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피처엔지니어링 13.00초 부분 질문이 있습니다.
for col in cols le = labelencoder()C_Train[col] = le.fit_transform(C_train[col]) 여기에서요. col 이라는 피처는 for col 반복문 에서 처음 생겼는데 C_train[col] 변수에 담을 transform(c_train[col])의 피처 col은 어디서 생겨난지 모르겟어서요.. 반복문 처음에 col로 피처를 생성한거를 c_train[col]이라고 명시하는 순간 col 칼럼이 생기면서 그 값을 알아서 가져오는 건가요???
-
미해결React 완벽 마스터: 기초 개념부터 린캔버스 프로젝트까지
린캔버스 프로젝트 공부중에 z인덱스 값.
선생님 린캔버스 프로젝트를 따라서 공부하고 있는데요.해더부분에 햄버거 버튼을 클릭하면 나오는 aside 메뉴가 z-9999를 줬는데요홈에 있는 돋보기가 더 위에서 노출되서요. 홈에 있는 서치 아이콘은 z-0으로 줬거든요 제가 뭘 잘못하고 있을까요 ㅠ
-
미해결초보 기획자/PM을 위한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
이어기 듣기 안되고, 처음부터 다시 듣기만 됩니다. 해결해 주세요 ㅠ.ㅠ
이어기 듣기 안되고, 처음부터 다시 듣기만 됩니다. 해결해 주세요 ㅠ.ㅠ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HotArticle 관련 테스트 중에 질문드립니다.(verify, handle 관련)
안녕하세요. 강의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Hot-article 관련 테스트 코드 중, verify 메소드에 대해 잘 몰라서 하는 질문일수도 있겠으나 헷갈리어 질문 드립니다.HotArticleServiceTest.java 코드를 작성중에@Test void handleEventIfScoreUpdatableEventTest() { // given Event event = mock(Event.class); given(event.getType()).willReturn(mock(EventType.class)); EventHandler eventHandler = mock(EventHandler.class); given(eventHandler.supports(event)).willReturn(true); given(eventHandlers.stream()).willReturn(Stream.of(eventHandler)); // when hotArticleService.handleEvent(event); // then verify(eventHandler, never()).handle(event); verify(hotArticleScoreUpdater).update(event, eventHandler); }위의 코드에서, verify(eventHanler, never()).handle(event); 로 검증하는 부분이 왜 never()가 되는걸까요?강의중에 eventHandler가 바로 불리지 않는다고 말씀하시긴 하셨는데, HotArticleService.java의 handleEvent() 메소드 안에서 hotArticleScoreUpdater.update(event, eventHandler) 를 호출하면 update()에서 전달한 eventHandler 의 handle()메소드를 결국에는 사용하게 되지 않나요?verify가 외부클래스인 HotArticleScoreUpdater의 메소드에서 사용하는거까지는 검지하지 못하기 때문일까요?
-
미해결실리콘밸리 데이터 리더가 알려주는 Airflow 기초
Airflow 웹 UI에서 파일 디렉토리 구조 확인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앞서 Airflow 예제를 개선해보자 (v3) - 실습 편」 강의 수강 중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DAG 실행 시 생성되는 tmp 파일이 제대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어, CLI 환경이 아닌 웹 UI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알아보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opt/airflow 디렉토리 구조는 CLI 환경에서만 확인 가능한 것인지, 웹 UI상에서는 해당 경로의 파일 구조를 직접 확인할 수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추가로 확인이 가능한 부분이 있다면 현업에서는 어떻게 주로 확인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tls인증서 관련시
반면, nginx에 인증서를 넣을때는 이런 도메인이름( DNS Name : *.com ) 을 사면 여러 어플리케이션에 적욜수 있는데 이때는 비용이 더든다는 단점!이 있다고 말씀하셨는데요 nginx에 인증서를 넣을때 말고 ingress에 저런 도메인을 넣을수는 없다는 얘긴가요? nginx에 인증서 넣을때 *.com만 넣을수있는것처럼 반면, 말씀하셔서....헷갈려서 여쭤봅니다. 하나의 명확한 도메인은 ingress에만 넣을수 있다는것이죠? * 로 만든 여러 인증서는 nginx에만 넣을수있고, 또 사설만 가능하구요?
-
미해결[2025 리뉴얼]플러터플로우로 코딩 없이 한달 안에 앱 만들기
연결 관련
Project uses Firebase Auth (+2 other Firebase features) but Firebase config files are not uploaded.이건 왜 안대는건가요..?
-
미해결Next.js 완벽 마스터 (v15): 노션 기반 개발자 블로그 만들기 (with 커서AI)
9분경 진행한, 태그 필터링 관련 서버사이드 변경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먼저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중간쯤, 전체 데이터를 조회해서 Client 측에서 필터링 해서 사용하는게 아닌, 서버로부터 이미 필터링 된 데이터를 받아오도록 검색 api 를 수정한 내용입니다. 이 부분이 클라이언트 사이드 -> 서버 사이드로 변경하였다, 라는 내용을 설명주셨는데, 랜더링과는 전혀 관계 없는 데이터 필터링 주체를 말씀 하시 내용이라고 생각되는데 맞게 이해했는지 궁금합니다.즉, Notion = 서버, Next.js=클라이언트 관점으로 애기 하신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중간연산 sorted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중간 연산 강의를 듣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강의를 통해 Java의 스트림은 lazy하게 동작하며, 요소가 하나씩 흐르면서 중간 연산을 거쳐 최종 연산으로 전달된다고 배웠습니다.그런데 sorted는 정렬을 위해 모든 요소를 모아야 하므로, 다른 중간 연산들과 달리 lazy하게 하나씩 처리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이 경우 sorted는 전체 요소를 한 번에 처리하고 나서야 다음 연산으로 넘어가는 건가요?그렇다면 sorted는 중간 연산이지만 실제로는 최종 연산처럼 동작하는 게 아닌가요?
