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ddl-auto : create, update 질문
enum를 .ordinal로 설정하고나서 create로 하고나서 실행하면 해당 테이블이 완성이 된 다음 -> update로 바꾸고 string으로 바꾸고 테이블에 추가 insert를 하면 insert가 안되가주고요 저의생각에는 테이블 생성할때 enum에 ordinal이라는 제약을 주고 테이블 생성해서 테이블이 string을 거부하는게 아닌가 라는생각이 드는데 맞나여? 근데 또 영상에서는 테이블 생성하고 나서 ordinal -> string으로 바꾸셔서 insert하는데 잘 삽입이되는데 제가 이해한게 아닌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DTO 관련 질문
저희 회사에서는 코드를 model이나 dto 코드를 만들때 보통하나로 전부 request보내고 받고 다하던데이 강의에서는 용도마다 UserCreateRequest, UserUpdateRequest, UserResponse 이렇게 따로 만들던데 혹시 그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관계를 하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양방향 관계를 설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씀하셨는데, 12:36초 경에 Order-OrderItem 간의 양방향 관계는 설정하는 것이 좋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Member-Order 관계에서 Order -> Member 단방향 관계 설정 후 Member에서 Order 목록이 필요한 경우 Order의 FK를 통해 시작하는 것처럼, Order에서 OrderItem의 리스트가 필요할 때 OrderItem의 order FK를 활용해서 구하면 되는 것 아닌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쿠키에 accessToken, refreshToken을 담고, 조회 시에 undefined
쿠키안에 accessToken과 refreshToken을 JSON.stringfy()로 문자열로 담아주는데 getCookie()를 할시에 object타입으로 전달되어서 accessToken과 refreshToken이 undefined로 잡혀 갱신이안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와 데이터 소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수업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기본적으로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서는 하나의 DataSource를 기준으로 하나의 Connection을 보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강의의 예제는 동일 데이터소스에 대한 커넥션을 두개의 트랜잭션 매니저가 사용하는걸로 나와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만약 외부 트랜잭션 매니저와 내부 트랜잭션 매니저가 서로 다른 데이터 소스를 참조하고 있다면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를 통해 서로 다른 커넥션을 참조하려고 할텐데,그래도 내부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에 참여할 수 있나? 에 대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32강 강의중 인텔리제이 문제
다름 아니라 강사님께서 강의 하실땐 32강 도중에 User class에 User 부분이 빨간 글씨가 나오는데왜 제가 사용하는 인텔리제이에서는 빨간 글씨가 안나오나요?그리고 좌측에 빈 객체들에 콩모양도 안나타나요혹시 제껀 무료인 Community버전인데 강사님인 유료버전이라서 그런가요?아니면 설정을 따로 해야하나요?구글에 찾아봐도 잘 안나와서 물어봅니다.학습관련 질문이 아니라 죄송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를 activate 시 deactiavatedAt 초기화 필요성 질문입니다
Member activate 호출 시 MemberDetail의 activate 또한 호출 하게 되는데요.이때 MemberDetail의 activate 로직에서 this.deactivatedAt = null 을 통해 비활성 일시는 초기화 해주어야활성 -> 비활성 -> 활성 -> 비활성 시 deactivatedAt이 null임으로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벌크 연산과 flush, clear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앞선 로직으로 1차 캐시에 (이름: entity, 값: 10), ...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스냅샷)벌크 연산을 수행하여 모든 DB 로우 값을 5씩 곱합니다. 연산을 마치면, 1차 캐시에는 (entity, 10), ...DB에는 (entity, 50), ...과 같은 값이 저장되어 있을 것입니다. 제가 알기로, flush()는 스냅샷과 비교하여 1차 캐시의 변경 사항을 DB에 반영합니다. (실행하여도 1차 캐시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벌크 연산 후 flush, clear를 연달아 실행하면 1차 캐시의 값이 벌크 연산을 덮어씌워 값이 오염되는 것 아닌가요?따라서 flush -> 벌크 연산 -> clear가 맞는 호출 순서가 아닐까 궁금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RegisterTest에서 @SpringBootTest 질문
MemberRegisterTest를 진행할 때 @SpringBootTest를 사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했는데요서비스 테스트에는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를 사용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헥사고날 아키텍처에서는 애플리케이션과 도메인이 중심이 되기 때문에 서비스에서 @SpringBootTest를 사용한걸까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ApiControllerAdvice에서 2개 이상의 Exception 타입 핸들링
안녕하세요.ApiControllerAdvice에서 하나의 Handler 메서드에서 아래 2개 Exeception 타입을 처리하시도록 변경하셨는데요.- DuplicateEmailException- DuplicateProfileException 이렇게 할 경우, 아래와 같이 두 Exception의 공통 타입인 RuntimeException 객체로 파라미터를 받아야 하는거 아닐까요?@ExceptionHandler({DuplicateEmailException.class, DuplicateProfileException.class}) public ProblemDetail duplicateExceptionHandler(RuntimeException e) { return getProblemDetail(HttpStatus.CONFLICT, e); } 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와 MemberDetail의 연관관계 주인이 바뀐게 아닌가 싶습니다.
