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head>, <body> 질문
선생님 안녕하세요,ga 가입절차에서 나오는 <head> 스크립트는 개발자 혹은 관리자한테 이메일을 보내라고 말씀해 주셨잖아요~! 그런데 gtm에서도 <head>, <body>가 나오던데 그럼 이메일 보낼 때 gtm 내용도 한 번에 보내나요? 그럼 <head>에 해당하는 스크립트가 2개인데 관리자, 개발자께서 알아 들으실까요??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강의 내 1 번 방법에 대한 질문
강의 설명중 1 번 방법에서누가 서버에 커넥션을 맺고 있고 subscribe 하는지 서버에 메모리를 만들어서 관리하는 로직을 사용한다고 하셨는데 이전에 강의에서 배운내용에 따르면 스프링과 stomp 는 기본적으로 세션관리를 내부적으로 처리한다고 하셔서즉 저희가 직접 접근을 하지못하는데 이러면 이벤트 리스너로 따로 sessions라는 자료구조를 만든 것을 활용해서 코드를 작성해야 하잖아요 ? 그리고 세션은 랜덤으로 스프링에서 생성하는데 이러면 세션이 몇개인지 카운트 및 각각 세션id가 부여되긴하는데그게 어떤 사용자인지 구분이 안되기에 StompHandler에서 connect 맺을때 검증 후에 추가적으로 이메일정보를 String email = claims.getSubject();accessor.getSessionAttributes().put("email", email);로 설정해서 이벤트 리스너에 넘겨서 세션을 저장하는 식으로 생각했는데 맞을까요 ?이후 서버에서 처리할때 subscribe하면서 , 동시에 누가 서버에 커넥션을 맺고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파악하는 (다소 복잡한) 로직을 작성해서 처리할 수 있다 이게 맞는 흐름일까요 ?
-
해결됨Git & GitHub, 원리부터 차근차근 - 근본깃 [완성편]
rebase conflict 질문
rebase conflict 질문드립니다.강의에서는 rebase시에 test branch에서 main branch로 범위가 수정되면서 main branch의 최신 commit을 가리키고 있다가 베이스로부터 기존 test branch에 있다가 떨어져 나온 커밋들의 변경분에 대해 하나씩 tracked area와 staging area에 반영이 되고 여기서 같은 위치에 수정이 일어났으니 conflict가 난다고 말씀주셨는데 이게 기존 3-way-merge 와는 좀 다른 거 같아서요. 기존 3-way-merge에서는 base 커밋에 따른 diff를 찾다 보니 두 브랜치의 같은 위치에 동시에 수정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git이 어떤 걸 최종적으로 반영해야 할 지 몰라 conflict가 난다고 알고 있는데 여기서는 base 커밋에서의 diff를 확인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노란색이 초록색으로 수정되었다고 생각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예를 들어 main branch가 하나만 있고 여기서 yellow를 green으로 수정해서 커밋하는게 가능하듯이 설명에서 보면 head가 가리키는 게 최신 커밋이고 여기서 변동분을 반영하는 거니까 동시에 같은 부분이 변경이 되어서 뭘 반영해야 할지 모르는 것과는 좀 다른 거 같아서요.감사합니다.
-
해결됨웹 개발자와 정보보안 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웹 해킹 & 시큐어 코딩
리피터 글자가 깨짐현상
리피터로 옮기고 send하면 강사님처럼 문구가 안뜨고 ㅁㅁㅁㅁㅁ ㅁㅁㅁㅁ ㅁㅁㅁㅁ 이렇게 뜹니다 무엇이 원인일련지요,, 환경은 버프스위트 내에 오픈브라우저로 접속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5-4. 카카오 신입 개발자 블라인드 채용 1차 코딩테스트 - 2 질문입니다.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 5-4. 카카오 신입 개발자 블라인드 채용 1차 코딩테스트 - 2어떤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계신가요?여기까지 이해하신 내용은 무엇인가요? 2. 어려움을 겪는 부분어느 부분에서 막히셨나요? W = "))()(" 케이스에 대해서, u와 v로 나누어야 하는데 u는 더이상 나눌 수 없는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이어야 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해설로 제공해주신 풀이로 풀 때에는 W = "))()(" 가 애초에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이 아니기 때문에 u도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이 되지 않는다고 이해했습니다. (W의 문자열 길이가 홀수인 경우에는 )와 (가 모두 짝수 개수만큼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해당 문제의 원 링크에서 제공해주신 코드를 제출했을 땐 정답이 나오는데, 문제 설명 중에서 어떤 조건을 보고 W가 균형잡힌 문자열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수 있으며, u가 무조건 균형잡힌 문자열이 아니어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건가요?코드의 어떤 로직이 이해가 안 되시나요?어떤 개념이 헷갈리시나요? 3. 시도해보신 내용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 제가 짠 코드와 제공해주신 해설 코드 중 차이점이 W를 u와 v로 나누는 부분에 있음을 알게되었고, 제 코드는 W가 무조건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인 경우에 대해서만 풀리게 되어있습니다. 에러가 발생했다면 어떤 에러인가요?