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100가지 프롬프트로 배우는 AI 활용법: 입문편
88. 지식 vs 프롬프트 정보 충돌 강의 내용 문의
87강의/ 88 강의 제목이 틀린데 강의 내용이 동일합니다.<<강의 내용 동일>> 87.복잡한 수학문제 88. 지식 vs 프롬프트 정보 충돌 내용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비개발자 4주만에 수익화 서비스 만들기: AI 바이브코딩 웹 + 앱 ALL IN ONE
2-6 강 영화웹사이트 만들기 (Stagewise )
저는 Stagewise 를 작동시키면 이렇게 뜨는데, 그 이유가 대표적으로 어떤 이유인지 궁금합니다.Localhost8000 이라 3000 을 8000 으로 바꾸었는데, 이렇게 뜨네요. 어떤 에러인지 혹시 아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100가지 프롬프트로 배우는 AI 활용법: 입문편
77:이중언어 답변 강의 자료 확인
강의자료 다운로드 문의건입니다.77: 이중언어 답변 강의 자료를 다운로드 받으면 03_03_multi_persona_meeting.pdf가 다운로드 됩니다. 강의 자료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회로설계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설계와 실무 Project
Active load Diffrential amp 설계와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제가 설계한 Active load Differential amp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DC바이어스이 모두 잘 잡혀있다고 생각하여 AC simulation으로 넘어갔는데 simualtion 결과를 보고 DC 바이어스 혹은 입력 신호원에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으나 해결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pick 타입 구현 질문
interface Post { title: string; tags: string[]; content: string; thumbnailURL?: string; } type Pick<T, K extends keyof T> = { [key in K]: T[key]; }; const legacyPost: Pick<Post, "title" | "content"> = { title: "옛날 글", content: "옛날 컨텐츠", }; 현재 pick 부분을 공부하고 있고, 가운데 있는 코드가 직접 구현하는 코드인데요그럼 밑에 const legacyPost ~~ 이하는 없다고 생각하고 가운데 구현 코드를 작성하는거 아닌가요?그럼 가운데 구현코드 T, K 타입변수에 Post나 프로퍼티가 어떻게 들어오게 되는건가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Operator / CRD 을 강의에서 다루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카프카를 K8S에 설치할 때 Operator / CRD 라는 개념이 나오는데요. 위 개념은 강사님 전체 로드맵중에서 어떤 강의에 등장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강의에서 미리 생성된 프로젝트들 어디서 다운받아요?
강의에서 미리 생성된 프로젝트들 어디서 다운받아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OneToOne LAZY 관련 질문입니다.
User.java @OneToOne(mappedBy = "user", 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MyRoommate myRoommate; MyRoommate.java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unique = true, nullable = true) private User user;이렇게 코드가 작성되어 있을 때 User를 조회하면 myRoommate가 LAZY가 아니라 EAGER로 동작해서 User만 조회하고 싶은데 MyRoommate도 같이 조회하고 있습니다.혹시 그 이유와 해결방법을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해결됨[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급 SQL
SQL 코딩테스트 질문
안녕하세요 에이블리 데이터분석가 포지션에 지원했고,SQL테스트를 대비하고자 강의를 구매해서 듣고 있습니다.혹시 [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SQL[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급 SQL[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급 SQL 문제풀이이렇게 3가지 강의를 반복하면 코테 대비에 적절한지, 아니면 고급SQL까지 수강할 필요가 있는지 문의드립니다.감사합니다. :)
-
미해결실무자가 알려주는 CANoe - CAPL과 Panel 기본 사용법
CANoe CAPL을 이용한 CAN통신으로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강사님.현재 자동차 전장 부분 SW 직무로 일하고 있는 1년차 개발자입니다.좋은 강의 덕분에 현업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현재 보드에 CAN bootloader를 구현하여 CAN 통신으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려고 하는데,CANoe CAPL 툴로 .hex파일을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 되도록 구현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Icon 버튼 Inverse와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 아이콘 등록하는 방법 강의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아이콘이 포함된 버튼의 인터렉션에 색상 반전되는 부분이 있어서 아이콘 강의 들으면서 해결은 했는데 정확한 이유도 함께 이해하고 싶어서 문의드립니다.강의 17:10 부분입니다.1. 임의 아이콘 생성2. Icon placeholder3. Component4. Variant 추가5. Size property : md-24px, sm-16px, lg-32px, xl-40px (Scale 설정)6. md-24px 아이콘 Instance > Frame > Component 24px7. Component 40px 생성8. Component 24px > Instance swap9. 