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개발자에게 필요한 로그 관리
로그레벨 외의 Logger 분리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려요.로그를 내용에 따라, Logger 분리를 하는 방법 (Access.log, app.log, security.log, error.log 등등) 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실무 API 서버경우에도 이렇게 로그레벨 이외에 Logger 분리를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1번과 연관된 질문으로, 복잡한 실무 ELK 환경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로그의 경우, 한가지 로그에 몰아서 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지, 각각 로거로 분리하고 elasticsearch index도 분리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동적 테이블에 대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테이블을 년도별로 나누어야 하는 경우예) person2025, person2026파티션 테이블도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나눠야 한다면,이 경우 하나의 Entity로 테이블을 동적으로 변경 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지 아니면 Native Query 쿼리로 하는지 실무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프로젝트 규모가 큰 경우 @SpringBootTest 실행 속도 문제
안녕하세요, 강사님.저는 백엔드 1년 차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강사님 덕분에 TDD 학습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는데, 한 가지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현재 강의에서는 매번 API 기능을 구현할 때마다 @SpringBootTest 를 사용하여 테스트하고 계신데요. 만약 프로젝트 규모가 엄청 커져서 컨텍스트 로딩 시간이 5초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테스트 결과를 기다리느라 “개발 흐름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할 것 같은데요. 현업에서는 이 부분을 어떻게 관리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매번 @SpringBootTest를 그대로 사용하며 시간을 감수하시는지특정 테스트만 빠르게 실행하는 슬라이스 테스트(@WebMvcTest 등)를 병행하시는지그 외 다른 최적화 기법이 있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Elasticsearch 입문 (검색 최적화편)
(질문아님)Windows에서 Elasticsearch 하는 법
Docker를 설치한다. = 설치 방법은 구글링에 "Windows Docker 설치"만 검색해도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vim 설치 = 기본적으로 windows는 리눅스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CMD 또는 Powershell에서 강의처럼 vim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설치만 해주고 프롬프트에 vim 입력하시면 사용 가능합니다. https://velog.io/@deadkim/windows-vim-windows%EC%97%90%EC%84%9C%EC%9D%98-vim-%EC%82%AC%EC%9A%A9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페이지네이션 시 조회 과정 질문
현재 페이지네이션 기반 조회 시 조회 과정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secondary index에서 offset 위치까지 순차탐색 -> secondary index -> 클러스터링 인덱스에서 primary key 조회 -> 실제 데이터 조회일단 위 과정이 맞는지 궁금합니다.2 . 위 과정이 맞다면 이 과정에서 db에서 데이터 조회를 limit만큼 반복하는 것인지, 아니면 실제 db에서 데이터 조회는 한 번에 이루어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페이지 조회 말고 그냥 범위 조회일 시에는 한 번에 조회되서 값이 많아도 시간 차이가 많이 안나는지 궁금합니다. offset 없이 조회해보니 바로 조회되는 거 같긴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값이 안변해요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Test void updateTest() { update(184717674569289728L); ArticleResponse response = read(184717674569289728L); System.out.println("response = " + response); } void update(Long articleId) { restClient.put() .uri("/v1/articles/{articleId}", articleId) .body(new ArticleUpdateRequest("hi 2", "my content 22")) .retrieve(); } @Getter @AllArgsConstructor static class ArticleCreateRequest {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Long writerId; private