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하위의 여러 폴더 중 특정폴더의 사진만 추출하기
안녕하세요. 선생님저의 질문이 어느 챕터에 해당하는지 알지 못해, 특정 챕터를 지정하지 않은 채 질문 드린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제가 궁금한 점 및 전제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폴더구조(8단계): main폴더/sub폴더/sub-sub폴더/....../sub_sub_sub....폴더/ 맨 마지막 단계폴더들 중에서 특정 폴더의 사진목록을 추출하고 싶습니다.마지막 단계 폴더들 중에서 특정 폴더 : 추출대상 폴더의 경로는 엑셀셀에 명기되어 있긴 합니다.이렇게 추출된 사진을 폴더경로단위로 한/컴의 1페이지별 붙여넣기 할 예정입니다.제가 수강 중인 인프런 강좌를 반복하면서 봐도 잘 해결되지 않네요.강좌의 섹션 중 '학교명...지역명?' 에서 언듯 해결책을 느낀 것 같았지만 이내 벽에 부딪히게 되어 선생님께 문의 드리는 바 입니다.좋은 해결 실마리가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이름 바꾸기
23번째줄에서 for문 i 말고 지뢰라는 이름으로 (예를들어, mines 등 ) 바꿔도 되지 않을까요 ..?
-
미해결아바타 커뮤니티앱 만들기 (React Native Expo)
[5-9]이미지 기능구현하기(2) 이미지를 추가하면 너무 느리게 뜹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글쓰기 누르고, 제목, 내용 밑에 카메라 모양 눌러서 사진을 추가하면사진이 매우 느리게 뜹니다...혹시 이건 왜 그런건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로그인 성공과 실패처리 강의 중에 궁금한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추가질문)
db 포스트맨: 에러상황: 포스트맨으로 db에 있는 email과 패스워드 입력해도 로그인이 안됩니다. 참고로 db에 있는 이메일 : user9@aaa.com 직접 db에서 수정하고 저장했습니다. 그리고 user8@aaa.com로 해도 안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suspense관련 질문 있습니다! 섹션6 5.2풀 라우트 캐시2강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suspense태그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5.2 풀 라우트 캐시2 강의에서 저희가 useSearchParams() 훅이 빌드타임에서 실행되는 오류를 없애기 위해 <SearchBar/ > 컴포넌트를 suspense로 감싸잖아요 이때 강의 4분45초 쯤에서 사전 suspense를 사용해서 이제 사전 렌더링 과정에서 완전히 배제한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페이지를 만들때 suspense로 감싼 컴포넌트는 nextjs app router방식이 아니라 csr방식으로 구현이 되는건가요 나머지 컴포넌트들만 approuter의 사전 렌더링 방식으로 구현이 되는건가요?? 제가 정리했을땐 동적 페이지도 정적 페이지도 사전렌더링의 시점은 다르지만 (요청할때, 빌드할때) 사전렌더링이라는 기능은 nextjs에서 기본으로 작동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전렌더링에서 완전 배제된다는 부분이 헷갈려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스프링은 어려워! 코틀린과 Ktor로 백엔드/서버개발 기초정복 (커피주문시스템 개발)
jar 파일 실행 오류
안녕하세요.jar 파일 실행 시 사진과 같이 로그가 출력 되고 있습니다. initData 부분의 로그도 나오지 않고 URL로 접속도 안되는데 어느 부분이 문제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HandlerExceptionResolver 직접 사용과 ExceptionResolver들 간의 관계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PI 예외 처리.pdf 강의 자료에서 아래 내용에 대해 문의드립니다."