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Windows System 프로그래밍
21분 PAE 약자
PAE(물리적 주소 확장)는 x86 프로세서가 지원되는 Windows 버전에서 4GB 이상의 실제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서 기능입니다. x86 기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특정 32비트 버전의 Windows Server는 프로세서의 실제 주소 크기에 따라 PAE를 사용하여 최대 64GB 또는 128GB의 실제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Windows 릴리스에 대한 메모리 제한을 참조하세요.Physical Address Extension 인 것 같습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멀티프로그래밍, 멀티 태스킹, 멀티 프로세싱
감자님 안녕하세요!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535537/%EC%9C%A0%EB%8B%88%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EA%B3%BC-%EB%A9%80%ED%8B%B0%ED%94%84%EB%A1%9C%EC%84%B8%EC%8B%B1%EC%9D%B4-%EC%96%B4%EB%96%BB%EA%B2%8C-%EA%B3%B5%EC%A1%B4%ED%95%A0-%EC%88%98-%EC%9E%88%EB%8A%94-%EA%B1%B4%EA%B0%80%EC%9A%94위 질문의 답변과 1. 현대 운영체제는 멀티프로그래밍, 멀티프로세싱 모두를 이용하시 때문에 멀티프로그래밍과 멀티프로세싱이 같다고 생각하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유니프로그래밍과 멀티프로세싱도 같이 쓰일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메모리의 크기가 작았기 때문에 메모리에 하나의 프로세스가 올라왔고 CPU가 이를 처리하다가 보조 저장장치에 저장된 프로세스와 스왑해서 메모리에 올려 다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멀티 프로세싱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유니 프로그래밍과 멀티 프로그래밍을 메모리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고, 멀티 프로세싱은 CPU 관점으로 바라본다고 한 것입니다. 오늘날에는 해당 방식이 사용되지 않아서 거의 멀티프로그램=멀티프로세싱으로 보이긴 하지만 차이점은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CS 스터디 질문답변에 과거 남겨주신 답변을 보고 헷갈리는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오늘 업데이트되기 이전의 영상 [Section2의 멀티 프로그래밍과 멀티프로세싱]에서 설명해주신 멀티 프로세싱의 개념이 멀티 태스킹임을 이해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전에 설명해주신 메모리와 CPU의 관점에서 차이를 이해하는 것도 멀티 프로그래밍과 멀티 태스킹인 것일까요??즉, 멀티 프로그래밍이 메모리 관점에서 메모리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올릴 수 있는 것이고, 멀티 태스킹이 CPU의 관점에서 하나의 CPU가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로 이해하면 되는 것인가요??디스코드에 남겨주신 답변이 잘못된 것인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새로 올라온 영상에서 스와핑 언급이 빠졌는데
혹시 설명 자체가 잘못된 것이어서 빼신 건가요? 프로세스가 메모리 - 하드웨어를 왔다갔다 하는 일이 꼭 유니프로그래밍 아니어도 멀티프로그래밍 상황에서도 일어나는 거라고 생각하면 될까요?...근데 그럼 또 '어차피 프로세스들을 다 메모리에 올려놨는데 스와핑을 해야 할 이유가 뭐지?'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유니프로그래밍과 멀티프로세싱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 건가요?
멀티프로세싱이라는 게 CPU가 여러 개의 프로그램 시분할 처리로 돌아가며 처리하는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가면 프로세스가 되므로) 멀티프로세싱이 가능하려면 메모리에 프로세스 여러 개가 올라와 있어야 하는 게 아닌가요? 메모리 - 저장장치를 오가면서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프로세스를 전환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개를 처리하는 것처럼 보일 뿐이지, 멀티프로세싱이라 할 수 있는 건가 좀 의문입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인터럽트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감자님 안녕하세요!섹션 1에 인터럽트 강의를 통해 인터럽트란 CPU가 입출력 명령을 내리고 다른 작업을 계속하다가 완료됐다는 신호를 받으면 ISR을 실행하는 거라고 이해했습니다.그런데 위 그림에서는 실행상태에서 준비상태로 들어가는 게 인터럽트라고 나와있어서 질문 드립니다.처음에 섹션 1에서 설명을 들었을 때는 실행 -> 대기 이 과정이 인터럽트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실행 -> 준비가 인터럽트인가요? 제가 섹션 1 강의의 설명을 잘못 이해했나용?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페이징 관련 질문드립니다.
페이징 부분에 대해서 공부하던 중 질문이 있습니다.CPU가 프레임에 접근하려고 할 때, PTBR을 통해 페이지테이블에 접근하고, 페이지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프레임에 접근하는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여기서 (TLB가 있다는 상황입니다.) 프레임에 접근하고 싶을 때 PTBR을 통해 TLB에 접근하고 만약에 TLB MISS이면 페이지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에 접근하는게 맞을까요?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수업 노트 설명에 대해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수업노트에 execpl() 함수가 실행되면 exit()함수가 실행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요. execlp() 함수의 반환값과 상관없이 13번째 줄이 실행되야 하는게 아닌가 해서요. 성공하면 exit()를 왜 영영 실행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예제 코드에서 상태에서 exit() 함수가 만약 실행되지 않는다면 부모 클래스는 계속 wait 상태가 되어 다른 자식 프로세스에서 exit()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거고 예제의 자식 프로세스는 exit()가 되지 않고 있으니 좀비 프로세스가 되는건가요?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3:59초에 대해서 궁금해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시간 계산에서 처음에는 대기 시간이 0초 이해됩니다.p2시작 대기 시간 10초 ok,p3 시작 대기 시간 14초 ok,2번째 p1 시작 대기 시간 24초 아닌가요?p3에서 시작 대기 시간이 14초인데 p3가 끝나고 10초가 걸렸으니2번째 p1에서 시작 대기 시간이 24초가 되는 것 아닌가요? 헷갈립니다. p3 시작 대기 시간을 계산할 때는 1번째 p1의 10초를 넣었는데 2번째 p1의 시작 대기 시간을 구할 때 1번 p1의 10초를 왜 빼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완성이 되지 않더라도 우선 시간이 흘렀으니 더하는게 맞는게 아닌가요?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노션 공유 요청 드립니다.
