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9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깜팅이입니다. 이해가 된 것 같은데 애매하게 안 된 거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
양방향 연관 관계를 설정할 때 한쪽에 mappedBy를 지정해서 '연관 관계의 주인'을 정해야 하는데 이게 단순히 JPA가 외래 키를 관리할 객체를 하나만 정하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성능이나 SQL 실행 방식에도 실제로 영향을 주는 건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깜팅이님.
JPA에서 양방향 연관 관계를 설정할 때 연관 관계의 주인을 정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 주인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외래 키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그렇다면 왜 주인을 설정해야 할까요? 몇 가지 핵심 이유가 있습니다.
데이터 일관성 유지: 주인은 외래 키를 업데이트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인을 정확히 정하여 엔티티 간의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능 최적화: 주인을 명확히 정하지 않으면 JPA는 어떤 쪽을 통해 데이터를 수정해야 할지 알지 못합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SQL 쿼리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인을 명확히 정하면 필요 없는 수정 쿼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SQL 실행 방식 최적화: 주인이 설정된 방향으로 SQL이 생성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JPA가 효율적으로 SQL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인 설정은 어떤 방향으로 데이터를 가져오고 업데이트할지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JPA는 명확한 주인 설정을 요구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 일관성과 성능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는 이와 관련된 질문들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mappedBy
의 의미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