.java:870)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64) at org.apache.catalina.startup.Catalina.start(Catalina.java:761)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org.apache.catalina.startup.Bootstrap.start(Bootstrap.java:345) at org.apache.catalina.startup.Bootstrap.main(Bootstrap.java:473) Caused by: org.apache.catalina.LifecycleException: 구성요소 [org.apache.catalina.webresources.StandardRoot@77659b30]을(를)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handleSubClassException(LifecycleBase.java:406)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79)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resourcesStart(StandardContext.java:4121)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startInternal(StandardContext.java:4243)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64)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addChildInternal(ContainerBase.java:599) ... 37 more Caused by: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The main resource set specified [C:\Users\cksgh\Desktop\공부자료\스프링 강의자료\스프링부트 핵심원리와 활용\boot-source-20230228\start\server\build\exploded] is not a directory or war file, or is not readable (it does not exist or permissions to access it are missing) at org.apache.catalina.webresources.StandardRoot.createMainResourceSet(StandardRoot.java:749) at org.apache.catalina.webresources.StandardRoot.startInternal(StandardRoot.java:707)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64) ... 41 more19-Feb-2025 22:14:57.636 INFO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 배치 descriptor [C:\Users\cksgh\.SmartTomcat\server\server\conf\Catalina\localhost\ROOT.xml]의 배치가 [114] 밀리초 내에 완료되었습니다.19-Feb-2025 22:14:57.644 INFO [main]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start 프로토콜 핸들러 ["http-nio-8090"]을(를) 시작합니다.19-Feb-2025 22:14:57.937 INFO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Catalina.start 서버가 [488] 밀리초 내에 시작되었습니다.http://localhost:8090/19-Feb-2025 22:18:24.376 INFO [Thread-1]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pause 프로토콜 핸들러 ["http-nio-8090"]을(를) 일시 정지 중19-Feb-2025 22:18:25.117 INFO [Thread-1]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stopInternal 서비스 [Catalina]을(를) 중지시킵니다.19-Feb-2025 22:18:25.120 INFO [Thread-1]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stop 프로토콜 핸들러 ["http-nio-8090"]을(를) 중지시킵니다.19-Feb-2025 22:18:25.127 INFO [Thread-1]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destroy 프로토콜 핸들러 ["http-nio-8090"]을(를) 소멸시킵니다.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30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추천하시는 강의 듣는 방법!
혹시 강의를 처음에는 쭉 보면서 따라하거나 정리하고 다시한번 한입 북스를 스스로 만들어보면서 nextjs흐름을 파악하면서 잘 모르겠거나 막히는 부분 강의 다시 한번 듣고 소스 코드 보고 이렇게 듣는 방식이 젤 괜찮은가요?? 아니면 스타일링이나 단순 리액트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부분은 혼자서 해보고 강의를 듣는 방식이 더 나을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서류합격률 4%를 탈출하는 개발자 이력서 작성법(실습 포함)
강의 출강이나 외부 교육을 제가 강사로 진행한 건 대외 활동에 적으면 되나요?
단기간 교육을 진행한 것이긴 한데 경력에 적기는 애매한데 대외 활동에 적는게 맞겠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이거 문제가 될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정상적인건가 했는데 영상의 선생님을 보니 아닌것같아서 질문드립니다.프로젝트 실행후 종료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에러같은 문구가 뜹니다. 프로젝트도 정상적으로 빌드되고 따라하는데 문제도 없으니 문제 없는건가 싶었는데 영상의 선생님을 보니 선생님은 프로젝트를 종료하실때 이런 화면이 안뜨는 것같아 뭔가 잘못된건가 싶습니다.그러다가 아래사진의 Settings -> Build Tools -> Gradle 에서Build and rung using 과 Run tests using을Gradle -> 에서 IntelliJ로 변경 후 빌드 하고 종료하니 아무런 문구가 뜨지 않습니다. 해당 설명은 프로젝트 생성 영상에서 언급하셨던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때는 속도차이정도로 밖에 설명을 안하셔서 저는 그냥 딱히 인텔리제이 옵션으로 변경하지 않고 Gradle로 그대로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종료하고 하다보니 오류문구같은 차이가 있다보니 혹시 추후에 문제가 있을까 싶어 질문드려요. 어떠한 차이점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