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안녕하세요
한입 Nextjs강의 수강중입니다. 2.12) SSR 2. 실습 요 강의전체가 다른 강의보다 음량이 많이 작게 나오네요수강에 문제는 없지만 혹시나 수정이 간단한 문제라면 한번 살펴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커스텀훅을 언제 사용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커스텀훅을 만들 때, 커스텀훅 안에도 스프레드 연산자를 넣어서 통합핸들러처럼 사용하면 되는걸까요? 커스텀훅을 훅 파일로 만들어 놓으면, 다른 컴포넌트에서도 비슷한 함수면 가져다 쓰는 용도라고 이해했는데 맞는걸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 /new, /diary 관련 질문
home으로 들어가서 보이는 화면에는 Home이라고 잘 보이는데주소뒤에 /new나 /diary를 붙여서 검색해봐도 계속 Home으로 고정되어있습니다코드는 밑에와 같은 방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import { createRoot } from 'react-dom/client' import './index.css' import App from './App.jsx' import { BrowserRouter } from 'react-router-dom'; 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render( <BrowserRouter> <App /> </BrowserRouter> ) const Diary=()=>{ return <div>Diary</div>; }; export default Diary; import './App.css' import {Routes,Route} from "react-router-dom"; import Home from './pages/Home'; import Diary from './pages/Home'; import New from './pages/Home'; // 1. "/" : 모든 일기를 조회하는 Home 페이지 // 2. "/new" : 새로운 일기를 작성하는 New 페이지 // 3. "/diary" : 일기를 상세히 조회하는 Diary 페이지 function App() { return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new" element={<New />} /> <Route path="/diary" element={<Diary />} /> </Routes>; } export default App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네이티브 기초
마지막 9번째 Redux 관련 자료가 없어요
다른 학습들은 도표에 docs 가 연결되어있는데 마지막 redux 프로젝트는 빠져있어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기존 강의 자료 관련 주소, 새 강의 쿠폰
graphql 연습 관련 주소가 더 이상 유지되고 있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일단은 새 강의 쿠폰 관련 문의 드렸는데, 이전 강의에 해당하는 주소들은 이제 유지하지 않는 건가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auth.ts 에서 오류가 납니다.
안녕하세요, 클론코딩 강좌 따라하던중 오류가 나는데 강사님 깃헙 클론해서 완성본 봐도 같은 오류가 나는것 같은데 무슨오류일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클라이언트 , 서버 컴포넌트의 사용 범위
안녕하세요 정환님. 완강하고 혼자 google oAuth 와 jwt를 이용해서 로그인을 구현하는 와중에 아무리 찾아봐도 도저히 개념이 잡히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nextjs에서는 대부분의 컴포넌트들을 서버컴포넌트로 쓰는것을 권장하고, 상호작용을 위해 hydration이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사용하라고 강의에서 배웠고 그렇게 구현을 하고 있습니다. nextjs의 로그인을 찾아보면 jwt로 access토큰과 refresh 토큰을 이용해서 구현을 하는 글들이 많이 있는데, access토큰은 로컬 스토리지나 state에 담고, refresh 토큰은 httpOnly 쿠키에 담으라고 합니다. 구현을 하다보니 컴포넌트에서 데이터를 페칭을 할때 서버에 access 토큰을 헤더에 담아 보내기 위해서는 로컬 스토리지나 state를 사용하기위해 무조건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를 사용해야 하는데 , 원래 이래야 하는 건가요? 이렇게 되면 데이터 페칭이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무조건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되어버립니다. 아니면 서버 컴포넌트를 사용하고 페칭이 필요할때는 쿠키에 있는 refresh 토큰으로 매번 검증을 해야하는것인지..강의에 많이 벗어난 내용 같긴 한데 이렇게 사용하는게 맞는건인지 .. 개념이 잘 잡히지 않아 질문드립니다.강의는 정말 잘 들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해결됨React, Node.js, MongoDB로 만드는 나만의 회사 웹사이트: 완벽 가이드
회사 사이트 설명(노션) 사이트 접속 문의
강의중 설명에서 알려주시는노션 사이트는 어떻게 접속해야 하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새 강의 쿠폰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css 거의 마지막까지 왔는데 새 강의가 나왔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서저도 새로운 버전으로 강의를 수강하고 싶은데요! ㅠㅠ실제로 82강에 나오는 my-shop 깃헙 페이지가 다운되기도 했고 해서 새로운 버전으로 꼭 수강하고 싶습니다!!저도 쿠폰을 받을 수 있을까요?좋은 강의 제공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미해결Supabase, Next 풀 스택 시작하기 (feat. 슈파베이스 OAuth, nextjs 14)
LiveDemo 페이지 정상작동하나요?
