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코틀린에서 value class 적용 시 문제
안녕하세요 코틀린으로 현재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현재 자바로 작성된 코드를 보고 설명과 함께 어떤 이유로 이런 코드를 작성한 것인지 생각하며, 코틀린으로 이 개념을 적용하면 어떻게 작성할 수 있을지 DDD와 클린 아키텍처를 코틀린 문법 활용하여 구상하는 연습 중입니다. 현재 Member 도메인 코드 개선 강의에서 value class 적용하여 필드의 값이 바뀌는 문제(email자리에 nickname이 오더라도 같은 String이라 컴파일 에러가 안 남)를 해결하려 시도했습니다 package org.example.splearn.domain @JvmInline value class Email( val value: String, ) @JvmInline value class Nickname( val value: String, ) @JvmInline value class PasswordHash( val value: String, ) class Member private constructor( val email: Email, var nickname: Nickname, var passwordHash: PasswordHash, var status: MemberStatus, ) { fun activate() { check(status == MemberStatus.PENDING) { "회원이 PENDING 상태가 아닙니다" } this.status = MemberStatus.ACTIVATE } fun deactivate() { check(status == MemberStatus.ACTIVATE) { "회원이 ACTIVE 상태가 아닙니다" } this.status = MemberStatus.DEACTIVATED } fun verifyPassword( password: String,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Boolean = passwordEncoder.matches(password, this.passwordHash.value) fun changeNickname(nickname: String) { this.nickname = Nickname(nickname) } fun changePassword( password: String,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 this.passwordHash = PasswordHash(passwordEncoder.encode(password)) } fun isActive(): Boolean = this.status == MemberStatus.ACTIVATE companion object { fun create( memberCreateRequest: MemberCreateRequest,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Member = Member( email = memberCreateRequest.email, nickname = memberCreateRequest.nickname, passwordHash = PasswordHash( passwordEncoder.encode(memberCreateRequest.password.value), ), status = MemberStatus.PENDING, ) } } 강의대에서는 static 메소드인 of에서 MemberCreateRequest를 파라미터로 사옹하고 있습니다. 코틀린이라 companion object를 사용했구요 그러던 중 "헥사고날 아키텍처의 특성을 고려하면 의존성 외부 로직인 dto가 내부로 향해야 하고 따라서 도메인이 dto에 의존하는 것이 괜찮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companion object { fun create( email: Email, nickname: Nickname, password: String,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Member = Member( email = email, nickname = nickname, passwordHash = PasswordHash( passwordEncoder.encode(password), ), status = MemberStatus.PENDING, ) }그래서 코드를 수정해 보면 이런 식으로 수정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서 토비님 의견이 어떠신지 여쭙고 싶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ERD 가장자리에 있는 도메인 테스트 질문
ERD 가장자리에 있는 도메인들은 선행적으로 존재해야하는 도메인들이 있다보니 테스트 코드 작성 시 given 부분이 너무 길어져요.어떻게 짜는게 좋은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안녕하세요 코틀린으로 강의 수강 시 도메인 코드 질문드립니다
좋은 추석 보내고 계신가요?현재 코틀린으로 강의를 따라해 보고 있습니다. class Member private constructor( val email: String, var nickname: String, var passwordHash: String, var status: MemberStatus, ) { fun activate() { check(status == MemberStatus.PENDING) { "회원이 PENDING 상태가 아닙니다" } this.status = MemberStatus.ACTIVATE } fun deactivate() { check(status == MemberStatus.ACTIVATE) { "회원이 ACTIVE 상태가 아닙니다" } this.status = MemberStatus.DEACTIVATED } fun verifyPassword( password: String,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Boolean = passwordEncoder.matches(password, this.passwordHash) fun changeNickname(nickname: String) { this.nickname = nickname } fun changePassword(password: String) { this.passwordHash = password } companion object { fun create( email: String, nickname: String, password: String,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Member = Member( email, nickname, passwordEncoder.encode(password), MemberStatus.PENDING, ) } }이러한 식으로 작성하였는데 자바에서는 const로 선언한 객체나 변수가 아닌 이상 기본적으로 가변입니다. 그런데 코틀린에서는 val, var 키워드에 따라서 var로 선언해야 가변 타입이 됩니다. Member 도메인 모델 확장 챕터 수강하고 있는데 이 경우는 도메인에서 가변 속성을 미리 정의하고 해당 속성들을 var로 선언하는 것이 맞을지, 혹은 val을 통해 불변성을 확보하고 새 객체를 생성하여 변경을 처리하는 것이 적합할지 궁금합니다.코틀린에서 도메인 코드를 작성할 때 자바와 다른 문법&개념과 도메인 중심 설계가 종종 난해할 때가 있네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Read Committed 격리 수준 사용 관련 질문