Long boardId; } @Gett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static class ArticleUpdateRequest {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 response = ArticleResponse(articleId=184717674569289728, title=hi, content=my content, boardId=1, writerId=1, createdAt=2025-05-25T02:22:06, modifiedAt=2025-05-25T02:22:06) 이렇게 값이 안변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PutMapping("/v1/articles/{articleId}") public ArticleResponse update(@PathVariable Long articleId, @RequestBody ArticleUpdateRequest request) { return articleService.update(articleId, request); }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예시코드 오타 제보
킬구형 일부러 그런건진 모르겠는데, 우선은 Batch Listener 섹션에서 실행명령에 전부--job.name=~~ 형식으로 되어있어. 잡이름을 인식 못해서 Job Bean이 여러개 명시되어있으면 실행할때 오류나는 것 같아.--spring.batch.job.name= 처럼 안하면 안될 것 같은데, 이건 의도적으로 줄인걸까?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Event 클래스에 제네릭을 쓰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EventPayload 를 제네릭으로 하셨는데 단순히 다형성 이용해서 하는 거랑 차이가 뭘까요?package kuke.board.common.event; import kuke.board.common.dataserializer.DataSerializer; import lombok.Getter; @Getter public class Event<T extends EventPayload> { private Long eventId; private EventType type; private T payload; public static Event<EventPayload> of(Long eventId, EventType type, EventPayload payload) { Event<EventPayload> event = new Event<>(); event.eventId = eventId; event.type = type; event.payload = payload; return event; } public String toJson() { return DataSerializer.serialize(this); } public static Event<EventPayload> fromJson(String json) { EventRaw eventRaw = DataSerializer.deserialize(json, EventRaw.class); if (eventRaw == null) { return null; } Event<EventPayload> event = new Event<>(); event.eventId = eventRaw.getEventId(); event.type = EventType.from(eventRaw.getType()); event.payload = DataSerializer.deserialize(eventRaw.getPayload(), event.type.getPayloadClass()); return event; } @Getter private static class EventRaw { private Long eventId; private String type; private Object payload; } }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Elasticsearch 입문 (검색 최적화편)
안녕하세요 선생님 Elastic Cloud 비용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의지 할 곳이 선생님 밖에 없어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ㅠ,ㅠ우리 회사에서 Elastic Search 를 이용해서 검색 기능을 서비스 출시 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데이터는 20~30만건 정도 됩니다. Elastic Cloud 에서 비용에서 각각 기능에 따라 등급이 있더군요. Standard Gold Platinum Enterprise 차이 간단하게 이렇게 검색해서 한번 확인 해보니깐 잘 나와 있긴 합니다만... 아무래도 선생님이 제공해주신 강의 보고 처음 접해보고 이것을 상용에서 적용 하고자 하니 비용적 부분에서 고민을 안 할 수가 없습니다. Enterprise 으로 갈수록 비용이 2배로 가긴 하지만 기능을 더 제공해주는 것 같습니다.하지만 저희는 20~30만개 정도 데이터를 활용 및 서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고기능도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기능 안에서 해결이 가능 할 것 같습니다. 정리하자면20~30만개 정도 데이터를 이용해 검색 기능 제공 해야함 (앞으로 데이터 추가는 예상 됩니다.)기능은 선생님이 알려주신 기능에서 충분히 가능 할 것 같습니다.가능한 모니터링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standard 도 괜찮은 선택인지 알고 싶네요. 아무래도 회사가 큰 규모가 아니다 보니 비용적 부분에서 생각 안 할 수가 없습니다. (모니터링 기능도 있었으면 좋겠네요.) 다시 한번 영상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앞으로 더 좋은 강의 기대하도록 하겠습니다.