강의를 본격적으로 듣기에 앞서Live Demo를 살펴보려했는데,링크 접속 자체에는 문제가 없으나,로그인 클릭시 리다이렉트 url이 잘못되었는지 정확한 이유는 모르곘으나 "This site can't be reached" 에러가 뜨네요?!확인 좀 해주실 수 있을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context 강의를 들으면서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이전 memo 강의에서 useCallback를 들고 context 듣다 보니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리로딩 방지를 위한 onCreate, onUpdate, onDelete에 이전 강의에 useCallback이 되어있는 상태에서 TodoDispatchContext하는 과정에서 useMemo로 리턴해서 전달하는데 context를 사용시 한번만 리로딩 방지를 위해서는 useMemo와 useCallback를 중복으로 사용 되어야하는걸까요?? 아님 useMemo를 사용하여 useCallback는 사용해도 안해도 무방한지 영상을 보다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이건 아주 소소한 궁금증인데함수를 쓰실때 카멜표기법과 파스칼표기법을 번갈아가면서 쓰시는데 어떤 용도에 따라서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ㅎㅎㅎ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Run | Debug 표시 자체가 안떠서, MallApplication.java 파일을 실행조차 못시키겠는데, 도움말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MallApplication.java 파일을, vsc에서 어떻게 실행시키는지 자세하게 좀 알려 주세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console에 Object로 출력되지 않는 이유?
🚨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꼭 읽고 질문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하시기 전에 꼭 확인해주세요- 질문 전 구글에 먼저 검색해보세요 (답변을 기다리는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코드에 오타가 없는지 면밀히 체크해보세요 (Date와 Data를 많이 헷갈리십니다)- 이전에 올린 질문에 달린 답변들에 꼭 반응해주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만 받으시고 쌩 가시면 속상해요 😢)질문 하실때 꼭 확인하세요- 제목만 보고도 무슨 문제가 있는지 대충 알 수 있도록 자세한 제목을 정해주세요 (단순 단어 X)- 질문의 배경정보를 제공해주세요 (이 문제가 언제 어떻게 발생했고 어디까지 시도해보셨는지)- 문제를 재현하도록 코드샌드박스나 깃허브 링크로 전달해주세요 (프로젝트 코드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답변이 달렸다면 꼭 확인하고 반응을 남겨주세요- 강의의 몇 분 몇 초 관련 질문인지 알려주세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2.2)페이지 라우팅 설정하기9:48 저는 Object 객체가 출력되지 않고 이렇게 출력이 되는데 {} 인걸 보니 객체로 불려와 지는건 알겠는데 왜 Object로 안오고 저렇게 오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시간 기반의 ISR 사용 시 revalidate가 트리거 되는 시점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시간 기반의 ISR 렌더링을 사용할 때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저번 시간까지는 revalidate 시간을 설정하면 유저가 웹 페이지에 유입된 시점부터 지정한 시간 주기로 페이지를 재생성한다고 생각했습니다.근데 이번 강의의 1:47초 부분을 보니까 클라이언트의 요청과는 관계없이 빌드된 시점부터 revalidate 되는 것인지 헷갈리더라고요.예를 들어 revalidate를 60초로 설정하면 빌드된 시점부터 60초 주기로 페이지가 재성성되며 API를 호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해도 괜찮을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Editor 컴포넌트 리렌더링
아래 질문들을 보던 중 Editor 부분이 리렌더링 된다는 글을 보고 제 화면도 확인한 결과 리렌더링 된 걸 확인해서 Editor.jsx 또한 아래와 같이 memo메서드를 감싸줬더니 리렌더링 되지 않는 것을 확인했습니다.import "./Editor.css"; import { useState, useRef, memo } from "react"; const Editor = ({ onCreate }) => { const [content, setContent] = useState(""); const contentRef = useRef(); const onChangeContent = (e) => { setContent(e.target.value); }; const onKeyDown = (e) => { if (e.keyCode === 13) { onSubmit(); } }; const onSubmit = () => { if (content.trim() === "") { contentRef.current.focus(); return; } onCreate(content.trim()); setContent(""); }; return ( <div className="Editor"> <input ref={contentRef} value={content} onKeyDown={onKeyDown} onChange={onChangeContent} placeholder="새로운 Todo..." /> <button onClick={onSubmit}>추가</button> </div> ); }; export default memo(Editor); Editor.jsx의 props가 onCreate 메서드인데 이를 App.jsx에서 useCallback 처리를 해줘서 그냥 export default memo(Editor); 을 해줘도 리렌더링 방지가 가능했던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App.jsx 코드입니다!import "./App.css"; import { useState, useRef, useReducer, useCallback } from "react"; import