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53
0
안녕하세요~ 커스텀훅을 만들 때, 커스텀훅 안에도 스프레드 연산자를 넣어서 통합핸들러처럼 사용하면 되는걸까요?
커스텀훅을 훅 파일로 만들어 놓으면, 다른 컴포넌트에서도 비슷한 함수면 가져다 쓰는 용도라고 이해했는데 맞는걸까요?
감사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이정환입니다.
커스텀 훅은 React Hooks를 사용하는 공통 함수를 만들 때 주로 활용됩니다.
강의에서 안내드렸듯 useState, useEffect 등의 React Hooks는 오직 컴포넌트 내부 혹은 커스텀 훅 내부에서만 호출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런 React Hooks를 사용하는 공통 함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함수가 아닌 커스텀 훅을 이용해 만들어 주셔야 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기능은 커스텀 훅으로 구현해야 합니다.
useEffect를 이용해 컴포넌트의 모든 라이프사이클마다 콘솔에 현재 라이프사이클을 출력
위 기능은 useEffect라는 React Hooks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함수로는 분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럴 경우 커스텀 훅을 활용해 별도의 함수로 기능을 분리해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S. 추가로 스프레드 연산자 사용 유무는 만들고자 하는 커스텀 훅의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조혜정님!
커스텀 훅(Custom Hook)은 React에서 컴포넌트 간에 상태 관련 로직을 재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반복되는 로직을 컴포넌트에서 떼어내 별도 함수로 정의하고, 필요한 곳에서 그 함수를 호출하여 해당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훅 내부에서 스프레드 연산자를 사용해 통합 핸들러처럼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입력 필드가 있는 폼에서 공통의 onChange
핸들러로 상태를 관리하고 싶다면, 커스텀 훅을 작성하여 입력 필드의 상태 변경 로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맞습니다. 커스텀 훅을 별도 파일로 작성해두면, 다른 컴포넌트에서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고자 할 때 쉽게 가져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지고, 유지보수도 편리해집니다.
커스텀 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관련 질문과 답변 링크를 제공할게요:
이 링크들은 커스텀 훅을 어떻게 작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각 케이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