안녕하세요.Member와 MemberDetail의 연관관계 주인이 바뀐게 아닌가 싶습니다.비록 1:1 관계이고, 두 객체 인스턴스가 동시에 생성되고 테이블에 영속화 되게끔 설정된 거는 맞지만,논리적으로 Member 엔터티가 상위 엔터티이고, MemberDetail이 하위 엔터티가 맞는 것 같아요.추후 Member 엔터티를 참조하는 다른 엔터티가 만들어질텐데,MemberDetail을 참조하는게 아니라 Member를 참조해야 하고요.관련한 의견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DuplicateEmailException에 @ResponseStatus(HttpStatus.CONFLICT) 애너테이션 사용
안녕하세요.도메인 영역에 @Entity, @Query 애너테이션을 사용하는게 문제가 없다는 내용과 이유를 강의에서도, 질문&답변에서도 잘 설명해 주셨고, 모두 확인했습니다. 동일한 이유로,강의에서 DuplicateEmailException에 @ResponseStatus 애너테이션 사용 시, 의존성 문제에 대해서 언급한 부분도, JPA 애너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는 동일한 근거로 허용되어도 문제가 없는게 아닐까요?물론, @ResponseStatus 사용 시에 상태 코드 외에 추가적인 메시지 설정이 불가능하다는 등 단점이 있어서 사용하지는 않겠지만요. 그저 기술 의존성 침투 관점에서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21강 생성자에서 의존성 주입과 관련하여 질문 있습니다.
생성자에서 필드에 의존성 주입하면예를 들어 컨트롤러 생성자를 만들때 서비스 필드에 의존성 주입해주면 그때는 @Autowired가 자동으로 존재한다고 했는데 이 @Autowired 는 생성자의 파라미터를 전부 빈으로 등록시켜주는건가요?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생성자의 파라미터가 객체가 아닌 경우는 어떻게 되는건가요?혹시 객체 타입 파라미터만 빈으로 등록시켜주고 객체가 아닌 파라미터는 빈으로 등록시켜주지 않나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Run As Intellij 로 변경시 Q타입 import 불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pringBoot 3.x]```java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5.4'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7'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21) }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runtimeOnly 'com.h2database:h2'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강의파일에 있는 그대로 build.gradle 설정 완료후 compileJava를 진행하면 build/generated/sources/annotationProcessor/java/main/study/querydsl/entity/QHello.java까지 생성이 됩니다. 하지만,build and run using : intellijRun tests using : intellij 로 변경하면 Q타입 인식이 안됩니다. 1. 버전 변경 진행2. Annotation Processor enable 체크 확인 3. projectStructure -> modules -> build 부분 source 체크 진행 3가지 모든 과정을 진행해보았는데 동일했습니다. 이럴때는 Run as intellij 가 아닌 Gradle로 두어서 진행해야 할까요?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20강 강의 내용중 Interface 만드는 부분에서 질문이 있어요
Interface 만드는 중에 메서드 정의할때 public은 추상 메서드라면 지우셨는데 추상 메서드는 public을 왜 지워야 하나요? 아니면 안 지워도 되는데 어떤 이유로 인해 지운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순수 JPA 리포지토리 코드 수정부분
[질문 내용]메소드 이름으로 쿼리 생성 챕터의 첫 예제 코드에서JPA로 직접 작성한 findByUsernameAnd... 메서드 내부createQuery 부분에서 Member.class 를 파라미터로 같이 전달해야 할 것 같아서 글 작성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소셜 로그인 질문 있습니다
social 유저는 기존 회원보다 위험한 유저이므로 회원 정보 수정 페이지로 이동시켜야 한다 라고 하셨는데 이유가 뭔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QHello import하기 문제 발생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항상 테스트를 컴파일할때 buildTools를 Gradle이 아닌 intelliJ로 해야지 잘 돌아갔었습니다. 그런데 QHello를 import 하기 위해서는 intelliJ가 아닌 Gradle을 사용해야 import가 가능했습니다. 그런데 Gradle을 사용하면 테스트 코드 실행시 에러가 나오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미해결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인증 에러
학습중 궁금한 것은 언제든 문의 하세요.질문을 최대한 자세히 남겨주시면 반드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도 요청해주시면 강의 자료를 업데이트 해서 제공할 예정입니다.application.ymlspring: application: name: HelloMessageQueue rabbitmq: host: localhost port: 5672 username: admin password: admin server: port: 8080 docker-compose.ymlservices: rabbitmq: image: rabbitmq:3-management container_name: mq ports: - "5672:5672" - "15672:15672" environment: RABBITMQ_ERLANG_COOKIE: rabbitmqCookie RABBITMQ_DEFAULT_USER: admin RABBITMQ_DEFAULT_PASS: admin이렇게 해서 실행하면2025-08-08T11:17:15.145+09:00 ERROR 11684 --- [HelloMessageQueue] [ restartedMain] o.s.boot.SpringApplication : Application run failed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Exception: Failed to start bean 'container'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LifecycleProcessor.doStart(DefaultLifecycleProcessor.java:408) ~[spring-context-6.2.9.jar:6.2.9]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LifecycleProcessor.doStart(DefaultLifecycleProcessor.java:394) ~[spring-context-6.2.9.jar:6.2.9]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LifecycleProcessor$LifecycleGroup.start(DefaultLifecycleProcessor.java:586) ~[spring-context-6.2.9.jar:6.2.9] at java.base/java.lang.Iterable.forEach(Iterable.java:75) ~[na:na]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LifecycleProcessor.startBeans(DefaultLifecycleProcessor.java:364) ~[spring-context-6.2.9.jar:6.2.9]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LifecycleProcessor.onRefresh(DefaultLifecycleProcessor.java:310) ~[spring-context-6.2.9.jar:6.2.9]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1006) ~[spring-context-6.2.9.jar:6.2.9]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630) ~[spring-context-6.2.9.jar:6.2.9] a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context.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refresh(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java:146) ~[spring-boot-3.5.4.jar:3.5.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52) ~[spring-boot-3.5.4.jar:3.5.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39) ~[spring-boot-3.5.4.jar:3.5.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18) ~[spring-boot-3.5.4.jar:3.5.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61) ~[spring-boot-3.5.4.jar:3.5.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50) ~[spring-boot-3.5.4.jar:3.5.4] at com.study.rabbitmq.RabbitmqApplication.main(RabbitmqApplication.java:10) ~[main/: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na:na]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na:na] at org.springframework.boot.devtools.restart.RestartLauncher.run(RestartLauncher.java:50) ~[spring-boot-devtools-3.5.4.jar:3.5.4]Caused by: org.springframework.amqp.AmqpIllegalStateException: Fatal exception on listener startup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listener.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waitForConsumersToStart(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java:643)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listener.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doStart(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java:603)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listener.AbstractMessageListenerContainer.start(AbstractMessageListenerContainer.java:1417)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LifecycleProcessor.doStart(DefaultLifecycleProcessor.java:405) ~[spring-context-6.2.9.jar:6.2.9] ... 19 common frames omittedCaused by: org.springframework.amqp.rabbit.listener.exception.FatalListenerStartupException: Authentication failure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listener.BlockingQueueConsumer.start(BlockingQueueConsumer.java:631)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listener.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AsyncMessageProcessingConsumer.initialize(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java:1482)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listener.