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변경 감지를 통한 데이터 수정할 때 추가, 삭제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데이터 수정은 변경 감지로 처리하는게 적절한걸로 강의를 통해 이해했습니다.강의를 학습 후, 상품 정보를 수정하는 API를 개발하고 있습니다.상품 정보 업데이트를 진행할 때 옵션 목록과 같은 하위 데이터에 대해 추가, 삭제는 어떤식으로 로직을 처리해야 하는게 적절한지 판단이 안되어 질문 드립니다. 클라이언트에서 상품 정보 수정 API를 호출할 때, 생각한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수정하는 옵션의 경우 ID와 변경되는 데이터를 필드에 담아서 보내줍니다.- 신규 옵션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ID를 제외한 추가될 데이터를 필드에 담아서 보내줍니다.- 삭제하는 옵션은 필드에 담지않고, 수정/신규 옵션만 필드에 담아서 보내줍니다. 수정 API 개발할 때, 어떤식으로 처리하는게 좋은 방법인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수정 옵션) 상품 정보 업데이트 시 기존 옵션 데이터의 경우에는 ID로 데이터를 조회 후 변경 감지로 필요한 데이터만 수정하도록 했습니다.(추가 옵션) 신규 옵션 데이터는 ID 값이 없는걸 식별해서 추가하도록 로직을 짜는게 적절 할까요?(삭제 옵션) 기존 옵션 데이터를 삭제하고 싶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API로 옵션 정보를 넘겨주는데, 삭제되는 옵션은 넘어오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ID가 식별되지 않아 변경 감지로 삭제할 수가 없을거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삭제는 soft delete 방식으로 처리해야 합니다.)삭제되는 ID 값을 deleteOptionIds 같은 필드로 따로 받아서 처리하는게 적절 할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springdoc이 무슨 설정인가요??
springdoc이 무슨 설정인가요??Swagger를 사용했을 때의 어떤 기본 설정같은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전이(CASCADE)에 대하여 궁금한 게 있습니다^_^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비슷한게 있긴합니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영속성 전이(CASCADE)에 대하여 궁금한 게 있습니다.CASECADE.ALL 사용시 부모Parent(@OneToMnay) -> 자식Child(@ManyToOne) 이런식으로 양방향 관계시 하나의 부모가 자식들을 관리를 할때(소유자가 하나인 경우)는 사용을 해도 괜찮다고 말씀을 주셨는데근데 사용을 하면 안되는 경우를 이제 자식Child 엔터티가 Member 엔티티와 @ManyToOne 관계를 가지게 되는 이런 경우를 말씀 하신걸까요 ㅠㅠ?? 아니면 Child에서 Member로 단방향 관계일때는 상관이 없고 // Case 1: 단방향 @Entity public class Child { @ManyToOne private Parent parent; @ManyToOne private Member member; // 단방향 } // ==================================================================================== // Case 2: 양방향 @Entity public class Child { @ManyToOne private Parent parent; @ManyToOne private Member member; // 양방향 } @Entity public class Member { @OneToMany(mappedBy = "member",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Child> childList = new ArrayList<>(); }멤버에서 차일드를 알게된 양방향 관계일때 문제가 생긴다는 걸까요 ??다른엔터티랑 CHILD랑 관계가 있다가 어떤 경우인지 이해가 안되서 그렇습니다ㅠ_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연관관계 매핑 무한루프
가급적이면 lombok라이브러리를 쓰지 마라고 하셨는데, @ToString(exclude = "members")처럼 특정 필드를 제외하는exclude써서 무한 순환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봤는데 이 방법을 실무에서 잘 안쓰나요? 그렇다고 롬복을 안쓰는건 더더욱 비효율적으로 보입니다예시:@Entity @ToString(exclude = "members") public class Team { ... @OneToMany(mappedBy = "team") private List<MemberTest> members = new ArrayList<>(); ...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Repository에 @Transactional
[질문 내용]MemberRepository 클래스에서도 MeberService 처럼 JPA를 적용한 코드들이 있던데 왜 MemberRository에서는 @Transcational 를 사용하지 않는 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agedModel or VIA_DTO WARN 문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GetMapping("/members") public Page<?> list(@PageableDefault(size = 5, sort = "id", direction = Sort.Direction.DESC) Pageable pageable) { return repository.findAll(pageable).map(MemberResponse::new); }해당 코드에서 API를 호출했는데 Serializing PageImpl instances as-is is not supported, meaning that there is no guarantee about the stability of the resulting JSON structure! For a stable JSON structure, please use Spring Data's PagedModel (globally via @EnableSpringDataWebSupport(pageSerializationMode = VIA_DTO)) or Spring HATEOAS and Spring Data's PagedResourcesAssembler as documented in https://docs.spring.io/spring-data/commons/reference/repositories/core-extensions.html#core. 이러한WARN 문구가 출력되었습니다. 이는 PageImpl의 객체가 그대로 JSON으로 직렬화되어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 메세지 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HATEOAS 의존성을 주입받아서 PagedModel을 반환하는 방법이 있고 spring.data.web.pageable.serialization-mode=via-dto해당 코드를 yml 파일에 추가해서 글로벌 설정으로 가져가는 방법이 있고 @EnableSpringDataWebSupport(pageSerializationMode = VIA_DTO))방법이 있다고 합니다.강사님 영상에는 해당WARN 문구가 보이지 않는데 그 이유는 버전의 문제때문에 강사님 영상에는 해당 WARN 문구가 보이지 않는게 싶습니다.제가 가장 궁금한 것은 물론 프로젝트의 비즈니스에 따라 다르겠지만 위의 방법들중 어떤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나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temList에 moive, album 정보 나타내는 법