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store를 List로 만들지 않고, Map으로 만든 이유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store를 List로 만들지 않고, Map으로 만든 이유가 궁금합니다.더 효율적인 뭔가가 있는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썻지만, h2 DB가 롤백이 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문제해결****JDBCRepository 구현시이걸 안 붙혀넣고이렇게 써서 생긴 오류인 것 같습니다.. 다른 질문글에서 보고 알았습니다 하하..***************@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썻지만, h2 DB에서 롤백이 되지 않습니다.롤백이 되지 않은 이유가 스프링 버전과 h2 버전이 바뀌어서 그런건가요?테이블을 초기화하고 스프링통합memberServiceTest 를 진행하니 회원가입한 정보가 테스트가 끝난 후 DB에 고스란히 남아있었습니다.#스프링 환경Java-> 17spring->3.4.3h2 : 2.3.232-> 서버모드 접근함(jdbc:h2:tcp://localhost/~/test)#알아본것h2에 서버모드로 접근하면, spring->네트워크->h2이렇게 접근이 되어서 외부에 있는 DB는 롤백을 안한다고 들었습니다.다른 곳에서도 접근해서 고칠 수 있기 때문에,,그래서 대신 메모리모드를 사용하라고 답변을 들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동시세션제어 기능에서 로그아웃하기
안녕하세요"인가 설정 실시간 반영하기" 코드에서 동시 세션 제어 기능을 추가할려고 합니다.http.sessionManagement(session -> session .maximumSessions(1) .maxSessionsPreventsLogin(true) )위 코드를 추가한 후 REST 방식으로 로그인후 로그아웃을 하면 SessionRegistry의 principals 객체에 있는 정보가 삭제되지 않아 다시 로그인을 시도하면 인증오류가 발생합니다.로그아웃을 할 경우 SessionRegistry.removeSessionInformation(sessionId)가 호출되어 principals 정보가 삭제되어야 할 것 같은데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예시 코드 오타 제보]처형부탁한다
한다 제보를 KILL-9, 바란다 응답[제보 정보 수집중...🤖][KILL-9@user]$ cd 커리큘럼/섹션4/3장/작전1해킹 주문 데이터베이스 정찰 작전에서 프락치를 발견했다JdbcPagingItemReader 가 whereClause에 거짓 증거를 제출해서 혼란을 야기했다status = 'READY_FOR_SHIPMENT' 이고 not null 이어햐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CANCELLED 가 아닌 것 같다다시 보니 작전에 혼동이 있는 것 같다 확인요망 🔥 유해 게시물 처형 작전 시스템에도 버그가 발견됐다전체코드에서 JpaCursorItemReader 에 queryString 조건이 잘못된 것 같다이후의 예시 코드들은 잘돼있지만전체코드 복사하는 녀석들이 많기 때문에 처리부탁한다[추가 처형 요청...💀][KILL-9@user]$ cd 커리큘럼/섹션3/2장/작전1글 쓰는 김에 한 녀석도 추가 제보하겠다FlatFileItemReader 고정길이 예제도 처형 부탁한다 소제목인 .columns() 예제 이미지가 정확하다하지만 예시코드라고 적혀있는 Range는 틀렸다 이것은 KILL-9 후보생의 혼란만 가중시킬뿐이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SnowFlake
현재 댓글 무한 depth까지 수강했는데 snowFlake를 통해 Id값을 넣고 있는데 해당 부분을 service단에서 entity.create를 통해 구현하는 점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이런 방식으로 계속 진행이 되면 보일러 플레이트방식이 되는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차라리 커스텀 IdentifierGenerator를 통해 Entity안에서 값을 넣어주면 어떨까하고 생각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진행하면 기존 service를 통해 진행하는 것보다 비효율적일까요?? 두개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physical cache miss 시, collapse 동작 안하는 상황에 대해
레디스에 physical 하게 남아있지 않은 캐시에 대해선 request collpsing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안녕하세요, MessageRelay 관련해 궁금한 사항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강의를 보다보니, 아래 프로세스가 발생한다면 동시성 이슈가 발생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한데요,혹시 관련하여 의견 여쭙고자 글 남깁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나도! 스프링으로 인공지능을 할 수 있다(인프1탄)
Advisors 질문입니다.
예제를 따라하고 있는데요public ChatClient chatClient(ChatClient.Builder chatBuilder){ return chatBuilder .defaultAdvisors(new MessageChatMemoryAdvisor(new InMemoryChatMemory()).build();}이부분이 에러가 나서 MessageChatMemoryAdvisor를 생성을 못하는데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spring ai버전이 1.0.0버전인데 버전에 따라 코드가 바뀌는것 같은데요..