각각 Instance 생성10. Icon placeholder 색상을 Instance swap이랑 동일한 색상으로 변경11. Component 24px 버튼 부분 Primary, 아이콘 부분 Inverse 색상으로 변경12. Component 24px의 Instance > Reset all changes13. 그 다음 Instance swap을 해야 색상이 변경됨.Q1. Component 24px 예시에는 icon placeholder의 색상을 맞춰주셨는데Component 48px 예시에는 왜 직접 success 색상으로 바꿔주셨나요?Override 개념이랑 조금 헷갈리는 것도 있어서 설명 부탁드릴게요.Q2. Icon placeholder는 아이콘 기본 색상으로 맞춰주고 하는 이러한 과정을위 순서대로 해야하는 이유가 정확히 어떤 이유인지가 궁금합니다.Q3. Icon placeholder에서 나온 아이콘을 각 component 24/48px은새로운 버튼으로 만든 컴퍼넌트인데 이 관계가 어떻게 되는건지 이해가 안되어서요.Q4. Reset all changes 버튼은 정확히 이 과정에서 어떤 역할일까요?Q5. 이 과정이 없으면 inverse가 적용이 되지 않는다면 Instance swap으로 아이콘을 변경해도 아이콘 색상을 유지하고 싶으면 정확히 Icon placeholder와 Instance swap한 아이콘 색상을 동일하게 맞추고Inverse로 바꾼 것을 다시 reset하는 일련의 과정이 항상 필요한 것일까요?잘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36. Serialization #3 에서 string (name) 코드 수정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내용은 name을 받는 과정에서 byte[] 직렬화 및 역직렬화 하기 위해 nameLen을 count하고, 이를 ArraySegment에 넣는 과정인데요. 그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합니다. ServerSession.cs 이고, public override ArraySegment<byte> Write()함수 내부입니다. // stringushort nameLen = (ushort)Encoding.Unicode.GetByteCount(name);success &= BitConverter.TryWriteBytes(s.Slice(count, s.Length - count), nameLen);count += sizeof(ushort); // nameLen(2)Array.Copy(Encoding.Unicode.GetBytes(name), 0, segment.Array, count, nameLen);count += nameLen; // name(n) 여기서 Array.Copy(Encoding.Unicode.GetBytes(name), 0, segment.Array, count, nameLen);이 부분에서 count 대신 count + segment.Offset 를 사용하는 것이 올바르지 않을까 하여 질문드립니다. 이는 for문을 포함하여 코드 실행시 서버 측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Listening...PlayerInfoReq: playerId=1001, Name=NPCReceived packet: size=20, packetId=1PlayerInfoReq: playerId=1001, Name=Received packet: size=20, packetId=1PlayerInfoReq: playerId=1001, Name=Received packet: size=20, packetId=1PlayerInfoReq: playerId=1001, Name=Received packet: size=20, packetId=1PlayerInfoReq: playerId=1001, Name=Received packet: size=20, packetId=1Client connected: [fe80::9e56:3a99:3a3a:58be%18]:55626OnDisconnected: [fe80::9e56:3a99:3a3a:58be%18]:55626 이처럼, 첫 1회만 NPC라는 네임이 제대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count + segment.Offset 를 사용했을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제대로 나타납니다. Listening...Client connected: [fe80::9e56:3a99:3a3a:58be%18]:55458PlayerInfoReq: playerId=1001, Name=NPCReceived packet: size=20, packetId=1PlayerInfoReq: playerId=1001, Name=NPCReceived packet: size=20, packetId=1PlayerInfoReq: playerId=1001, Name=NPCReceived packet: size=20, packetId=1PlayerInfoReq: playerId=1001, Name=NPCReceived packet: size=20, packetId=1PlayerInfoReq: playerId=1001, Name=NPCReceived packet: size=20, packetId=1OnDisconnected: [fe80::9e56:3a99:3a3a:58be%18]:55458 물론 이후 리팩토링을 통해 작성한 코드에서는 전부 제대로 나타납니다.ushort nameLen = (ushort)Encoding.Unicode.GetBytes(this.name, 0, this.name.Length, segment.Array, segment.Offset + count + sizeof(ushort));(리팩토링 코드) Offset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아마도 패킷을 덮어써서 이런 결과가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 Supabase에서 테이블 옆에 Unrestricted가 뜨는 이유와 해결법 정리
Supabase에서 Table Editor > 테이블 옆에 Unrestricted가 아래처럼 뜨시는 분들은 RLS disabled를 클릭한 후에 RLS를 Enable로 해주시면 됩니다.RLS(Row Level Security)가 꺼져 있으면, 누구나 API로 테이블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실제 서비스에서는 RLS를 반드시 켜고, 접근 정책(Policy)을 설정해야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됩니다.RLS 활성화는 Table Editor에서 “Enable RLS” 클릭 → 정책 추가로 진행하면 됩니다.