지금까지 다음 ExceptionResolver들에 대해 알아보았다.ExceptionHandlerExceptionResolver → 다음 시간에ResponseStatusExceptionResolver → HTTP 응답 코드 변경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 → 스프링 내부 예외 처리지금까지 HTTP 상태 코드를 변경하고, 스프링 내부 예외의 상태 코드를 변경하는 기능도 알아보았다.그런데 HandlerExceptionResolver를 직접 사용하기는 복잡하다.API 오류 응답의 경우 response에 직접 데이터를 넣어야 해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다.ModelAndView를 반환해야 하는 것도 API에는 잘 맞지 않는다.스프링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xceptionHandler라는 매우 혁신적인 예외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그것이 아직 소개하지 않은 ExceptionHandlerExceptionResolver이다." 이때까지 ResponseStatusExceptionResolver, 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에 대해 공부했습니다.관련 애노테이션을 붙이거나, 관련 예외 클래스 (ex REsponseStatusException 등) 을 사용하면 스프링이 자동으로 예외 코드 및 메시지를 설정해서 예외 처리해주는 걸로 이해했습니다.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는 애초에 스프링 내부적으로 발생한 예외 처리이므로 개발자가 별도 구현할 필요가 없고요... 그런데 갑자기 "HandlerExceptionResolver를 직접 사용하기는 복잡하다.API 오류 응답의 경우 response에 직접 데이터를 넣어야 해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다." 이 얘기가 나온 맥락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혹시 ResfponseStatusExceptionResolver, 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HandlerExceptionResolver를 직접 구현 해야하나요? 전 강의에서 HandlerExceptionResolv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 클래스도 실행됐다고 생각해야하나요? 제가 지금 강의 쭉 듣고나서, 자료 보면서 다시 복습 중이라.. 조금 기억이 가물 가물하네요 ㅠㅠㅠ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H ret 초기값 질문 있습니다.
선생님 코드에서 ret의 초기값을 -1000000 으로 주셨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만약 n이 100000, k가 99999, 모든 temp가 -100일 때 0~99999까지 더하면 -1000000보다 작은 값이 나오게 되어 최대 값을 제대로 못찾을거같은데 어떻게 코드가 통과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Illustrator CC - 일러스트레이터 입문부터 실전까지 한번에 마스터하기
오른쪽 상단 위의 설정이 저한테는 몇개가 도저히 안보여서 진도를 못 따라가겟어요
제가 어도비의 다른 버전을 사용하고 잇어서 그런지 오른쪽 상단 위의 설정이 안되어잇어서 직접 찾아야 하더라고요. 근데 또 버전이 다르다보니 그 설정 하나하나가 안보이더라고요. 예: stroke, transparency. 그래서 도저히 진도를 따라갈수가 없어요. 혹시 해결책이 잇을까요?
-
미해결STM32 FreeRTOS 구현
TTL 연결 없이 프로그램 창에서 메세지 확인 하는 방법도 있을까요?
TTL 주문을 했으나 지금 배송중이여서 잘 진행이 되었는지 확인이 안되는 상태입니다.TTL없이 프로그램 디버깅 창에서도 확인하는 방법도 알려 주실 수 있나요?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46분관한 설명이 이해가 안갑니다
일단 서로 주소가 다른다는것은 알겠습니다.헤더 파일에서 선언과 define 을 했을 경우 각각 cpp 파일에서 주소가 다르게 나왔다..이지만 my_constants.cpp 에서 define 을 하고 헤더 파일에는 declaration 만 했을경우 서로 같은 주소가 나오는이유를 잘모르겠습니다.혹시 추가로 설명을 들을수 있을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34강 인증 체크에서 element 사용 때문에 에러나시는 분들 이렇게 하심 됩니다.