[질문 내용]Book 외에 Album, Moive도 구현하려고 합니다.예제의 itemList.html에는 추상 클래스 Item에 정의된 속성들만 표시되도록 되어있는데요. Item이 Book인 경우에는 author, isbn이 Album인 경우에는 artist, etc 등이 같이 표시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구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까요? 타임리프에서 Item의 클래스를 체크한 후(instance of 와 유사) 다운캐스팅해서 각각의 타입에만 해당하는 내용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고, href도 "items/{id}/edit"을 수정해서 "items/{id}/book-edit", "items/{id}/album-edit"과 같은 식으로 하는게 맞는 방법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repository 인터페이스에 vo전달 방법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실무를 하는데 궁금한게 있어 질문 남깁니다. repository 인터페이스에 생성된 메소드를 실행하는데 string으로 파라미터 값을 보내주는 예제를 보여주셨는데, 혹시 vo를 바로 보내줄수도 있을까요? 가능하다면 어떤 형식으로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12:로그아웃 & 무한 루프 에러
안녕하세요. 덕분에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마지막 섹션 강의를 따라 진행하던 중, 로그아웃이 안되거나 무한 루프 오류가 나서 글을 남깁니다. 코드는 다 맞게 작성한 거 같은데, 어떤 부분을 확인해야 할 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록시 객체, 프록시 객체의 준영속화에 대한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프록시 객체와 프록시 객체의 준영속화에 대한 내용이 제가 이해한게 맞을까요?Member refMember = em.getReference(Member.class, 1L); 로 가져온 Member 프록시 객체는 1차 캐싱에 저장되어있음. 프록시 객체는 실제 Member 엔티티를 상속받아 Member 객체가 가진 메소드들을 가지고있고, null 상태인 실제 Member 객체를 필드로 가지고 있음. Member 프록시 객체 내부의 메소드를 호출하면 그 때 영속성 컨텍스트에 진짜 엔티티(키 값이 1L인)를 호출해달라고 요청하고 DB에서 가져와서 실제 엔티티를 1차 캐시에 캐싱하고 프록시 객체 내부의 null 상태인 Member 객체 가져온 엔티티로 초기화. 준영속 상태일 때 프록시를 초기화 하면 왜 예외가 발생결국 실제 DB에서 조회해온 엔티티는 1차 캐시에 캐싱되어 영속화 된 상태인데 프록시 객체를 준영속화하면 캐시는 비워지고 프록시의 Member 필드가 참조하는 실제 엔티티도 없어지기 때문에 프록시가 참조할 곳이없어서 예외 발생.2번의 경우 1번이 맞다는 전제하에 생각한 로직입니다.만약 맞다면 프록시를 준영속 상태로 만들 때(em.detach()) 어떻게 프록시만 준영속화 했는데 1차 캐싱에 실제 엔티티도 지워지게 되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재고수량초과 테스트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에서 나오는데로 orderCount를 11로 하면 need more stockjpabook.jpashop.exception.NotEnoughStockException: need more stock at jpabook.jpashop.domain.item.Item.removeStock(Item.java:43) at jpabook.jpashop.domain.OrderItem.createOrderItem(OrderItem.java:44) at jpabook.jpashop.service.OrderService.order(OrderService.java:38)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irectMethodHandleAccessor.invoke(DirectMethodHandleAccessor.java:103)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80) at org.springframework.aop.support.AopUtils.invokeJoinpointUsingReflection(AopUtils.java:359) at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ReflectiveMethodInvocation.invokeJoinpoint(ReflectiveMethodInvocation.java:196) at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ReflectiveMethodInvocation.proceed(ReflectiveMethodInvocation.java:163) a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nsactionAspectSupport.invokeWithinTransaction(TransactionAspectSupport.java:380) a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nsactionInterceptor.invoke(TransactionInterceptor.java:119) at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ReflectiveMethodInvocation.proceed(ReflectiveMethodInvocation.java:184) at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CglibAopProxy$DynamicAdvisedInterceptor.intercept(CglibAopProxy.java:727) at jpabook.jpashop.service.OrderService$$SpringCGLIB$$0.order(<generated>) at jpabook.jpashop.service.OrderServiceTest.