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is_this_correct_parentheses(string): N = len(string) left_parentheses_num = 0 for s in string: if s == "(": left_parentheses_num += 1 if left_parentheses_num == N-left_parentheses_num: return 1 else: return 0 def is_this_balanced_parentheses(string): stack = [] stack.append(string[0]) string = string[1:] for s in string: tmp = s if len(stack) != 0 and stack[-1] == "(" and tmp == ")": stack.pop() else: stack.append(tmp) if len(stack) == 0: return 1 else: return 0 def u_string_processing(u): u = u[1:-1] tmp_u = "" for i in range(len(u)): if u[i] == "(": tmp_u += ")" else: tmp_u += "(" return tmp_u def get_correct_parentheses(balanced_parentheses_string): W = balanced_parentheses_string if W == "": return "" idx = 0 for i in range(1, len(W)): tmp_u = W[:i] if is_this_correct_parentheses(tmp_u) == 1: idx = i break if len(W) == 2: idx = 2 u = W[:idx] v = W[idx:] if is_this_balanced_parentheses(u) == 1: processed_v = get_correct_parentheses(v) return u+processed_v elif is_this_balanced_parentheses(u) == 0: tmp_string = "(" processed_v = get_correct_parentheses(v) tmp_string += (processed_v + ")") tmp_string += u_string_processing(u) return tmp_string return W 이렇게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더 정확하고 도움이 되는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
해결됨핵심만 쏙쏙 Jira&Confluence
테스트케이스 관리 플러그인
안녕하세요. 강사님.회사에서 Jira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무지한 상태라 강사님의 강의를 통해 배우고자 수강하게 되었습니다.다름이 아니라,Jira를 통해 이슈관리에 더불어, 지라와 연동되는 플러그인을 통해 테스트케이스 관리도 필요한 상황인데, Xray나 zephyer같은 것 중 뭐가 더 좋을지 모르겠어서요.만약 강사님께서 지라를 통한 테스트케이스 관리 사례가 있으시다면, 플러그인 추천이 아니더라도 조언이 가능하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딥러닝 이론 + PyTorch 실무 완전 정복
[section 14 / [실습] 직접 만든 CNN 모델과 ResNet, VGGNet을 활용한 CV 프로젝트] transforms.Normalize 질문
cifar10 데이터셋에 대하여 Normalize를 적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mean과 std 리스트에 들어있는 값의 의미가 무엇인가요?이미 ToTensor()로 0~1값의 스케일링 된 데이터를, 표준화까지 적용하여 평균0, 분산 1로 만드는데 장점이 있는건가요??normalize = transforms.Normalize(mean=[0.485, 0.456, 0.406], std=[0.229, 0.224, 0.225]) def get_dataloaders(): train_data = torchvision.datasets.CIFAR10( root="../.cache", train=True, download=True, transform=transforms.Compose([torchvision.transforms.ToTensor(), normalize]), )
-
미해결버그헌팅과 시나리오 모의해킹 전문가 되기
basic pentesting 2.ova IP설정
basic pentesting 2.ova 다운로드 받았는데, IP설정이 안되어 있습니다.IP설정하는 방법 안내 부탁드립니다.아니면, DHCP 설정되어 있는 ova파일 제공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책 내용 firebase supabase oauth 인증
flutter: PlatformException(google_sign_in, You must specify |clientID| in |GIDConfiguration|, NSInvalidArgumentException, null) firebase supabase oauth 인증으로 구글 로그인중에 위와 같은 에러가 나면서 셧다운이 됩니다. 구글링, ai 를 써도 해결책이 안나와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대기업 근무하며 경험한 Redis를 야무지게 사용하는 방법 [실습]
화면에 글씨가 너무 작아요 ㅠㅠ
화면 글씨가 인간적으로 너무 작은거 같아요.. 아이패드 11로 보고 있는데..눈 빠질거 같아요 ㅠㅠ보는 사람을 배려해서 강의 제작 하셨으면 좋겠어요..
-
미해결앨런 iOS 앱 개발 (15개의 앱을 만들면서 근본원리부터 배우는 UIKit) - MVVM까지
playground에서 상단 실행?아이콘 회전 관련하여...
안녕하세요.. ios에서 네크워킹 169강의 강의영상의 코드를 playground에서 따라작성해서 테스트 했습니다.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우선 따라하기 결과는 정상적으로 json 데이터를 영화 openapi 로 잘 받아오는 결과는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playground 상단부분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실행중이라는 의미로 원모양의 아이콘이 돌아가는 것 같은데.. 이 아이콘이 계속 돌아가고 있어서 무엇인가 잘못된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제가 이 아이콘의 의미를 잘못해석한 것이 되는건가요? 강사님 영상에서는 이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데..제가 이 강의를 시작으로 xcode라는 툴을 처음으로 접해보고 있는 상태라서 모르는 것이 너무 많은 상태입니다.