Non-repeatable read가 발생 가능한 Read Committed 격리 수준에서 어떻게 비즈니스 로직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바로 이해하지 못했다가, 검색 및 추론을 통하여 아래 [1]과 같이 이해했습니다.질문제가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질문드렸습니다! 혹시 근본적으로 오해한 부분이 있을까 두렵습니다ㅠㅠ제가 잘 이해한 것이 맞다면, Read Committed 격리 수준을 사용할 때 데이터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디테일들을 신경쓰면서 데이터 접근 계층의 로직을 작성하는지 궁금합니다.[1] 제가 이해한 Read Committed 격리 수준에서 데이터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가정 및 필요조건JPA를 사용한다.RDBMS가 Read Committed 격리 수준을 구현할 때 MVCC를 사용한다.이유: JPA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할 때 데이터베이스 전역적으로 잘 정의된 일관적인 스냅샷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기 때문JPA로 작성한 코드가 항상 JPA의 1차 캐시를 cache hit하는 경우 Repeatable Read 격리 수준처럼 사용해도 무방하다.JPA에서 Lazy Loading을 사용한다면, 다른 MVCC 스냅샷의 데이터가 조회될 때에도 비즈니스 로직의 정합성이 깨지지 않는 맥락에서만 사용한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마지막 헥사고날아키텍쳐 테스트
마지막 강의에서 진행한 헥사고날 아키텍처 테스트에서 저는 아래와 같이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데 어떻게 수정을 해야 할까요? 소스 코드는 동일한 것 같은데... 무엇이 차이인지 모르겠어요 13:09:39.840 [Test worker] INFO com.tngtech.archunit.core.PluginLoader -- Detected Java version 17.0.12Architecture Violation [Priority: MEDIUM] - Rule 'Layered architecture considering all dependencies, consisting oflayer 'domain' ('com.inflearn.splearn.domain..')layer 'application' ('com.inflearn.splearn.application..')layer 'adapter' ('com.inflearn.splearn.adapter..')where layer 'domain' may only be accessed by layers ['application', 'adapter']where layer 'application' may only be accessed by layers ['adapter']where layer 'adapter' may not be accessed by any layer' was violated (1 times):Method <com.inflearn.splearn.SplearnTestConfiguration.passwordEncoder()> calls method <com.inflearn.splearn.domain.member.MemberFixture.createPasswordEncoder()> in (SplearnTestConfiguration.java:19)java.lang.AssertionError: Architecture Violation [Priority: MEDIUM] - Rule 'Layered architecture considering all dependencies, consisting oflayer 'domain' ('com.inflearn.splearn.domain..')layer 'application' ('com.inflearn.splearn.application..')layer 'adapter' ('com.inflearn.splearn.adapter..')where layer 'domain' may only be accessed by layers ['application', 'adapter']where layer 'application' may only be accessed by layers ['adapter']where layer 'adapter' may not be accessed by any layer' was violated (1 times):Method <com.inflearn.splearn.SplearnTestConfiguration.passwordEncoder()> calls method <com.inflearn.splearn.domain.member.MemberFixture.createPasswordEncoder()> in (SplearnTestConfiguration.java:19) at com.tngtech.archunit.lang.ArchRule$Assertions.assertNoViolation(ArchRule.java:94) at com.tngtech.archunit.lang.ArchRule$Assertions.check(ArchRule.java:86) at com.tngtech.archunit.library.Architectures$LayeredArchitecture.check(Architectures.java:347) at com.inflearn.splearn.HexagonalArchitectureTest.hexagonalArchitecture(HexagonalArchitectureTest.java:22)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9) at com.tngtech.archunit.junit.internal.ReflectionUtils.invoke(ReflectionUtils.java:111) at com.tngtech.archunit.junit.internal.ReflectionUtils.invokeMethod(ReflectionUtils.java:103) at com.tngtech.archunit.junit.internal.ArchUnitTestDescriptor$ArchUnitMethodDescriptor.execute(ArchUnitTestDescriptor.java:203) at com.tngtech.archunit.junit.internal.ArchUnitTestDescriptor$ArchUnitMethodDescriptor.execute(ArchUnitTestDescriptor.java:173)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email과 패스워드 VO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 도메인 모델의 값 객체 도입편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패스워드는 passwordEncoder를 의존하여 암호화와 매치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메일 vo는 검증 패턴이 member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중복된 코드를 줄이기 위해서 변경하셨습니다. password도 이메일 vo처럼 매번 passwordEncoder를 주입받는 게 아니라 password VO를 만들어서 관리할 수 있을거같은데 패스워드는 의존성 주입으로 해결하게 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5부터...
