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3
0
안녕하세요, 수업을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수업 1:24경, “불필요한 TCP 연결로 인해 RTT가 계속 증가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이 부분이 조금 헷갈려서요.
혹시 여기서 말씀하신 “RTT가 계속 증가한다”는 것이 누적된 총 RTT를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지속적으로 평균 RTT가 악화된다는 의미였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이해하기로 RTT(Round Trip Time)는 한 번의 요청-응답 왕복 시간을 의미하므로, 상황에 따라 일시적인 증가나 변동은 있을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한다고 표현하는 것은 조금 어색하게 느껴졌습니다.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다면 바로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ㅎㅎ
여기서 해당 부분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불필요한 TCP 연결이 많아짐에 따라 RTT 왕복이 여러 번 반복되어 누적되는 ‘총 지연 시간’이 증가됩니다.
다만, 계속해서 요청을 하다보면 지속적으로 평균 RTT가 악화되기도 합니다만 그거는 아키텍처 구조, 평균 트래픽, 제공되는 동적, 정적 자원 등 환경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평균 RTT가 악화라고 바로 보기에는 무리인 것같습니다.
이부분은 헷갈릴수도 있는 것 같아서
제가 강의내에도 추가설명으로 집어넣겠습니다.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