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Register 질문드립니다.
domain 패키지 안에 activate메서드가 있는데 포트 역할을 하는 MemberRegister 인터페이스에 activate메서드가 또 필요한 이유가 어떤건가요??activate는 외부로 공개될 필요가 없는거 아닌가용??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이미지 최적화 관련 질문
섹션9. 이미지 최적화 수강중 궁금한 내용이 있습니다. 강의 내용은 넥스트에서 제공하는 image 컴포넌트를 사용할 경우 이미지 파일이 webp로 변환되어 성능 최적화 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혹시 이미지 확장자 중 webp와 jpg가 동시에 불러올 수 있도록 컴포넌트를 커스텀 할 수 있나요?
-
미해결[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강의와 아이콘이 달라 질문 드립니다.
강의에서는 스타일이 사각형이고, 배리어블이 동그랗다고 하셨는데, 제 피그마상에서는 그 둘이 반대로 보이는데, 이번 업데이트 이후로 바뀐걸까요? 스타일에서는 동그랗게 보이는데, fill부분에서 색상선택시 밑 사진처럼 보입니다.
-
해결됨<밑바닥부터 만들면서 배우는 LLM> 완독 챌린지
오타 발견했어요 >_<
강의와는 상관없지만, 번역자님의 강의라서 표시해봅니다. 249페이지model_state_dict = troch.load("review_classifier.pth, map_location=device")-->model_state_dict = troch.load("review_classifier.pth", map_location=device) 255페이지 url 에 오타 rickipark -> rickieparkurl = ( 'https://raw.githubusercontent.com/rickiepark/llm-from-scratch' '/main/ch07/01_main-chapter-code/instruction-data.json')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오타제보] 6-4. 캡슐화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사소하지만 더 나은 품질을 위해 제보 드립니다. 6-4. 캡슐화 강의 = 7분19초SOLID 원칙 개방-폐쇄 원칙 약어 수정 필요LSP > OCP개방-폐쇄 원칙의 약어가 이전 설명의 리스코프 치환 원칙의 약어로 잘 못 표기된것으로 보입니다.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한 번에 끝내는 자바스크립트: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SPA 개발까지
header 개발 새로고침 오류
검색어 입력 후 새로고침을 하면 Failed to load resource: the server responded with a status of 500 () 이와 같은 오류가 뜨는데 왜 그러는걸까요?그리고 그 밑에 SyntaxError: Unexpected token '<', "<!DOCTYPE "... is not valid JSON 이렇게 함께 콘솔창에 나옵니다.
-
미해결SQL 강의가 알려주지 않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문제 정의
실무에 데이터 분석을 접목해보고 싶은데...
어떤 파트이든 데이터를 사용하는 상황이 된 요즘, 데이터 분석을 현업에 적용해보고 싶은데현실은 업무 쳐내기에 바쁘고 배운 SQL은 어디다가 적용해야할 지 막막하네요...윗선에서 데이터 분석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스스로 데이터를 뽑아내어 분석을 통해 리더의 의사결정을 이끌어내보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
미해결
백준과 프로그래머스 시간복잡도 문제 질문
백준의 경우 제한시간이 1초라고 뜨는데프로그래머스 시간제한은 10초라고 뜹니다.문제 풀때 시간복잡도 계산하려고하는데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백준의 1초가 프로그래머스에서의 10초라고 생각하면 되는건가요??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리스코프 치환원칙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6-4 캡슐화에서 서브타입이 슈퍼타입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SOLID 원칙 중 리스코프 치환원칙이라고 하셨는데 제가 알고있는 리스코프 치환원칙은 서브타입은 슈퍼타입을 대체 할 수 있어야 하고 슈퍼타입에서의 행위를 서브타입에서도 동일한 결과값이 예상될 수 있어야한다로 알고있습니다!e.g) Collection의 add 메소드는 어떤 서브타입이여도 "추가"한다는 행위가 되어야한다"서브타입이 슈퍼타입을 대체할 수 있다" 도 리스코프치환원칙의 특징이 맞지만 해당 원칙이 전하려는 주된 내용은 행위의 같은 예상 결과값으로 보여서요!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많이 사용되는 패턴의 순서를 정한다면 어떤 순서일까요?
안녕하세요.강의잘들었습니다. 제가 모르고 사용한 패턴들이 많이 보이네요. 그떄 그떄 상황에 맞게 사용을 하면 될 것 같긴 한데.. 그래도 자주사용하는 패턴들의 순서를 매긴 다면 어떻게 될까요?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Apache Flink
State Management & Fault Tolerance 부분 설명이 하나도 이해가 안 돼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중 이 페이지가 도저히 이해가 안 돼서 추가적으로 (되도록이면 한글로) 풀어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질문드릴 내용과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확인하는 부분 두 부분으로 나눠서 작성해두었습니다. [질문드릴 내용]First Class Support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왜 First Class라는 용어를 사용하나요?Periodic checkpointing, Robust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유추상.. Periodic checkpointing은 주기적으로 체크포인트를 지정해서 체크포인트 기준으로 다시 동작시키기 때문에 중복 처리를 할 수 있는데, Flink는 exactly once를 지원하기 때문에 무조건 한 번만 실행함을 보장하는 건가요?Backpressure는 데이터가 많이 들어와 병목이 생길 때 처리인데, Spark는 지원 범위가 좁고 Flink는 세밀하게 지원 가능한건가요?추가로 fine-grained 용어가 무슨 뜻인지도 궁금합니다.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확인 부탁드려요]maintain state across events: flink가 event 기반으로 동작하고, 이벤트간의 상태를 알고 있다는 뜻인가요?Spark이 Standalone하고 윈도우 사이에 연결이 없다: 추측상 데이터를 윈도우 단위로 잘라서 처리하고, 윈도우끼리 상태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뜻 맞을까요? [설명 스크립트]Apache Flinke Better Fault Tolerancee-Consistency를 가지고요.Across Events 간의 maintain 합니다.예를 들어서 유저 간의 세션 데이터를 다 계속 모아서 사용할 수가 있어요.그에 반해서 Spark는 심플하고요.Standalone, 윈도우 간에 연결하는 게 없고요.Light, Stateful, Workload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스파크는 스테이트풀 스트림을 베이직 서포트만 한다 고 하는 거고요.Flink는 Across 이벤트별로 스테이트를 메인테인하기 때문에 First Class Support로 시작할 때부터 그런 식으로 만들었습니다.체크포인트 측면에서도 Spark는 Periodically 체크 포인트를 하지만 Flink는 Robust, Exactly Once 체크포인트를 지원해서 아 주 작은,very low한 오버헤드를 가지고 있습니다Backpressure 같은 경우는 데이터가 엄청나게 많이 들어오잖아요 그럴 경우에 어떻게 핸들할 건가 기본적인 것만 스파크는 서 포트를 하구요 fine-grained 하지않습니다.그에 반해서 이제 Flink 같은 경우에는 백프레셔 메카니즘이 기본적으로 빌트인되어있기 때문에 Smooth flow control과 stability가 같이 들어 있습니다.