-
미해결
계속 승인 대기 중
2월 수강신청 했는데 아직 승인대기중 입니다 확인 부탁 드려요!
-
해결됨왕초보도 하는 영상 편집 with. 프리미어 프로
19강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얼굴 보정하기 부분에, 효과 창에 RGB곡선을 적어도 안나타납니다. 따로 다운로드를 받아야 하는 효과일까요?버전은 2024버전입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다운로드 오류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강좌에서섹션 2 실습을 위한 무료 환경 Setup(2강) 4분 55초 쯤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부분에서 다운로드가 진행되지 않아서 질문 드렸습니다! 설치 영상에 따르면 프롬프트에서 에러가 나온 뒤에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Hyper-V", "Linux 용 Windows 하위 시스템", "가상 머신 플랫폼"을 체크한 뒤에 "x64 머신용 최신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은 후에 재부팅하면 Ubuntu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먼저 처음 Ubuntu를 실행했을 때이렇게 에러 설명 부분에 물음표("?") 모양이 많이 나오고 x64 머신용 최신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를 다운로드 할 때에도 이러한 창이 나타납니다. 위 현상은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 3가지 항목 모두 체크한 상태에서 재부팅을 하고 난 뒤에 발생했습니다(가상 머신 플랫폼은 Virtual Machine Platform와 같다고 생각했습니다)혹시나 제가 잘못 건드린 부분이 있을까하여 컴퓨터를 포맷을 한 뒤에 다시 실행했는데도 똑같았고, Ubuntu를 다른 버전으로 시도해보았으나 모두 똑같은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혹시 제가 어디서 잘못했는지, 놓친 부분이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강의에 나오는 GA4 내용은 모두 무료인가요?
GA4 내에서 유료 결제(GA4 360)해야 쓸 수 있는 기능도 소개되는지, 아니면 유료 결제 없이 무료 범위 내에서만 소개되는지 궁금합니다. 수집해야 하는 이벤트의 종류가 많고, dictionary 형식이고, 데이터 보존 기간이 최소 한달은 되었으면 하는데, GA4를 무료 범위 내에서만 써도 충분할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웹 개발자와 정보보안 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웹 해킹 & 시큐어 코딩
http://127.0.0.1/insecure_website/index.php 접속 에러 문제
이런 warning 에러 문구가 뜹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REST 방식 컨트롤러 만들기에서 익스플로러에 데이터 값이 출력 안됩니다
TodoController 파일 만들고 Api서버로 스프링 기동시키고 todo경로에 tno 값을 입력해도 익스플로러 화면에 제이슨데이터 값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DB상에 있는 데이터로 입력을 해도 나오지 않는 걸 보면 제이슨 설정이 잘못된게 아닌가 싶은데 답변 부탁드립니다아래에 로그 남겨둡니다오전 11:13:21: 실행 중 ':org.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main()'…Starting Gradle Daemon...Gradle Daemon started in 915 ms> Task :clean> Task :compileJava> Task :processResources> Task :classes> Task :org.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main() . ____ _ __ _ _ /\\ / ___'_ __ _ ()_ __ __ _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3.4.1)2025-03-01T11:13:29.675+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 : Starting ApiserverApplication using Java 21.0.5 with PID 12000 (C:\Users\zzamp\Desktop\apiserver\apiserver\build\classes\java\main started by zzamp in C:\Users\zzamp\Desktop\apiserver)2025-03-01T11:13:29.678+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2025-03-01T11:13:29.704+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e.DevToolsPropertyDefaultsPostProcessor : Devtools property defaults active! Set 'spring.devtools.add-properties' to 'false' to disable2025-03-01T11:13:29.704+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e.DevToolsPropertyDefaultsPostProcessor : For additional web related logging consider setting the 'logging.level.web' property to 'DEBUG'2025-03-01T11:13:30.098+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Bootstrapping Spring Data JPA repositories in DEFAULT mode.2025-03-01T11:13:30.13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Finished Spring Data repository scanning in 35 ms. Found 1 JPA repository interface.2025-03-01T11:13:30.495+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initialized with port 8080 (http)2025-03-01T11:13:30.506+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 : Starting service [Tomcat]2025-03-01T11:13:30.506+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 : Starting Servlet engine: [Apache Tomcat/10.1.34]2025-03-01T11:13:30.53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embedded WebApplicationContext2025-03-01T11:13:30.53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w.s.c.