Header from "./components/Header"; import Editor from "./components/Editor"; import List from "./components/List"; const mockData = [ { id: 0, isDone: false, content: "운동하기", date: new Date().getTime(), }, { id: 1, isDone: false, content: "풋살하기", date: new Date().getTime(), }, { id: 2, isDone: false, content: "게임하기", date: new Date().getTime(), }, ];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 switch (action.type) { case "CREATE": return [action.data, ...state]; case "UPDATE": return state.map((item) => item.id === action.targetId ? { ...item, isDone: !item.isDone } : item ); case "DELETE": return state.filter((item) => item.id !== action.targetId); default: return state; } } function App() { const [todos, dispatch] = useReducer(reducer, mockData); const idRef = useRef(3); const onCreate = useCallback((content) => { dispatch({ type: "CREATE", data: { id: idRef.current++, isDone: false, content: content, date: new Date().getTime(), }, }); }, []); const onUpdate = useCallback((targetId) => { dispatch({ type: "UPDATE", targetId: targetId, }); }, []); const onDelete = useCallback((targetId) => { dispatch({ type: "DELETE", targetId: targetId, }); }, []); return ( <div className="App"> <Header /> <Editor onCreate={onCreate} /> <List todos={todos} onUpdate={onUpdate} onDelete={onDelete} /> </div> ); } export default App;
-
미해결
채팅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ㅠㅠ
... // WebSocket 연결 및 STOMP 클라이언트 설정 useEffect(() => { const token = sessionStorage.getItem("accessToken"); // 세션에서 액세스 토큰을 가져옴 const socket = new SockJS(`http://localhost:8080/ws/chat`); // WebSocket 연결 const client = Stomp.over(socket); stompClientRef.current = client; // STOMP 연결 client.connect( { Authorization: `Bearer ${token}` }, (frame) => { setConnected(true); console.log("STOMP 연결 성공", frame); // 해당 채팅방에 대한 메시지 구독 client.subscribe(`/exchange/chat.exchange/room.${roomId}`, (msg) => { const receivedMessage = JSON.parse(msg.body); if (receivedMessage.type === "PLACE") { const place = JSON.parse(receivedMessage.message); setMessages((prev) => [...prev, { type: "PLACE", place }]); } else { setMessages((prev) => [...prev, receivedMessage]); } }); }, (error) => { console.error("STOMP 연결 실패:", error); alert("STOMP 연결 실패! 서버가 실행 중인지 확인하세요."); } ); // 채팅방 목록 가져오기 fetch(`${BASE_URL}/chat/rooms`, { headers: { Authorization: `Bearer ${token}`, }, }) .then((res) => res.json()) .then((data) => setChatRooms(data)) .catch((error) => console.error("채팅방 목록 가져오기 실패:", error)); return () => { if (client.connected) client.disconnect(); }; }, [roomId]); // 메시지 보내는 기능 const sendMessage = (message, type = "TALK") => { const token =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stompClientRef.current?.send( `/pub/chat.message.${roomId}`, { Authorization: `Bearer ${token}` }, JSON.stringify({ sender: currentUser, message, roomId, type, timestamp: new Date().toISOString(), }) ); if (type === "TALK") setNewMessage(""); }; ...리액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Log4j2 public class ChatController implements ChatControllerDocs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HAT_EXCHANGE_NAME = "chat.exchange"; private final static String CHAT_QUEUE_NAME = "chat.queue"; private final ChatService chatService; private final 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Override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낸 메시지를 메시지를 라우팅 // @MessageMapping("chat.message")로 설정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pub/chat.message 목적지로 전송된 STOMP 메시지를 처리한다. /*RabbitMQ*/ @MessageMapping("chat.message.