-
미해결
병합정렬 강의 질문입니다.
mergesort 함수만 재귀호출 했다고 말하셨는데 파라미터 인수값으로 들어오는 더미 배열이 minindex 기준으로 미리 정렬이 어떻게 되는걸까요?제가 아는 바로는 하나의 요소만 남을 때까지 배열을 분리하고 merge를 하면서 정렬이 일어나는걸로 아는데요mergesort라는 함수 밖에 선언한 게 없는데 인자로 넘어오는 배열값이 어떻게 분열만 하는데 정렬이 되냐는 말입니다.강의 5-6분사이에 있는 내용입니다.AI 답변 달지말아주세요. 감자님이 직접 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원핫인코딩
원래 원핫인코딩은 범주형 변수에만 적용가능하지 않나요? 강사님께서는 굳이 수치형과 범주형을 나누지 않고 train = pd.get_dummies(train), test = pd.get_dummies(test)하셨는데 이렇게 굳이 나누지 않고 원핫인코딩을 적용해도 괜찮나요?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병합정렬 질문 있습니다.
mergesort 함수만 재귀호출 했다고 말하셨는데 파라미터 인수값으로 들어오는 더미 배열이 minindex 기준으로 미리 정렬이 어떻게 되는걸까요?제가 아는 바로는 하나의 요소만 남을 때까지 배열을 분리하고 merge를 하면서 정렬이 일어나는걸로 아는데요mergesort라는 함수 밖에 선언한 게 없는데 인자로 넘어오는 배열값이 어떻게 분열만 하는데 정렬이 되냐는 말입니다.강의 5-6분사이에 있는 내용입니다.AI 답변 달지말아주세요. 감자님이 직접 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코딩이 필요 없는 데이터분석, 머신러닝 - 오렌지3(Orange3) 기초
github
저는 github지금 다시 로그인했는데 covid자료가 2년전으로 나오네요 어떻게하면 강의에 맞춰서 볼 수 있을까요?
-
미해결
Firebase기반 예약 시스템 질문
지금 학교에서 프로젝트로 예약 시스템을 만들고 있습니다.Firebase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문제는 지금 예약에서 날짜마다 예약 가능한 시간이 다르다 보니까 이걸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예를 들어서 1회의실은 매일 09~12시 까지 고정 예약이 있으면 회의실 컬렉션 안에 날짜마다 서브컬렉션을 만들어서 관리 하는건 너무 비효율적이라 생각합니다.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4-3 작업형1 모의문제3의 문제7번 문의드립니다
df = pd.read_csv("data.csv", index_col="Unnamed: 0")# your codedf=df.T df.head() #print(df[2001].mean()) a=sum(df[2001]>df[2001].mean()) #print(df[2003].mean()) b=sum(df[2003]<df[2003].mean()) print(a+b) 이렇게 풀어도 괜찮은걸까요??
-
미해결코딩이 필요 없는 데이터분석, 머신러닝 - 오렌지3(Orange3) 기초
covid-github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
제목
내용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Arrays.stream 사용은 코딩테스트 평가에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프로그래머스로 문제를 풀던 중 Arrays.stream() 같은 문법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전통적인 반복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Arrays.stream()과 같은 고급 문법을 활용하는 방식은 채점 시 동일한 배점으로 평가되는지, 또는 코드의 간결성과 가독성을 고려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실전 코딩 테스트나 채점 기준에서 어떤 점을 더 중요하게 보시는지도 함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핸즈온 리액트 네이티브
expo 가 업데이트 되면서 문제가 발생한거같습니다.
expo 가 업데이트 되면서 오류가 발생한거 같은데 아무리 찾아봐도 해결을 못하겠어서 질문드립니다ㅠ 오류는 LOG [Error: Component auth has not been registered yet] LOG [FirebaseError: Firebase: No Firebase App '[DEFAULT]' has been created - call initializeApp() first (app/no-app).]깃주소는https://github.com/dvrakry/rn-photo2입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해결 방법?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3주차 강의 중 3-9까지 수강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강의에서는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고 배치를 적용하여 쿼리 실행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해주셨는데, 제가 듣기로 이직 준비를 하면서 "A안과 B안이 있었는데, 그 중 B안이 더 적합한 이유는 ~였다"는 식으로 여러 해결책을 비교하고 선택한 근거를 설명하는 것이 좋다는 조언을 자주 접했습니다. 그런데 이외에도 쿼리 성능을 튜닝하는 방법은 더 많을 거 같은데, 실무에서 그 방법들을 모두 비교한 뒤 선택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정리하자면 면접 자리에서 "왜 다른 방법은 고려하지 않았나요?"라고 질문이 들어올 수 있는데 이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궁금합니다.실무나 면접에서 성능 개선 경험을 어필할 때, 모든 방안을 다 시도해본 것처럼 설명해야 할까요?아니면, 제가 시도한 A안 중심으로 왜 그 방식이 효과적이었는지를 설명하고, 다른 방식도 있었다는 정도만 언급해도 괜찮을까요? 앞으로 성능 개선을 학습하고 경험을 쌓아갈 때 어떤 관점에서 문제를 접근하고 정리하면 좋을지도 함께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