섹션5부터 자바 프로젝트가 완전 바뀌어 있는데 만들어야될 db정보도 없고...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와 리액트로 구현하는 소셜 로그인
[소셜 로그인 16강] 로그인 실패 시 리다이렉트 관련 질문
16강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CustomLoginFailureHandler사용자가 로그인에 실패했을 때 호출되는 메서드에 대한 질문입니다. if(savedRequest != null) { String targetUrl = savedRequest.getRedirectUrl(); //사용자가 접근하려던 URL // 즉, 로그인에 실패했지만 사용자를 원래 있던 페이지로 보내줌 // 실패 시 사용자가 접근하려던 URL 로그 출력 log.info("[핸들러 - 사용자가 접근 시도한 URL]\n-> " + targetUrl); // 사용자가 접근하려던 URL로 리다이렉트 (로그인 실패 후에도 이동) response.sendRedirect(targetUrl); }그런데 if문의 마지막 줄을 보면 로그인 실패 후에도 targetUrl 즉, 사용자가 접근하려했던 페이지로 이동시킨다고 작성 되어 있는데 ... 로그인 실패 시에도 targetUrl로 리다이렉트시키는 이유가 뭔가요?? 로그인에 실패하면 로그인 페이지에 남아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초반에 h2 다운로드 과정 꼭 필요한가요?
[질문 내용]초반에 h2 다운로드 과정 꼭 필요한가요? h2다운로드 과정 없이 h2의존성 주입 후 바로 application.yml or properties에 코드 입력하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하이버네이트6에서의 최적화에 이은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left join이 쿼리에 실어지지 않아 의문을 갖던 중https://inf.run/8ctRk 이 질문에 답변해주신걸 보고 이해했습니다. @Query(value = "select m from Member m left join m.team") Page<Member> findByAge(int age, Pageable pageable);결론적으로 위와 같이 하면 쿼리에 join문이 붙어 잘 나갑니다. 다만 count 쿼리는 여전히 아래와 같은데 이 부분도 역시 마찬가지로 하이버네이트6에서 count 쿼리에서 join 문을 알아서 빼서 최적화해준건가요?페이징 쿼리 select m1_0.member_id, m1_0.age, t1_0.team_id, t1_0.name, m1_0.username from member m1_0 left join team t1_0 on t1_0.team_id=m1_0.team_id order by m1_0.username desc fetch first ? rows only카운트 쿼리 select count(m1_0.member_id) from member m1_0
-
해결됨Spring Boot, AWS로 백엔드 서비스 한 사이클 완성하기
https 설정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도커랑 cicd부분 보고저희 동아리 프로젝트 초기설정을 했습니다!동료가 소셜 로그인 구현한다고 해서 https 설정을 해달라고 하는데제가 예전에 배운 내용은nginx에 vi로 어떤 설정을 하고ec2 내에 certbot을 설치하는 것으로 기억합니다만약 이 강사님 이 알려주신 설정으로 이걸 하려면도커 컨테이너 들어가서 nginx에 vi로 문서를 작성하는게 맞을까요? 걱정되는게 그러면 컨테이너를 삭제후 재실행하면 문서를 또 작성해야 하는게 걱정됩니다제가 말한 방법이 맞는건지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ai한테도 도움을 요청했는데docker-compse.yml 에 쓰는 방식을 추천하는 것 같습니다 강사님께서 알려주신 docker-compse에 저 코드들을 붙여넣어도 괜찮을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강의 자료에 대해서 궁금해요
강의에서 나오는 자막들 따로 받거나 할 수는 없나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aws 배포할때 .env 파일에 저장한 환경변수에 관하여 여쭤볼게 있습니다
저는 application.yml 파일에서 mysql username 과 password 를 전부 .env 파일에 넣고 $ {} 를 써서 나타냈습니다. 그래서 .env 파일은 깃허브에 올리면 안돼서 배포해도 제대로 안돌아갈것 같아서 그런데. 혹시 강사님께서는 aws 배포하실때 db username, password 와 같은 민감한 정보들은 어떻게 처리하여 배포하시는걸 추천드리나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GlobalFilter, LoggingFilter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server: port: 8000 eureka: client: register-with-eureka: true fetch-registry: true service-url: defaultZone: http://localhost:8761/eureka spring: application: name: apiGateway-service cloud: gateway: server: webflux: default-filters: - name: GlobalFilter args: baseMessage: Spring Cloud Gateway WebFlux Global Filter preLogger: true postLogger: true routes: - id: user-service uri: lb://USER-SERVICE predicates: - Path=/user-service/** - id: first-service uri: lb://MY-FIRST-SERVICE predicates: - Path=/first-service/** filters: - AddRequestHeader=f-request, 1st-request-header-by-yaml - AddResponseHeader=f-response, 1st-response-header-from-yaml - name: LoggingFilter args: baseMessage: Spring Cloud Gateway WebFlux Logging Filter preLogger: true postLogger: true 다음처럼 apigateway의 설정파일을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두 필터가 모두 동작하지 않습니다. 필터 클래스 모두 강의와 동일하게 작성하였고, first-service와 apigateway-service 모두 유레카 서버에 잘 등록되며, api 게이트웨이 또한 동작을 정상적으로 합니다. 혹시 어느 부분에서 잘못되었는 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fetchResults()는 더이상 권장되지 않는다는데 맞나요?