상품주문_재고수량초과(OrderServiceTest.java:56)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8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BeforeTestExecutionCallbacks.evaluate(RunBeforeTestExecutionCallbacks.java:76)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AfterTestExecutionCallbacks.evaluate(RunAfterTestExecutionCallbacks.java:84)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BeforeTestMethodCallbacks.evaluate(RunBeforeTestMethodCallbacks.java:75)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AfterTestMethodCallbacks.evaluate(RunAfterTestMethodCallbacks.java:86)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SpringRepeat.evaluate(SpringRepeat.java:84)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25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97)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BeforeTestClassCallbacks.evaluate(RunBeforeTestClassCallbacks.java:6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AfterTestClassCallbacks.evaluate(RunAfterTestClassCallbacks.java:7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SpringJUnit4ClassRunner.java:191)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2024-12-22T17:33:07.127+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Closing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2024-12-22T17:33:07.128+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category cascade 2024-12-22T17:33:07.129+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29 | took 1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table if exists category cascade drop table if exists category cascade ;2024-12-22T17:33:07.129+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category_item cascade 2024-12-22T17:33:07.130+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0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table if exists category_item cascade drop table if exists category_item cascade ;2024-12-22T17:33:07.130+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delivery cascade 2024-12-22T17:33:07.130+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0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table if exists delivery cascade drop table if exists delivery cascade ;2024-12-22T17:33:07.130+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item cascade 2024-12-22T17:33:07.131+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1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table if exists item cascade drop table if exists item cascade ;2024-12-22T17:33:07.131+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member cascade 2024-12-22T17:33:07.131+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1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table if exists member cascade drop table if exists member cascade ;2024-12-22T17:33:07.131+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order_item cascade 2024-12-22T17:33:07.131+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1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table if exists order_item cascade drop table if exists order_item cascade ;2024-12-22T17:33:07.131+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orders cascade 2024-12-22T17:33:07.132+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2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table if exists orders cascade drop table if exists orders cascade ;2024-12-22T17:33:07.132+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sequence if exists category_seq2024-12-22T17:33:07.132+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2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sequence if exists category_seqdrop sequence if exists category_seq;2024-12-22T17:33:07.132+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sequence if exists delivery_seq2024-12-22T17:33:07.132+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2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sequence if exists delivery_seqdrop sequence if exists