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III님의 프로필 이미지
III

작성한 질문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OneToOne LAZY 관련 질문입니다.

작성

·

30

0

 

User.java

@OneToOne(mappedBy = "user", 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MyRoommate myRoommate;

MyRoommate.java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unique = true, nullable = true)
private User user;

이렇게 코드가 작성되어 있을 때 User를 조회하면 myRoommate가 LAZY가 아니라 EAGER로 동작해서 User만 조회하고 싶은데 MyRoommate도 같이 조회하고 있습니다.
혹시 그 이유와 해결방법을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III님, 공식 서포터즈 y2gcoder입니다.

원인은 JPA 구현체인 하이버네이트가 제공하는 프록시의 한계 때문입니다.

일대일 관계 양방향에서 외래키를 가지지 않은 쪽인 User는 MyRoomate가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직접 조회를 하는 방법 밖에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은 케이스에서는 조회가 발생하면서 N+1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보통 1대1 양방향 관계에서는

  • OneToMany 설계 고려

  • 외래키 주인 변경

정도를 고민해보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III님.

문의하신 내용은 JPA에서 @OneToOne 연관관계를 설정할 때 흔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기본적으로 @OneToOne 관계는 LAZY 로딩이 동작해야 하지만 때때로 EAGER 로딩처럼 동작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가 발생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JPA 구현체가 OneToOne 관계를 EAGER 로딩으로 최적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해결책

  1. Hibernate 기본 설정 확인: Hibernate의 경우, @OneToOne 관계가 기본적으로 EAGER 로딩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FetchType.LAZY를 강제 하고 싶다면, @OneToOne과 함께 명시적으로 hibernate.bytecode.use_reflection_optimizer 설정을 false로 바꿔볼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은 Hibernate가 리플렉션 없이 최적화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2. 프록시 객체 활용: Proxy 객체는 실제 엔티티 대신 초기화되지 않은 프록시 객체를 사용하여 지연 로딩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코드에서 User 엔티티에 대한 클래스를 프록시 가능하게 만드십시오.

  3. 글로벌 Fetch 설정: persistence.xml이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통해 JPA의 글로벌 FetchType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특정 롬메이트-사용자 관계에 대한 EAGER 로딩이 필요할 경우에만 이를 사용하여 조정합니다.

  4. 하위 프록시 라이브러리 사용: JavassistCGLIB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프록시를 통해 지연 로딩이 가능하도록 설정해보세요.

기존 질문과 유사한 내용을 다루는 게시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양방향 1:1 관계 엔티티의 fetch join시 lazyloading 문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OneToMany에서 LazyLoading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III님의 프로필 이미지
III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