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68
·
수정됨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API 예외 처리.pdf 강의 자료에서 아래 내용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지금까지 다음 ExceptionResolver
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ExceptionHandlerExceptionResolver → 다음 시간에
ResponseStatusExceptionResolver → HTTP 응답 코드 변경
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 → 스프링 내부 예외 처리
지금까지 HTTP 상태 코드를 변경하고, 스프링 내부 예외의 상태 코드를 변경하는 기능도 알아보았다.
그런데 HandlerExceptionResolver
를 직접 사용하기는 복잡하다.
API 오류 응답의 경우 response
에 직접 데이터를 넣어야 해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다.
ModelAndView
를 반환해야 하는 것도 API에는 잘 맞지 않는다.
스프링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xceptionHandler
라는 매우 혁신적인 예외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그것이 아직 소개하지 않은 ExceptionHandlerExceptionResolver이다."
이때까지 ResponseStatusExceptionResolver, 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관련 애노테이션을 붙이거나, 관련 예외 클래스 (ex REsponseStatusException 등) 을 사용하면 스프링이 자동으로 예외 코드 및 메시지를 설정해서 예외 처리해주는 걸로 이해했습니다.
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는 애초에 스프링 내부적으로 발생한 예외 처리이므로 개발자가 별도 구현할 필요가 없고요...
그런데 갑자기 "HandlerExceptionResolver
를 직접 사용하기는 복잡하다.
API 오류 응답의 경우 response
에 직접 데이터를 넣어야 해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다." 이 얘기가 나온 맥락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혹시 ResfponseStatusExceptionResolver, 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HandlerExceptionResolver를 직접 구현 해야하나요?
전 강의에서 HandlerExceptionResolv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 클래스도 실행됐다고 생각해야하나요?
제가 지금 강의 쭉 듣고나서, 자료 보면서 다시 복습 중이라.. 조금 기억이 가물 가물하네요 ㅠㅠㅠ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수하님.
강의에서 말씀하신 HandlerExceptionResolver와 그것의 여러 구현체들에 대한 개념이 헷갈리시는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두 가지 측면에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HandlerExceptionResolver는 예외를 처리하기 위한 스프링의 핵심 인터페이스입니다.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여러 가지 예외 처리 로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sponseStatusExceptionResolver는 HTTP 응답 코드 변경을 위한 것으로, 예외 발생 시 선언된 HTTP 상태 코드를 반환하도록 스프링이 자동 처리합니다.
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내부에서 발생한 표준적 예외들을 처리하기 위한 기본 Resolver입니다. 개발자가 직접 구현할 필요는 없습니다.
각각의 Resolver는 특정 상황의 예외 처리를 쉽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HandlerExceptionResolver를 직접 구현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PI 오류 응답의 경우, response
에 직접 데이터를 넣어야 하고, 또한 ModelAndView
를 반환해야 하는데 이는 API 응답과 적합한 형태가 아닙니다.
강의에서 언급된 “@ExceptionHandler”를 사용하는 방법은 이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해 스프링이 제공하는 기능으로, 예외에 대해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위의 링크들이 도움이 되어, 예외 처리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예외 처리의 핵심은 상황에 맞는 적절한 Resolver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임을 기억해 주세요. HandlerExceptionResolver를 꼭 직접 구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기본 구현체들을 활용하시면 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