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SS AA님의 프로필 이미지
SS AA

작성한 질문수

취업/이직에 성공할 수 밖에 없는 포트폴리오 전략 강의

실제 합격 포트폴리오로 보는 프로젝트 선별법

신입 프로젝트 선별할때

작성

·

11

0

프로젝트에 올리기 좋은 첫번째 카테고리를 실제 런칭한 프로젝트로 뽑으셨는데, 동아리나 인턴, 해커톤 프로젝트가 아예 없이 케이스 스터디로만 제출했을때는 메리트가 전혀 없을까요? 혼자 작업한 프로젝트만 있는 상태인데 한번이라도 실제 런칭을 한게 중요할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S AA님,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질문을 주셨네요.

실제 런칭된 프로젝트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있다면 분명히 큰 장점이 됩니다. 이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경험한 제품의 디자인에 기여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든 디자이너가 실무 경험을 갖추지는 못했을 수 있기에, 실제 런칭된 경험이 없더라도 다른 요소들로 차별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1. 케이스 스터디의 중요성: 케이스 스터디는 문제 해결 능력과 디자인 프로세스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디자인 과정에서의 문제 정의, 해결 과정, 결과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는지를 설명하세요.

  2. 연습 프로젝트: 혼자 진행한 프로젝트라도 프로젝트의 목표, 사용자 조사, 프로토타이핑, 사용자 피드백 적용 등 UX 디자인의 전체 과정을 충실히 담아낸다면, 그 자체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습니다.

  3. 비교 가능한 연구 방법 사용: 업계의 현행 트렌드와 표준을 반영한 프로젝트 구성이 중요합니다. 사용자 경험(UX)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와 분석 능력을 보여주세요.

  4. 협업 경험 강조: 비록 혼자 진행한 프로젝트일지라도, 그 안에서 협업이 필요한 부분(가상의 시나리오)을 설정하여 협업 능력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아래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람체직 경험 없이도 포트폴리오에서 당신의 강점을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를 통해 신입 디자이너로서의 가능성을 최대한 어필하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SS AA님의 프로필 이미지
SS AA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