component 사용 시 에러 발생function App() { return ( <Router> <div> <Routes> <Route path="/" element={Auth(LandingPage, null)} /> <Route path="/login" element={Auth(LoginPage, false)} /> <Route path="/register" element={Auth(RegisterPage, false)} /> */} </Routes> </div> </Router> ); } element 사용 시 아래처럼 진행하심 잘됩니다. (element 안에는 함수가 못들어간다하네요)function App() { const AuthLandingPage = Auth(LandingPage, null); const AuthLoginPage = Auth(LoginPage, false); const AuthRegisterPage = Auth(RegisterPage, false); return ( <Router> <div> <Routes> <Route exact path="/" element={<AuthLandingPage />} /> <Route exact path="/login" element={<AuthLoginPage />} /> <Route exact path="/register" element={<AuthRegisterPage />} /> </Routes> </div> </Router> ) }
-
미해결
HikariCP connectionPool 관리
try { getLock("쿠폰발급"); issueCoupon(); <- @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ERS_NEW)} finally { releaseLock("쿠폰발급");}의 형태로 되어있다면, issueCoupon(); 메소드를 호출 할 때, Propagation.REQUIERS_NEW) 로 새로운 transaction 생성으로 인해 DB Connection을 확보하려 했지만 쿠폰 발급 요청이 몰려 DB namedLock 대기가 기존 connectionPool을 모두 차지하고 있어 timeout이 발생했다면, releaseLock에 기존 대기상태로 변환 트랜잭션이 실행되지 못 할 가능성이 존재할까요?connectionTimeout 시간은 짧지만, namedLock 획득을 위한 대기 시간이 10분으로 되어있다고 가정하게 된다면 deadLock이 어디서 발생할 지 궁금합니다.제가 생각한 건 issueCoupon(); 을 호출하면서 connecionPool 부족으로 인한, 기존의 getLock() 에 사용된 connectionPool이 대기 상태가 되면서 반환되고, 쿠폰 발급이 진행되고 이후 releaseLock()을 호출해야 하지만 connectionPool을 재확보하지 못 하고 Lock을 해제하지 못해 Lock 점유 시간동안 DeadLock 발생issucoupon(); 에서 connectionPool을 확보하지 못해 timeoutException이 발생했지만 rollbackFor = Exception.class 로 인해 rollback을 위한 connectionPool()을 확보하기 위한 대기로 인한 DeadLock 발생아직 기초 지식이 부족해 어떻게 deadLock이 발생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H 하나의 문자를 입력 받을 때 런타임 에러
안녕하세요, 큰돌님.http://boj.kr/f7198ad0aa0740abb6a3d6f9cb33c43e2-H 에서 입력 받은 s가 "a" 같은 하나의 문자일 때 런타임 에러가 떴습니다. 계속 수정하다 보니 모음 or 자음 3개 연속 조건 부분의 코드 문제인 것 같았습니다. for(int i = 0; i < s.size() - 2; i ++)그래서 s가 하나의 문자일 때를 나눠서 계산하였습니다. // s가 문자일 때 if(s.size() == 1) 이렇게 하니 맞긴 했는데 코드가 너무 난잡해진 것 같습니다...기존 방식의 런타임 에러의 이유제 코드보다 더 좋은 해결 방안이 있을까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캡슐 드로우 관련 질문입니다.
수업 자료 중에 Half Height가 캡슐의 반구 부분을 제외한 몸통 부분의 절반 높이라고 표현되어있고, 수업 코드상 수치도 그렇게 계산 된 것으로 보입니다.하지만 아무리 테스트해 봐도 판정 범위와 다른것 같아 테스트 결과와 함께 질문드립니다. 위 사진은 수업 코드와 그 실행 결과입니다.NonPlayer의 캡슐와 닿지 않아도 충돌 처리 된 모습입니다. 아래 사진은 Half Height에 캡슐의 반구 크기를 포함 시킨 수치를 적용한 코드와 그 실행 결과입니다. 그려진 캡슐과 정확히 겹칠 때 충돌 처리된 모습입니다.그래서 아래의 자료에서 초록색으로 표기한 길이가 Half Height인지, 혹은 수업 자료의 Half Height는 맞지만 DrawDebugCapsule함수의 인자만 초록색 표기된 부분으로 사용하는 것인지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vercel 빌드 후 에러가 나옵니다.