delivery_seq;2024-12-22T17:33:07.132+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sequence if exists item_seq2024-12-22T17:33:07.133+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3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sequence if exists item_seqdrop sequence if exists item_seq;2024-12-22T17:33:07.133+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sequence if exists member_seq2024-12-22T17:33:07.133+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3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sequence if exists member_seqdrop sequence if exists member_seq;2024-12-22T17:33:07.133+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sequence if exists order_item_seq2024-12-22T17:33:07.133+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3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sequence if exists order_item_seqdrop sequence if exists order_item_seq;2024-12-22T17:33:07.133+09:00 DEBUG 5250 --- [ionShutdownHook] org.hibernate.SQL : drop sequence if exists orders_seq2024-12-22T17:33:07.133+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p6spy : #1734856387133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4| url jdbc:h2:mem:3e9d99ac-3e6a-493e-ba08-cc03d272eaeddrop sequence if exists orders_seqdrop sequence if exists orders_seq;2024-12-22T17:33:07.135+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initiated...2024-12-22T17:33:07.137+09:00 INFO 5250 ---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completed.> Task :test FAILEDOrderServiceTest > 상품주문_재고수량초과 FAILED jpabook.jpashop.exception.NotEnoughStockException at OrderServiceTest.java:561 test completed, 1 failed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test'.> There were failing tests. See the report at: file:///Users/iyeonseo/Downloads/jpashop/build/reports/tests/test/index.html* Try:>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BUILD FAILED in 4s5 actionable tasks: 2 executed, 3 up-to-date이런 에러가 뜹니다. 강의에서는 성공이 뜨는데 왜 이렇게 뜨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파라미터가 이상해요
createQuery의 파라미터가 qlString이 없어요.package jpabook.jpashop.domain.repository;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ontext; import jpabook.jpashop.domain.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import도 jakarta인데 왜 안되는걸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 기본편 - 최신 버전으로 프로젝트 설정하기 JPA 버전 관련 문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기본편 7강 HelloJPA- 프로젝트 생성 강의를 수강한 후,JPA 기본편 - 최신 버전으로 프로젝트 설정하기 수업 자료 및 소스 코드를 보며 직접 maven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JPA연결하며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자바 버전 17 이상에서는 Hibernate 6.x 이상을 사용해야 하고, 이는 javax.persistence 네임스페이스가 jakarta.persistence로 변경된 JPA 3.x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고 이해했습니다.그러나 강사님이 올려주신 프로젝트 설정에서는 JPA 2.2와 jakarta.persistence 네임스페이스가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JPA 2.2를 사용하는 경우 javax.persistence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해야 하지 않나요?만약 jakarta.persistence를 사용한다면 이는 JPA 3.1로의 전환을 의미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혹시 강사님이 JPA 2.2를 유지하면서 jakarta를 사용한 이유가 Hibernate 6.x의 호환성 때문인지, 아니면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tem에서 Category가 Import되지 않아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neToMany속의 ManyToOne 조회시 질문