요청폼 작성하였는데 공유 받지 못했습니다.psj8880@naver.com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한국에서 제일 쉬운 리눅스 커널 강의
xshell 와이파이 연결이 안됌.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에 혹시 답이 있을 수 있어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이렇게 xshell이 연결이 안됩니다.. 동영상 보고 그대로 따라 했는데 왜 안되는 걸까요,,>?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노션 공유 요청드립니다.
노션 요청 드립니다201311046@office.ssc.ac.kr
-
미해결Windows System 프로그래밍
해당 강의의 예제에서 키를 눌러도 예외창이 뜨지않아요.
코드는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었습니다. 영상에 나온대로 디버그 모드로 실행한 후 키를 눌러도, 예외처리창이 나타나지 않는데.. vs설정이 다른 걸까요? - 예외설정에서 C++ Exceptions, Win32 Exceptions, CommonLanguage Exceptions들을 전부 체크해도 동일합니다. (vscode 예외설정창)(콘솔창/vs출력창)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RTOS Secure Boot 관련 자료 문의
안녕하세요. RTOS의 Secure Boot 관련해서 자료나 책 등 안내를 부탁드리겠습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DMA 컨트롤러
DMA 컨트롤러가 메모리를 직접 접근해서 사용할때, CPU가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를 건드릴 수도 있나요? 2 .반대로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CPU가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를 DMA 컨틀롤러가 접근할 수 있는지 )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lcd 프로그램 수행
lcd 파일 수행하려는데 이러한 애러가 뜹니다.라이브러리가 없다고 하는것 같은데어떻게 해결하나요?보드는 f429zi입니다 강사님이 주신 코드로 작성해서 추가 했는데 이렇게 뜹니다
-
미해결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프로세스 [저자 직강 1부-4]
리눅스-프로세스 강의 교재 자료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애청자입니다. 리눅스-프로세스 강의 자료는 없는지 문의드립니다. 강의상 자료에도 찾아보기가 어렵네요ㅠㅠ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실무적으로 궁금한게 있습니다ㅠ
최근 회사에서 팀을 옮기면서 소프트웨어 관련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전 개발자도 아니였고, 이전 근무지에서 관련 업무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근 열심히 임베디드/소프트웨어 관련 강의를 열심히 듣고 있는데요. 궁금한건, 현업에선 보통 RAM/EEPROM 등 메모리 관련 충돌(읽기/쓰기중 인터럽트시 등) 문제점이 많아서 해당 내용의 설계 관련된 내용을 좀 딥하게 알고 싶은데... 감자님 포함해서 인프런의 다른 강의를 봐도 메모리 설계 관련 내용은 없는 것 같더라구요... 혹시 위와 같은 괴리를 좀 해결하기 위한 답변 혹은 도움이 가능하실지 싶어 문의드립니다.ㅎ
-
해결됨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정규표현식 학습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첫 슬라이드 4번째 항목의 "정규표현식을 배워라"에 대해 학습영상에서 설명이 없으시기에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1. 정규표현식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구글링 하여 어떤 개념인지 대강 확인했습니다만, 모든 학습영상마다 CS 초보학습자 수준에서 강약 조절하여 조언을 잘 해주시기에... 또한 제가 마침 개념이 생소하여 더 잘 이해하고자 문의 올립니다.)2. 그리고 정규표현식을 초보학습자 수준에서 어떤 방향으로 학습하면 프로그래밍 작성을 잘 할 수 있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새해복많이받으세요. 미리 감사말씀 올립니다. ^^
-
미해결운영체제 공룡책 강의
자바 serversocket 관련 질문입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강의를 수강하다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06. 프로세스간 통신의 실제: Chapter 3. Processes (Part 4) 강의 30:57 부분에서 출력 스트림으로 데이터가 나가고 있는 상황이어도 socket은 비어 있으니, 다른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을 수 있다고 하셨는데 주어진 코드로 이 과정이 가능한지 의문이 들어 질문 드립니다. 해당 코드에서 계속 출력 스트림을 열어놓으려면 client.close() 부분을 제거해야 될 것 같은데 이러면 기존의 client에 새로 요청 들어온 client가 덮어 씌어 지는 건가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해결됨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메모리 용량에 관하여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컴퓨터에 대해 잘 모르는 터라 더욱 도움이 됩니다.메모리 용량에 관련하여 매우 사소한 질문드립니다.ex) 만약 메모리(기억) 용량 8GB, 어떤 데이터 8GB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Q) 어떤 데이터(8GB)를 커버한다 했을 때, 다른 데이터(8GB 이하)에 대한 커버는 불가능한지요? 아니면데이터(8GB) 이하일 경우 상관없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