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9
0
for col in cols
le = labelencoder()
C_Train[col] = le.fit_transform(C_train[col])
여기에서요. col 이라는 피처는 for col 반복문 에서 처음 생겼는데 C_train[col] 변수에 담을 transform(c_train[col])의 피처 col은 어디서 생겨난지 모르겟어서요.. 반복문 처음에 col로 피처를 생성한거를 c_train[col]이라고 명시하는 순간 col 칼럼이 생기면서 그 값을 알아서 가져오는 건가요???
답변 2
0
fruits = ['apple', 'banana', 'cherry']
for fruit in fruits:
print(fruit)
fruits
리스트에 'apple'
, 'banana'
, 'cherry'
가 들어있어요.
for fruit in fruits:
는 fruits 리스트에서 값을 하나씩 꺼내서 fruit
라는 변수에 담아요.
반복문이 실행될 때:
첫 번째 루프에서는 fruit = 'apple'
두 번째 루프에서는 fruit = 'banana'
세 번째 루프에서는 fruit = 'cherry'
그래서 결과는
apple
banana
cherry
for col in cols:
le = LabelEncoder()
C_train[col] = le.fit_transform(C_train[col])
이건 다음과 같은 상황이에요:
cols
는 예를 들어 ['gender', 'job', 'region']
같은 문자형 칼럼 이름들의 리스트라고 가정하면
for col in cols:
는 각 칼럼 이름을 하나씩 꺼내서 col
이라는 변수로 사용해요.
혹시 이해가 되었을까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박춘호님.
질문 주신 내용은 파이썬에서 반복문과 딕셔너리 형태의 데이터 프레임 처리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에 관한 부분입니다.
반복문에서 for col in cols:
라는 구문은 cols
라는 리스트나 배열 형태에 저장된 컬럼 이름을 하나씩 col
이라는 변수로 가져와서 루프 내에서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cols
리스트에는 사전에 변환하고자 하는 각 열의 이름이 담겨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C_train[col]
이라는 표현은 C_train
이라는 데이터 프레임에서 현재 반복문에 의해 선택된 col
이라는 이름의 열에 접근하겠다는 뜻입니다. 이미 존재하는 열을 대상으로 LabelEncoder()
를 적용하여 수치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동일한 열에 덮어씌우는 과정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비슷한 질문과 답변들을 통해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을 이해하실 수 있도록 유사한 답변 URL들을 제공해드릴게요:
게시물: transform 이해가 안돼요
해당 게시물에서는 반복문에서 컬럼을 순회하는 방법과 변환된 데이터를 다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게시물: 반복문 안에서 LabelEncoder() 해주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라벨 인코딩을 컬럼별로 반복해서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선생님 잘 이해가 되었습니다! 일단 강의 쭉 듣고 있는데 계속 듣다보니 설명해주신 내용같아서 어렴풋이 이해했는데 확실히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