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6
0
의지 할 곳이 선생님 밖에 없어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ㅠ,ㅠ
우리 회사에서 Elastic Search 를 이용해서 검색 기능을 서비스 출시 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데이터는 20~30만건 정도 됩니다.
Elastic Cloud 에서 비용에서 각각 기능에 따라 등급이 있더군요.
Standard
Gold
Platinum
Enterprise 차이
간단하게 이렇게 검색해서 한번 확인 해보니깐 잘 나와 있긴 합니다만...
아무래도 선생님이 제공해주신 강의 보고 처음 접해보고 이것을 상용에서 적용 하고자 하니 비용적 부분에서 고민을 안 할 수가 없습니다.
Enterprise 으로 갈수록 비용이 2배로 가긴 하지만 기능을 더 제공해주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20~30만개 정도 데이터를 활용 및 서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고
기능도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기능 안에서 해결이 가능 할 것 같습니다.
정리하자면
20~30만개 정도 데이터를 이용해 검색 기능 제공 해야함 (앞으로 데이터 추가는 예상 됩니다.)
기능은 선생님이 알려주신 기능에서 충분히 가능 할 것 같습니다.
가능한 모니터링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standard 도 괜찮은 선택인지 알고 싶네요. 아무래도 회사가 큰 규모가 아니다 보니 비용적 부분에서 생각 안 할 수가 없습니다. (모니터링 기능도 있었으면 좋겠네요.)
다시 한번 영상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앞으로 더 좋은 강의 기대하도록 하겠습니다.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2
0
안녕하세요 리나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
강의도 잘 들어주셔서 너무 감사드려요!!🥹
말씀해주신 상황에서는 standard 요금제로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검색 기능, 모니터링 기능이 standard 요금제에서도 다 사용이 가능합니다.
요금제별 기능 차이는 아래 링크가 정확할 것 같아서 체크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https://www.elastic.co/kr/pricing
우선 standard 요금제를 사용해보시다가
문제가 생기거나 다른 요금제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써야만 하는 상황이 생길 때
그 때 요금제를 바꾸셔도 늦지 않습니다 :D
또 Elasticsearch 관련해서 막막한 점 생기시면 부담 갖지 마시고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스토리지 용량을 30GB해도 괜찮을지?
-> 데이터의 형태와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실제 Elasticsearch에 20~30만개의 데이터를 집어넣고 역색인을 한 다음에 Elasticsearch의 저장 용량을 확인해보시는 게 제일 정확합니다! (Elasticsearch의 용량 확인 방법은 검색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으실거예용)
가용성 영역 을 1구역으로 설정해도 괜찮은지?
-> 자연적인 재해와 같은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서비스가 잠깐 중단되는 게 엄청 치명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1구역으로 설정하시더라도 괜찮습니다!
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ㅎㅎㅎ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리나님.
Elasticsearch 기능을 활용하여 검색 기능을 구현하려는 과정에서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Elastic Cloud의 플랜 선택 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Elastic Cloud는 다양한 플랜을 제공하며, 각 플랜은 기능과 지원 수준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Standard Plan: 기본 검색 및 분석 기능을 원하신다면 충분히 활용 가능하며, 비용 면에서 가장 경제적입니다. 20~30만 개의 데이터 검색에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니터링 등 고급 기능이 어느 정도 제한될 수 있습니다.
Gold Plan: Standard와의 차이점은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지원이 향상되지만, 24⁄7 기술 지원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latinum Plan: 24⁄7 기술 지원을 포함하고 있어, 만약 중대한 문제 해결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유리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기능도 포함될 가능성이 큽니다.
Enterprise Plan: 고급 기능과 고객 맞춤형 지원을 제공합니다. 만약 보안이나 비즈니스 분석과 같은 고급 데이터 분석 기능이 필요하다면 선택할 수 있습니다.
리나님께서 언급하신 데이터 양(20~30만 건)을 관리하고, 제가 제공한 기능으로 충분하시다면, Standard Plan도 충분히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모니터링 기능이 필요하시다면, 미리 Elastic에 문의하셔서 Standard Plan에서 모니터링 기능이 어떻게 지원되는지 확인하신 후 결정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인프런의 기존 강의에서도 모니터링이나 비용 절감과 관련된 팁을 얻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관련 URL을 통해 Elastic의 각 서비스 플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비교표를 확인하여 최종 결정을 내리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한가지 더 질문 하나 해도 괜찮을까요?
고려 해야 되는 상황이
스토리지 용량
가용성 영역 (1구역 ~ 3구역)
물론 스토리지 용량 높고, 3구역으로 선택하면 좋겠지만 그만큼 비용이 더 추가되더군요.
일단 상용 서비스에서
20~30만개 정도 데이터를 이용해 검색 기능 제공 해야함 (앞으로 데이터 추가는 예상 됩니다.)
기능은 선생님이 알려주신 기능에서 충분
요구사항이 있는데
스토리지 용량을 30GB, 그리고 가용성 영역 을 1구역 으로 해도 괜찮을지 궁금하네요..
==================
Elastic Cloud 스토리지 용량 30GB는 일반적으로 로깅 및 메트릭과 같은 소규모 사용 사례에 적절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사용량 패턴, 데이터 유형, 색인 설정에 따라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일단 검색을 해보니깐 부족할 수 있다고는 답변이 들어와서..
20~30만개 정도 데이터를 역색인 하는데 용량이 부족 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