찾아보니 아래처럼 나옵니다.```fetchResults() 는 Querydsl 5.x부터 deprecated(더 이상 권장되지 않음) 처리되었습니다. fetchResults() 는 count 쿼리와 content 쿼리를 내부적으로 두 번 실행해서 결과를 가져옵니다.즉, 전체 개수(total count)와 페이징된 결과(results)를 한 번에 반환하려고 했는데,JPA 환경에서는 count 쿼리 최적화 문제SQL이 복잡해질 경우 성능 저하 문제Querydsl 5.x 이후로는 직접 count 쿼리와 content 쿼리를 분리해서 호출하는 방식을 권장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Kafka Source Connect 버전 에러
안녕하게요 강의를 보고 있는데 Kafka Connect 이 부분이 기존의 zookeeper 에서 kraft 로 버전이 변경되서 지원을 안 하는데 혹시 다른 방법이 있을까 ? 싶어 질문 올립니다.참고로 블로그 도 여러개 봤는데 계속 에러가 걸려서 질문 올립니다. 정확히 kafka Connect 설치 를 하고 이거를 했을때 C:\Work\confluent-5.5.2>bin\windows\connect-distributed.bat etc\kafka\connect-distributed.properties Classpath is empty. Please build the project first e.g. by running 'gradlew jarAll' C:\Work\confluent-5.5.2> 윈도우이고 이런 에러가 계속 뜨는데 해결이 안됩니다.
-
해결됨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간단한 코드 질문!!
private String makeTempPassword() { StringBuffer buffer = new StringBuffer(); for(int i = 0; i < 10; i++){ buffer.append( (char) ( (int)(Math.random()*55) + 65 )); } return buffer.toString(); } 해당 코드에서 StringBuilder가 아닌 StringBuffer를 사용하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성능적으로 큰 차이는 없겠지만 혹시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save() vs saveAndFlush DB 통신 횟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영한님 안녕하세요.Spring Data JPA가 제공하는 save, saveAndFlush 메서드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흔히들 saveAndFlush는 save와 달리 트랜잭션 커밋시점이 아닌, 영속성 컨텍스트 변경 사항을 즉각 DB에 반영하여, DB 통신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고 합니다.for (int i = 0; i < 3; i++) { repository.save(entity); } 그런데, 제가 의문이 드는 점은 save 메서드도 위와 같은 상황이 있을 때,커밋 시점에 DB에 flush를 하기는 하지만, batch insert가 아니기 때문에 DB 통신 자체는 단 건으로 총 3번 일어나는 것 아닌가요?따라서, DB 통신 자체에서 saveAndFlush가 얻는 이점은 없다고 생각되는 데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임베디드 타입 예시 코드 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임베디드 타입 강의 (5:30)에서, @ManyToOne을 지웠는데, 강사님의 Team의 @OneToMany가 어떻게 되어 있기에 H2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했을 때, Member table에 FK로 TEAM_ID가 들어가게 되는지 (6:58)궁금합니다.저 같은 경우에는, Team의 어노테이션이 이렇게 되어있는데,@OneToMany(mappedBy = "team")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그대로 실행시켰을 때, 아래처럼 매핑이 잘못되었다는 문구가 뜹니다.Exception in thread "main" org.hibernate.AnnotationException: Collection 'hellojpa.Team.members' is 'mappedBy' a property named 'team' which does not exist in the target entity 'hellojpa.Member'
-
미해결Next.js 15: Full-Stack Development
한글로 할 일 등록시 리스트 업데이트가 되지않습니다.
안녕하세요.강의를 보면서 차근차근 작업중인데요. 테스트 하다보니 한글로 제목과 내용을 작성하고 등록을 하면 등록이 완료되었다고 뜨나 실제 리스트 페이지에선 업데이트가 되지않고 있습니다. 제가 설정을 빠트린게 있는걸까요? 실제로 영문이나 숫자로만 입력후 등록하면 리스트에도 잘 반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