{roomId}") /*STOMP*/ // @MessageMapping("/{roomId}") // 구독한 클라이언트에게 response를 제공할 url 정의 // @SendTo("/topic/{roomId}") public ResponseEntity<?> sendMessage( // @Payload: 메시지의 body를 정의한 객체에 매핑합니다. @Payload ChatMessageDTO message, // @DestinationVariable: 구독 및 메시징의 동적 url 변수를 설정. RestAPI의 @PathValue와 같다. @DestinationVariable int roomId) { try { ChatMessageDTO msg = chatService.sendMessage(message); log.info("Sent message: {}", msg); if (msg != null) { // RabbitMQ으로 메시지 전송 // template.convertAndSend() 메소드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RabbitMQ로 전송한다. // 메시지는 chat.exchange로 전송되며, 라우팅 키는 room. + 메시지의 방 ID로 구성된다. rabbitTemplate.convertAndSend(CHAT_EXCHANGE_NAME, "room." + roomId, message); } else { log.error("Failed to create chat message. User might not be in the chat room. User: {}, Room: {}", message.getSender(), message.getRoomId()); } return ResponseEntity.ok().body(msg); } catch (Exception e) { log.error("Error processing message: ", e); throw new ChatException(e.getMessage()); } } @Configuration @EnableRabbi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RabbitConfig { // Queue (큐): RabbitMQ에서 메시지를 저장하는 장소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HAT_QUEUE_NAME = "chat.queue"; // Exchange (교환기): 메시지를 Queue로 라우팅(보내는) 역할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HAT_EXCHANGE_NAME = "chat.exchange"; // Routing Key (라우팅 키): Exchange가 메시지를 어떤 Queue로 보낼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 private static final String ROUTING_KEY = "room.*"; @Value("${spring.rabbitmq.host}") private String host; @Value("${spring.rabbitmq.port}") private int port; @Value("${spring.rabbitmq.username}") private String userName; @Value("${spring.rabbitmq.password}") private String password; // Queue 등록 @Bean public Queue queue() { return new Queue(CHAT_QUEUE_NAME, true); } // Exchange 등록 @Bean public TopicExchange exchange() { return new TopicExchange(CHAT_EXCHANGE_NAME); } // Exchange와 Queue바인딩 @Bean public Binding binding(Queue queue, TopicExchange exchange) { return BindingBuilder .bind(queue) .to(exchange) .with(ROUTING_KEY); } // RabbitMQ와의 메시지 통신을 담당하는 클래스 @Bean public 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 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 new RabbitTemplate(connectionFactory()); rabbitTemplate.setMessageConverter(jsonMessageConverter()); rabbitTemplate.setRoutingKey(ROUTING_KEY); return rabbitTemplate; } // RabbitMQ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클래스 @Bean public 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y() { CachingConnectionFactory factory = new CachingConnectionFactory(); factory.setHost(host); factory.setPort(port); factory.setVirtualHost("/"); factory.setUsername(userName); factory.setPassword(password); return factory; } // Queue를 구독(Subscribe)하는 걸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필요함. 당장은 없어도 됨. @Bean public SimpleRabbitListenerContainerFactory simpleRabbitListenerContainerFactory(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y, MessageConverter messageConverter) { SimpleRabbitListenerContainerFactory factory = new SimpleRabbitListenerContainerFactory(); factory.setConnectionFactory(connectionFactory); factory.setMessageConverter(messageConverter); return factory; } @Bean public RabbitMessagingTemplate rabbitMessagingTemplate(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 return new