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 : Root WebApplicationContext: initialization completed in 835 ms2025-03-01T11:13:30.66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name: default]2025-03-01T11:13:30.725+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rg.hibernate.Version :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6.4.Final2025-03-01T11:13:30.754+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h.c.internal.RegionFactoryInitiator : HHH000026: Second-level cache disabled2025-03-01T11:13:30.942+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s.o.j.p.SpringPersistenceUnitInfo : No LoadTimeWeaver setup: ignoring JPA class transformer2025-03-01T11:13:30.966+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2025-03-01T11:13:31.03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org.mariadb.jdbc.Connection@77e522372025-03-01T11:13:31.040+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2025-03-01T11:13:31.082+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rg.hibernate.orm.connections.pooling : HHH10001005: Database info: Database JDBC URL [Connecting through datasource 'HikariDataSource (HikariPool-1)'] Database driver: undefined/unknown Database version: 10.11.10 Autocommit mode: undefined/unknown Isolation level: undefined/unknown Min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Max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2025-03-01T11:13:31.51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2025-03-01T11:13:31.555+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2025-03-01T11:13:31.810+09:00 WARN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disable this warning2025-03-01T11:13:32.040+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s.b.d.a.OptionalLiveReloadServer : LiveReload server is running on port 357292025-03-01T11:13:32.05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started on port 8080 (http) with context path '/'2025-03-01T11:13:32.064+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 : Started ApiserverApplication in 2.638 seconds (process running for 2.905)2025-03-01T11:13:57.170+09:00 INFO 12000 --- [apiserver] [nio-8080-exec-1]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2025-03-01T11:13:57.170+09:00 INFO 12000 --- [apiserver] [nio-8080-exec-1]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Initializing Servlet 'dispatcherServlet'2025-03-01T11:13:57.171+09:00 INFO 12000 --- [apiserver] [nio-8080-exec-1]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Completed initialization in 1 msHibernate: select t1_0.tno,t1_0.complete,t1_0.content,t1_0.due_date,t1_0.title from tbl_todo t1_0 where t1_0.tno=?Hibernate: select t1_0.tno,t1_0.complete,t1_0.content,t1_0.due_date,t1_0.title from tbl_todo t1_0 where t1_0.tno=?Hibernate: select t1_0.tno,t1_0.complete,t1_0.content,t1_0.due_date,t1_0.title from tbl_todo t1_0 where t1_0.tno=?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가독성을 높이는 임시변수명 정하는 방법 문의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작업형1 모의고사 풀어보기 6분 38초 지점 문의입니다. 위에서 2번의 a는 “data1-2.csv”를 저장하기 위해 생성한 아무 의미 없는 임시변수인지. 종전에 df로 저정하던 것을 a로 바꾼 이유가 있는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여기서는 (1)data1-2.csv의 데이터프레임을 의미한다고 보고 5번에 a는 “data1-2.csv”에서 임의로 선택한 ['s1','s2','s3','s4','s5','s6'] 컬럼명만 저장한 즉 (2)data1-2.csv에서 -> ['s1','s2','s3','s4','s5','s6'] 컬럼명만 남긴 결과값을 담은 임시변수명인지. 그럼 (1)과 (2)의 의미가 다른데 임시변수명 a로 동일하여 혼란스러워 가독성 문제도 야기되어 보입니다. 이어서 6번 (3)a=a[cols]에서 변수 a는 5번값 a['s1','s2','s3','s4','s5','s6'] 컬럼명을 담은 a와 무엇이 다른지? 같은 의미가 아닌지. 질문은 원데이터에서 1차 가공 후 2차 데이터를 뽑고 2차 데이터에서 3차 가공 후 3차 데이터를 뽑는다면 처음과 마지막에 저장하는 변수를 동일하게 할 것인가 달리 할 것인가. 무엇이 가독성이 좋은가에 관한 질문 같습니다. 일단 이러든 저러든 상관 없는 것이라면무엇이 가독성이 좋은 변수 저장 방식인지 여쭤봅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요청하는 Cursor 자체가 사라진 경우.
요청하는 Cursor 자체가 사라진 경우에는 어떤 방식으로 해결해야할까요?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cols 변수 문의 드립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작업형1 모의고사 풀어보기 6분 지점에서 cols 변수에 대해서도 단순한 임시 변수가 아닌 일부 조건을 담은 변수인 경우에는 구분해서 설명이 되면 좋겠어요. 적어도 자신이 임의로 만든 변수와 외부에서 일정 조건을 포함한 변수를 가져다 쓰는 경우에는 이를 구분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아니 구분해줘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게 결과값을 저장하기 위해 임시로 폴더명을 정한 건지, 이미 고정된 의미를 가진 파일 명을 포함하고 있는건지 구분을 못하면 개념을 이해 못하고 있는 것이 됩니다. 전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cols 라는 이름을 따라서 쓰지 않고 임의로 바꿀 경우에는 학습자가 혼란스러워지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