-
미해결동영상으로 배우는 PTC Creo Parametric 6.0 Assembly & Drawing
29강 탑다운 설계 관련
29강 탑다운 설계 강의를 보고 따라하는데, 1. 형상 복사 항목이 비활성화 되어있습니다.컴포넌트 생성에 뼈대모델이 비활성화 되어있습니다활성화하는방법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AI 시대, 반나절 만에 웹사이트 개발부터 배포까지 바이브 코딩 with MCP & Gemini CLI
명령 프롬프트 복원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명령 프롬프트 창을 나가면, 이전 대화한 결과물이 모두 사라지는 데요. 강의 처음 지시사항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 외에 방법이 없나요?
-
미해결graphRAG - Neo4J로 구현하는 지식 그래프 기반 RAG 시스템 (feat. LangChain)
프로젝트 4 법률 실습데이터 존재하지 않음
프로젝트 4번에서 제공해주는 실습데이터의 zip안에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법령 사이트 들어가서 pdf로 다운받아서 실습을 진행했는데 결과가 다르게 나옵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CompressedFlag 질문
캐릭터 움직임 구조체에 CompressedFlag가 8개 있는데, 일반 개발자가 사용할 수 있는 게 4개 남았다면 좀 적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규모가 좀 큰 게임이라면 특수한 이동 능력이 4개보다는 더 많지 않을까 싶은데, 실제로는 어떤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택배차 즉 Frame의 생명주기
와 이 어려운 흐름을 단박에 이해시켜주시다니 너무 감사합니다...강의내용에는 막힌점 없이 다 이해되었으나, 살짝 이야기가 나오다만 내용이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TCP 통신 중 택배 박스인 패킷이 도착했다면, 택배차인 프레임이 사라진다고 하셨는데, 이 데이터 단위의 생명주기와 소멸 메커니즘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일단 저 나름대로 몇 가지 시나리오를 떠올려 보았습니다.타임아웃 기반: 프레임이 출발할 때부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메모리에서 해제되도록 타임아웃 옵션을 물고 통신을 시작하는 것인지.트리거: 패킷 수신을 인지하는 순간, 하위 계층에 있는 프레임(택배차)을 소멸시키는 특정 트리거를 보내는 것인지. 제가 생각해 본 이 경우의 수 중에 정답이 있는지, 혹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프레임의 생명주기가 관리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Service 코드 작성 중 질의
안녕하세요 실습 중 컴파일 오류가 왜 발생하는지 이해가 안되어 질문 남깁니다.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EmailSender emailSender; private final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해당 코드에서 EmailSender와 PasswordEncoder 부분에서 Could not autowire. No beans of 'EmailSender' type found.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final을 제거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는데요 하지만 github 페이지에 올려주신 소스코드를 보면 현재 영상 시점과 코드 구조가 100% 일치하지는 않지만 스프링 빈 관련 설정을 따로 해준 것 같진 않아보입니다만.. 토비님 영상에서는 오류가 없고 제 코드에서는 컴파일 오류가 나네요. 어떤 시점에 따로 Spring Bean 관련 설정이 되어있는게 있다던가.. 아님 제가 빼먹은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문제가 되는 부분 전체 코드 첨부드립니다. 시간되실 때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ackage com.ggne.splearn.application.required; import com.ggne.splearn.domain.Email; /** * 이메일을 발송한다. */ public interface EmailSender { void send(Email email, String subject, String body); }package com.ggne.splearn.domain; public interface PasswordEncoder { String encode(String password); boolean matches(String password, String passwordHash); }
-
미해결취업/이직에 성공할 수 밖에 없는 포트폴리오 전략 강의
신입 프로젝트 선별할때
프로젝트에 올리기 좋은 첫번째 카테고리를 실제 런칭한 프로젝트로 뽑으셨는데, 동아리나 인턴, 해커톤 프로젝트가 아예 없이 케이스 스터디로만 제출했을때는 메리트가 전혀 없을까요? 혼자 작업한 프로젝트만 있는 상태인데 한번이라도 실제 런칭을 한게 중요할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서비스 디스커버리 종류
유레카 외에 최근에 자주 사용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는 어떤게 있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최종 출력값 질문
15. 포인터의 개념과 활용 (1. 메모리 주소에 접근하자) 21:05초에서 최종 출력값이 개행이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최종 출력값은 42100이 되어야하는 거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