RabbitMessagingTemplate(rabbitTemplate); } // 메시지를 JSON형식으로 직렬화하고 역직렬화하는데 사용되는 변환기 // RabbitMQ 메시지를 JSON형식으로 보내고 받을 수 있음 @Bean public Jackson2JsonMessageConverter jsonMessageConverter() { //LocalDateTime serializable을 위해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objectMapper.configure(SerializationFeature.WRITE_DATES_AS_TIMESTAMPS, true); objectMapper.registerModule(dateTimeModule()); Jackson2JsonMessageConverter converter = new Jackson2JsonMessageConverter(objectMapper); return converter; } @Bean public Module dateTimeModule() { return new JavaTimeModule(); } }... @Override public void registerStompEndpoints(StompEndpointRegistry registry) { registry .setErrorHandler(stompExceptionHandler) // 소켓 연결 URI다. 소켓을 연결할 때 다음과 같은 통신이 이루어짐 .addEndpoint("/ws/chat") .setAllowedOriginPatterns("http://localhost:5173") // SocketJS를 통해 연결 지원 .withSockJS(); } @Override public void configureClientInboundChannel(ChannelRegistration registration) { log.info("--------------"); log.info("동작함"); registration.interceptors(stompHandler); } @Override public void configureMessageBroker(MessageBrokerRegistry registry) { // url을 chat/room/3 -> chat.room.3으로 참조하기 위한 설정 registry.setPathMatcher(new AntPathMatcher(".")); registry.setUserDestinationPrefix("/sub"); // 클라이언트 구독 경로 // RabbitMQ 브로커 리레이 설정 registry.enableStompBrokerRelay("/exchange", "/queue", "/topic") .setRelayHost(host) .setRelayPort(61613) .setClientLogin(userName) .setSystemPasscode(password) .setSystemLogin(userName) .setSystemPasscode(password); } ... }이렇게 구성했는데 rabbitMQ는 도커 컴포즈로 구성했습니다.근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는데Chat.jsx:31 GET http://localhost:8080/ws/chat/285/4mxcvol4/jsonp?c=_jp.apvvzrr net::ERR_ABORTED 404 (Not Found)chat:1 Refused to execute script from 'http://localhost:8080/ws/chat/285/4mxcvol4/jsonp?c=_jp.apvvzrr' because its MIME type ('') is not executable, and strict MIME type checking is enabled.이렇게 계속해서 연결이 끊깁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실무 중심! FE 입문자를 위한 React
5-1 학습링크
pdf에서 5-1링크 클릭햇는데 codeSandBox 페이지가 없다고 뜹니다. 새로운 링크 없나요??ㅠㅠ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useState vs useEffect 활용관련 문의
useState는 componet의 구성요소의 상태값일 관리하고상태변환시에 biz처리 및 관련된 자식 구성요소로 props 전달을 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것으로 강의를 이해했습니다.반면 useErrect는 라이프싸이클을 통해 biz 로직을 구현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것으로 아래 이했습니다.mount - 초기 실행시 (초기 데이터 설정-db select통한 값을 설정 처리 등)update - state에서 관리되는 상태에 대한 실시간 확인과 처리(useState의 setXXXX는 비동기로 실시간 값이 어려워 useEffect를 활용해 v실시간 alidation을 체크하는데 있을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질문)실무에서 useEffect의 어떻게 활용하나요?지금은 hook을 배우는 단계라 실무에서 어떻게사용될지도 많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장고 4.2 기준)
강의 듣다가 유료pycharm에 비해 vscode지원기능이 아쉬워서 확장프로그램 만들었는데 여기 공유해도 될까요?
04-10 장고 기본 CBV API (Generic display views) - ListView 강의를 듣던 중 index.html 에서 {% load django_bootstrap5 %}나 {% bootstrap_pagination %} 를 타고 들어가서 소스를 보는 기능이 전체검색 말고는 vscode에서 다른 방법이 없는 것 같아서 유료버전pycharm 처럼 흉내내서 확장프로그램을 만들어봤습니다. 저만 쓰게 될거같아서.. 필요하신 분들께 알리고 피드백을 받고 싶은 마음에 여기에 링크를 남기고 공유해도 혹시 괜찮을까요?https://github.com/southglory/python-package-definition-navigator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QG-devramyun.python-package-definition-navigator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비전공자도 가능한 React Native 앱 개발 마스터클래스
npx expo start 오류건...
터미널에서 npx expo start 하면...아래의 오류가 납니다.휴대폰 화면은 뜨는데요.빨간색오류가 뜨면서 Welcome! 화면이 뜨질 않습니다.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