OneToMany 관계에서 페치조인을 하게되면 페이징이 불가하다고 하셨는데 OneToMany는 batchSize를 조절하여 해결한뒤OneToMany안의 ManyToOne 관계는 어떻게 페치조인 할수있을까요? 예를 들어서테이블 A, B, C가 있을경우A와 B는 OneToMany관계B와 C는 ManyToOne관계 class A { @OneToMany private List<B> b = new ArrayList<>(); }class B { @ManyToOne // Lazy private A a; @ManyToOne // Lazy private C c; } class C { } A를 조회하고 C까지 끌고와야하는경우A와 B는 OneToMany 관계이기 때문에 페치조인이 불가능하지만B와 C는 페치조인이 가능하다고 이해하였습니다BatchSize를 설정하여 A에서 B를 가져올시 IN 쿼리로 가져온뒤B에서 C를 페치 조인하는 방법은 없나요? 아니면 이런경우 특수하게 B에서 C를 Eager로 설정 해야할까요애초에 B를 통해서 A와 C를 가져와야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repositorytest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could not prepare statement [Sequence "MEMBER_SEQ" not found; SQL statement: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90036-232]]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SQL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org.springframework.dao.InvalidDataAccessResourceUsageException: could not prepare statement [Sequence "MEMBER_SEQ" not found; SQL statement: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90036-232]]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SQL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convertHibernateAccessException(HibernateJpaDialect.java:277)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translateExceptionIfPossible(HibernateJpaDialect.java:241)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translateExceptionIfPossible(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560)at org.springframework.dao.support.ChainedPersistenceExceptionTranslator.translateExceptionIfPossible(ChainedPersistenceExceptionTranslator.java:61)at org.springframework.dao.support.DataAccessUtils.translateIfNecessary(DataAccessUtils.java:343) 이런 에러가 납니다ㅠㅠ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Serializable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제가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했을 때 엔티티에 implements Serializable를 하지 않았을 때 오류가 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잘 되었는데(스프링 부트 3.2.4 사용 했습니다)강사님 께서는 앞선 카탈로그 엔티티 및 오더 엔티티에서 둘 다 Serializable를 implements 하셨는데 강의 말씀 하시기를 직렬화 때문에 사용을 하셨다고 말씀해주셨는데 해당과정에서 Serializable을 implements 을 하지 않으면 어떤 부분에서 오류가 나는지 여쭤 볼 수 있을까요??어느 부분에서 implements Serializable가 필요한 부분인지 모르겠습니다 ㅠㅠ보통 일반적으로 스프링에서 Jackson? 으로 직렬화를 자동으로 지원해주어 implements를 따로 해줄 필요가 없다고 알고 있었습니다.기초적인 질문이었다면 먼저 죄송하다는 말씀 드리면서 질문 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TDD와 BDD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수강하다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기존에 TDD는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BDD에 대해서는 자세히 몰랐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BDD는 Behavior Driven Development로 '시나리오에 기반한 테스트케이스 자체에 집중하여 테스트한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이때 그렇다면 TDD와 BDD 방식에서 테스트하는 단위가 다른걸까 궁금합니다! 단순히 제가 이해하기에 'TDD에서는 메서드 단위로 테스트가 진행되고, BDD에서는 하나의 요구사항 시나리오 기반으로 테스트되는걸까?'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아니면 혹시 제가 TDD와 BDD에 대한 접근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걸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useCallback 사용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강의에서는 list페이지와 add페이지로 이동할때 useCallbak을 사용하여 이동하는데, const handleClickList = () => { navigate('list'); }; const handleClickAdd = () => { navigate('add'); };다음과 같이 useNavigate만 사용해도 라우터 이동은 똑같지 않나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Config 관련해서 질문잇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Repository public class ItemQueryRepositoryV2 { private final JPAQueryFactory query; public ItemQueryRepositoryV2(EntityManager em) { this.query = new JPAQueryFactory(em); } ..... @Configuration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V2Config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rivate final ItemRepositoryV2 itemRepositoryV2; //SpringDataJPA @Bean public ItemService itemService() { return new ItemServiceV2(itemRepositoryV2, itemQueryRepository()); } @Bean public ItemQueryRepositoryV2 itemQueryRepository() { return new ItemQueryRepositoryV2(em); } @Bean public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return new JpaItemRepositoryV3(em); } } 여기서 ItemQueryRepositoryV2가 에노테이션으로 빈 등록이되어있는데 config에서 새롭게 빈을 등록한 이유가 EntityManager를 새롭게 생성해서 주입받는 것을 위해서인가요?이 방식 말고 다른 방식 ItemQueryRepositoryV2 자체적으로@RequiredArgsConstructor를 쓰면 오류가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