-
해결됨비개발자 4주만에 수익화 서비스 만들기: AI 바이브코딩 웹 + 앱 ALL IN ONE
연결 거부 해결 방법
NextJS 를 연결하려고 하는데, 이렇게 뜨네요.해결방법을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
미해결제로베이스부터 배우는 웹개발의 개념과 바이브 코딩
토스페이먼츠 연동하여 결제하기 오류
토스페이먼츠 연동하여 결제하기 기능 구현시 강사님의 영상과 다르게 오류가 나는데 도메인 localhost 가 실제 도메인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이럴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영상과 실제가 너무 달라 애를 먹고 있어요.
-
미해결CAN 통신 - 자동차 신입이 알아야 할 모든 것
강의자료 문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CAN 에러 처리 - 3. 에러의 종류 및 마무리강의에 해당하는 강의자료가 없는 것 같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2 (AMBA AXI4 완전정복)
valid/ready 스트림 구조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맛비님! 개인 실습 중 질문이 있어 질문드리게 된점 양해부탁드립니다. 먼저 현재 실습 중인 내용 말씀드리겠습니다. axi4-lite 를 통해서 텍스트에 입력되어 있는 input data를 인풋bram 에 입력시킵니다.그 후, 개인적으로 만든 연산코어를 통해 연산하고 나서 연산결과를 연산코어 내의 레지스터에 저장합니다.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output bram 에 입력합니다.연산코어가 여러개여서 1-3 과정을 반복했습니다. 정리하면, input txt -> data_mover_bram -> bram0 -> 연산core -> data_mover_bram -> bram1 -> 연산core -> data_mover_bram -> bram2 ...-> 연산 core -> 매 clk 마다 연산결과 출력과 같은 구조를 만들었습니다.testbench simulation 상에서는 원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fpga 에 올리기 위해 generate bitstream 과정을 진행하다가 아래 사진과 같이자원을 고려하지 않고 구현했음을 깨달았습니다. (보드는 zybo z7 10 입니다) 제 추측으로는 연산결과를 각 연산core 에서 레지스터에 저장했다가 bram 에 입력했던 점이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연산결과가 32bit 가 쌓일 때마다 결과 bram 으로 입력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데 그러려면 각 연산 코어에서 bram 에 입력할때 AXI4 stream 을 사용해야 하는게 맞는지, valid/ ready 스트림 구조만 사용하는지 좋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강의 외 내용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ㅜㅜ (답변 거부하셔도 괜찮습니다.)
-
해결됨실무 환경 그대로 주문게시판 만들기 웹개발 기초 마스터
강의 연장 문의
안녕하세요:)학습중인데 강의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아 문의 드립니다.강의 연장이 가능한 지, 가능하다면 연장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PlayerPrefs 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 강의 80% 이상 수강하고 다시 반복해서 듣고 있고 있는데요.초보지만 퀄리티 높고 유익한 강의로 오늘도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다름이 아니라 PlayerPrefs 에 대해서 궁금해서 문의 좀 드리려고 합니다.PlayerPrefs 에 대해서 궁금해서 구글링을 했을 때에는PlayerPrefs 의 경우 '편하게 사용할 수는 있지만 속도가 늦고 타입에 한계가 있고 특히 보안에 취약'하다고 파악을 했습니다. 사실 만들고자 하는 게임이 속도나 타입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나중에는 굿즈나 인벤토리 데이터까지 데이터를 관리하게 되니 보안이 문제가 될 것 같아서 문의 드립니다.궁금한 점은PlayerPrefs 그럼에도 실제 프로젝트에서도 사용이 되는지?만약 사용된다면 PlayerPrefs 보안관련 작업을 따로 수행하나요?구글링을 하면서 Easy Save 라는 에셋 사용까지 이르게 되었는데, Easy Save 툴로 암호화된 파일로 유저 데이터를 로컬과 게임 규모에 따라서 서버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것이 안정성이 있다고 파악을 했는데 이것도 괜찮은 방향인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React Native with Expo: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 /home -> / ` 아니라 ` /index -> / ` 아닌가요?
7.중첩 라우터와 그룹폴더의 활용 / 영상 시작 0:30 질문: ### /home -> / ### 이 아니라 ### /index -> / ### 아닌가요?이 부분 설명에서 /home 은 실제 home 디렉토리를 찾습니다.상위 경로에 _layout.tsx, index.tsx 가 있으면 상위 경로 index.tsx 로 이동하니까index.tsx 파일이 설명에 부합하는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index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