vercel 빌드를 했는데, 이렇게 에러 메시지가 나오는데 뭐가 문제인지 찾지 못했습니다.vercel 페이지에서도 빌드로그를 보면 아래와같이 나오는데요.npm run build 했을때 정상적으로 노출되고, 오류 메시지가 없어서 정상배포될 줄알았는데 안되네요.ㅠ x Build failed in 181ms18:15:46.529error during build:18:15:46.530Could not resolve "./pages/NotFound" from "src/App.jsx"18:15:46.530file: /vercel/path0/src/App.jsx18:15:46.530 at getRollupError (file:///vercel/path0/node_modules/rollup/dist/es/shared/parseAst.js:397:41)18:15:46.530 at error (file:///vercel/path0/node_modules/rollup/dist/es/shared/parseAst.js:393:42)18:15:46.530 at ModuleLoader.handleInvalidResolvedId (file:///vercel/path0/node_modules/rollup/dist/es/shared/node-entry.js:21111:24)18:15:46.530 at file:///vercel/path0/node_modules/rollup/dist/es/shared/node-entry.js:21071:2618:15:46.544Error: Command "npm run build" exited with 1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혹시 타이포그래피 베리어블 스타일을 지정했을때 line height를 1.4로 계산해서 지정했는데, 작업하다보니 1.2로 더 줄여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면 디자인 시스템 자체를 바꿔서 1.2로 적용해야하나요? 아니면 해당 작업물만 로컬로 별도 타이포그래피 지정해서 해야할까요?다른 속성값들보다 Line height는 프로젝트 스타일에 따라 스타일로 정해놨어도 값이 조정이 되어야 할때가 발생해서 이런 경우의수는 어떤식으로 대응하는게 좋을지 의견 여쭤보고싶습니다. 베리어블값이 weight나 line height 와 같은 값들을 primitive에 지정해놓고, semantic에서 다양하게 참조해서 쓸 수 있다고 생각해서 확장성이 있는것 같은데, 만약에 로컬 타이포그래피에 베리어블을 참조해놓았고 (heading 4xl는 line height 56이라면) 이 값으로 개발팀에 공유가 됐다면 이후에 line height베리어블 참조값을 50 이렇게 바꿀때 개발팀에 공유를 매번 별도로 해야하는거죠? 마지막으로, color는 로컬 스타일을 지워주셨는데 타이포그래피는 로컬에 베리어블을 다 적용하고 로컬 스타일을 지우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model fit 할 때 unknown label 오류
강의에서 나온 내용 중 pd.get_dummies를 제외하고 동일하게 했는데 RandomForestClassifier로 모델링을 하려고 하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타납니다 : Unknown label type: unknown. Maybe you are trying to fit a classifier, which expects discrete classes on a regression target with continuous values.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혹시 타이포그래피 베리어블 스타일을 지정했을때 line height를 1.4로 계산해서 지정했는데, 작업하다보니 1.2로 더 줄여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면 디자인 시스템 자체를 바꿔서 1.2로 적용해야하나요? 아니면 해당 작업물만 로컬로 별도 타이포그래피 지정해서 해야할까요?다른 속성값들보다 Line height는 프로젝트 스타일에 따라 스타일로 정해놨어도 값이 조정이 되어야 할때가 발생해서 이런 경우의수는 어떤식으로 대응하는게 좋을지 의견 여쭤보고싶습니다. 베리어블값이 weight나 line height 와 같은 값들을 primitive에 지정해놓고, semantic에서 다양하게 참조해서 쓸 수 있다고 생각해서 확장성이 있는것 같은데, 만약에 로컬 타이포그래피에 베리어블을 참조해놓았고 (heading 4xl는 line height 56이라면) 이 값으로 개발팀에 공유가 됐다면 이후에 line height베리어블 참조값을 50 이렇게 바꿀때 개발팀에 공유를 매번 별도로 해야하는거죠?
-
해결됨친절한 블렌더 - [LV.1] 기초 모델링
문 아래쪽의 인셋페이스가 동시에 적용이 안 돼요
모델링2 (15:31~)-인셋페이스를 I를 눌러 인디비주얼이 아닌 채로 인셋페이스를 하는게 안 돼요. 선택까지는 되는데 마우스를 움직이면 원래 인셋페이스가 창문때처럼 적용이 되어야 하지만 인티비주얼만 끄면 안 돼요블렌더는 4.3 쓰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