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AsyncMessageProcessingConsumer.run(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java:1322) ~[spring-rabbit-3.2.6.jar:3.2.6]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42) ~[na:na]Caused by: org.springframework.amqp.AmqpAuthenticationException: com.rabbitmq.client.AuthenticationFailureException: ACCESS_REFUSED - Login was refused using authentication mechanism PLAIN. For details see the broker logfile.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support.RabbitExceptionTranslator.convertRabbitAccessException(RabbitExceptionTranslator.java:64)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connection.AbstractConnectionFactory.createBareConnection(AbstractConnectionFactory.java:632)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connection.CachingConnectionFactory.createConnection(CachingConnectionFactory.java:726)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connection.ConnectionFactoryUtils.createConnection(ConnectionFactoryUtils.java:257)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connection.ConnectionFactoryUtils$RabbitResourceFactory.createConnection(ConnectionFactoryUtils.java:345)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connection.ConnectionFactoryUtils.doGetTransactionalResourceHolder(ConnectionFactoryUtils.java:140)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connection.ConnectionFactoryUtils.getTransactionalResourceHolder(ConnectionFactoryUtils.java:102)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connection.ConnectionFactoryUtils.getTransactionalResourceHolder(ConnectionFactoryUtils.java:85)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listener.BlockingQueueConsumer.start(BlockingQueueConsumer.java:625) ~[spring-rabbit-3.2.6.jar:3.2.6] ... 3 common frames omittedCaused by: com.rabbitmq.client.AuthenticationFailureException: ACCESS_REFUSED - Login was refused using authentication mechanism PLAIN. For details see the broker logfile. at com.rabbitmq.client.impl.AMQConnection.start(AMQConnection.java:395) ~[amqp-client-5.25.0.jar:5.25.0] at com.rabbitmq.client.ConnectionFactory.newConnection(ConnectionFactory.java:1251) ~[amqp-client-5.25.0.jar:5.25.0] at com.rabbitmq.client.ConnectionFactory.newConnection(ConnectionFactory.java:1198) ~[amqp-client-5.25.0.jar:5.25.0]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connection.AbstractConnectionFactory.connectAddresses(AbstractConnectionFactory.java:678)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connection.AbstractConnectionFactory.connect(AbstractConnectionFactory.java:647) ~[spring-rabbit-3.2.6.jar:3.2.6] at org.springframework.amqp.rabbit.connection.AbstractConnectionFactory.createBareConnection(AbstractConnectionFactory.java:593) ~[spring-rabbit-3.2.6.jar:3.2.6] ... 10 common frames omitted 이 에러가 발생합니다계정도 있는데 인증이 안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JWT 설정 후 JSON 데이터가 문자열로 옵니다...
📤 before requestjwtUtil.ts:30 ✅ Response ReceivedjwtUtil.ts:34 📦 Content-Type: application/jsonjwtUtil.ts:35 🧾 typeof res.data: stringcontent-type은 json 형식으로 맞춰 주었는데 정작 데이터가 String으로 와서 list에 뿌려주지를 못하고 있습니다.Postman으로 확인했을 때는 정상적으로 JSON 데이터를 반환받는데 리액트에서 확인할려면 res.data가 "{\"dtoList\":[{\"tno\":115,\"title\":\"123zzzㅋㅋㅋㅋ\",\"content\":null,\"complete\":false,\"dueDate\":\"2025-08-07\",\"writer\":\"123\"}위와 같이 스트링 형식으로 변환되어서 들어와서 오류가 생깁니다.어디가 문제일까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