-
미해결스프링 웹 MVC 완전정복
ppt 510 실습질문
클라이언트용 프록시 생성1. RestClient 사용private repository 라git repository collaborator mail 로 드렸어요https://github.com/insoou/study-springmvcbranch name: test/rest-client/http-interfaceClientProxy.java 테스트 파일에서 주석으로 표시 소스간략@Test void restClient(){ RestClient restClient = RestClient.builder().baseUrl("https://api.github.com/").build(); RestClientAdapter restClientAdapter = RestClientAdapter.create(restClient); HttpServiceProxyFactory httpServiceProxyFactory = HttpServiceProxyFactory.builderFor(restClientAdapter).build(); RepositoryService repositoryService = httpServiceProxyFactory.createClient(RepositoryService.class); // 요기서 에러나지는 않지만 디버시 첨부한 사진처럼 찜찜한 메세지가 남습니다. 저 메세지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고있으십니까? Map<String, Object> repository = repositoryService.getRepository("spring-projects", "spring-boot"); assert false==repository.isEmpty(); } 질문사진에 첨부했습니다리포지토리서비스 메서드 에러 던지기가 나오는 이유가 궁금한데 알고계신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영속성 전이와 연관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를 통해 배움을 얻고 프로젝트를 하며 성장 하고 있습니다.프로젝트를 하던중 영속성 전이와 관련하여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영한님 JPA 강의에 질문 하는것이 맞으나 JPA는 책을 사서 여기에 질문 드립니다 ㅠㅠ ) 회원과 주소는 양방향 관계를 두고 있습니다.회원과 주소를 연관관계 매핑하여 회원을 저장하면 영속성 전이를 통해주소가 같이 저장 됩니다. 그런데 문제는 둘다 영속 상태일때 주소를 제거 하면 delete 쿼리가 나가지 않았습니다.이런 저런 실험을 해본 결과 영속성 전이 때문에 삭제 되지 않은것으로 보았습니다.영속 대상인 주소를 삭제 하려고 했으나 회원의 연관관계인 Address는 그대로 있기 때문에영속성 전이로 인해 삭제가 되지 않았다로 판단 하였습니다. 영속성 컨텍스트에 주소만 있을 경우 주석 으로된 부분을 실행하면영속성 전이를 수행할 회원이 없기 때문에 delete 쿼리가 나가게 됩니다.제가 생각한게 맞는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밑의 예시의 경우 회원이 영속 상태인 경우영속성 전이 때문에 연관관계를 끊지 않으면 영속 대상인 주소가 delete가 안되는게 맞을까요? @DisplayName("회원과 연관된 주소를 제거할때 자식인 주소를 제거 하면 delete 쿼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Test void deleteAddress() { //given User user = new User("회원"); Address address = new Address("주소"); address.connectUser(user); //when em.persist(user); em.flush(); boolean isAddressManaged = em.contains(address); System.out.println("Address is managed? " + isAddressManaged); addressRepository.deleteById(address.getId()); em.flush(); em.clear(); //then //Address findAddress = addressRepository.findById(address.getId()).orElseThrow() //addressRepository.deleteById(findAddress.getId()); //em.flush(); } [ 회원 ]@Getter @Setter @Table(name = "users") @Entity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OneToOne(mappedBy = "user", cascade = CascadeType.PERSIST) private Address address; protected User() {} private String name; public void connectAddress(Address address){ this.address = address; } }@Getter @Entity public class Address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user_id") private User user; private String addressName; protected Address() {} public Address(String addressName) { this.addressName = addressName; } public void connectUser(User user){ this.user = user; user.connectAddress(this); } }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Elasticsearch 입문 (검색 최적화편)
Elasticsearch 설치하기 강의에서 질문 있습니다.
맥에서 터미널을 이용해서 진행하고 계신데요윈도우에서 이렇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는지 자세하게 설명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