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6.3 ~ 6.4 search 페이지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import BookItem from "@/app/components/book-item"; import BookListSkeleton from "@/app/components/skeleton/book-list-skeleton"; import { fetchSearchBooks } from "@/app/lib/fetch-search-books"; import { Suspense } from "react"; // export const dynamic = "force-dynamic"; // 특정 페이지 유형을 강제로 설정하는 dynamic 세그먼트 옵션 // 1. auto - 아무것도 강제하지 않는 옵션, 기본형 // 2. force-dynamic - dynamic 페이지를 강제하는 옵션 // 3. force-static - static 페이지를 강제하는 옵션 // 4. error - static 페이지를 강제하지만 이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면 빌드과정에서 오류를 발생하는 옵션 async function SearchResult({ q }: { q: string }) { const searchBooks = await fetchSearchBooks(q); return ( <> {searchBooks.map((book) => { return <BookItem key={book.id} {...book} />; })} </> ); }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Page({ searchParams, }: { searchParams: { q?: string }; }) { return ( <Suspense fallback={<BookListSkeleton count={3} />}> <SearchResult q={searchParams.q || ""} /> </Suspense> ); } 스켈레톤 UI를 적용하고 있는데 속도를 3g로 하고 새로고침을 해도 Suspence가 작동하지 않고 페이지가 랜더링 됩니다.그리고 터미널에서 이런 에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Error: Route "/search" used `searchParams.q`. `searchParams` should be awaited before using its properties. Learn more: https://nextjs.org/docs/messages/sync-dynamic-apis at Page (src/app/(with-searchbar)/search/page.tsx:31:37) 29 | return ( 30 | <Suspense fallback={<BookListSkeleton count={3} />}> > 31 | <SearchResult q={searchParams.q || ""} /> | ^ 32 | </Suspense> 33 | ); 34 | } GET /search?q=%ED%95%9C 200 in 47msSearchResult가 서버 컴포넌트로 만들어져 있어서 서버에서 이미 만들어 가져오기 때문에 fallback이 적용되지 않는건가요? SearchResult를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바꿔야지 해결되는 문제인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anyToMany는 조인 테이블에 다른 데이터를 추가 관련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ManyToMany는 조인 테이블에 단순히 연결 정보 외 다른 데이터를 추가하기 어렵다고 하셨는데 왜 어려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8회 기출유형 작업형3 문제 1-1 "0.05 이상" 문의
8회 기출유형 작업형3 문제 1-1 "0.05 이상"이면은 >=로 찾아야 하는게 아닌가요? 영상에서는 >로 작성하셔서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라우팅 편집 경로
안녕하세요. <라우팅 편집> 에서 경로 설명해주시는 부분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0.0.0.0/16 -> local vpc 내부에서 10.0.0.0/16 으로 보내는 트래픽은 local 로 보낸다. (private ip 를 활용해서 내부에서만 통신해라)-> 위의 말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 10.0.0.0/16 가 어차피 vpc 전체를 의미하는건데 "보낸다"는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말 그대로 내부에서 서로 보내는 것들은 내부 ip 안에서 놀아라~ 이런 의미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4 작업형1 1번째문제에서 결측값을 마음대로 제거하고 구하면 안되는거죠?
3사분위수와 1사분위수의 차를 구하는 문제에서결측값이 있는 컬럼들의 결측값을 제거한 후에 즉 전처리를 한후에 답을 구하면 안되는거죠?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Zustand를 context, provider없이 사용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Next.js 에서 Zustand를 사용할때는 create대신 createStore로 개별 생성하여 RQ와 같이 Provider로 사용하는 것을 공식문서에서도 권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만 provider없이 create()를 통해 사용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1. SSR없이 완전한 client component로 분리하여 이슈가 없을 것이라 판단하신것인지2. client component에서만 사용하게되면 모듈 레벨에서 캐싱되기때문에 (next에서 SSR/hydrating이 필요한 store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면) 매번 store를 생성하지 않는것인지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
안녕하세요 피그마
피그마는 도대체 어떻게 해야되는거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y_test로 실제 채점을 해보려는데 오류가 나네요 ㅠ어디가 문제일까요
import pandas as pd train=pd.read_csv("train.csv") test=pd.read_csv("test.csv") print(train.shape) print(test.shape) train.info() cols=train.select_dtypes(include="O").columns cols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le = LabelEncoder() for col in cols: train[col] = le.fit_transform(train[col]) test[col] = le.transform(test[col]) target=train.pop("TravelInsurance") #데이터분할하기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train, target, test_size=0.2, random_state=2022)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model = RandomForestClassifier(n_estimators=800,max_depth=9,random_state=2022) model.fit(X_tr,y_tr) pred=model.predict_proba(X_val) from sklearn.metrics import roc_auc_score print(roc_auc_score(y_val,pred[:,1])) pred=model.predict_proba(test) print(test.shape) print(pred.shape) submit= pd.DataFrame({ "index":test.index, "pred" :pred[:,1] }) submit.to_csv("9999.csv",index=False) y_test=pd.read_csv("y_test.csv") roc_auc_score(y_test,pred)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렌더 시점에 대한 질문
궁금한 내용"NextJS에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도 SSR을 수행하는데,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정도의 SSR을 수행하여 리액트 트리를 구성하여 HTML을 만들고, HTML과 함께 클라이언트에 자바스크립트 번들 형태(하이드레이션 용도)로 전달된다." 라고 알고 있는데 맞는 말일까요? 그렇다면, '첫 페이지 로드 시'에만 1번과 같이 동작하고 첫 페이지가 아닌 '다른 페이지'에 들어갈 땐 CSR처럼(JS번들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여 브라우저 단에서 리액트 생명주기 시작) 동작한다면, 강의 중 나온 SearchBar 컴포넌트는 빌드 단계에 렌더링되는 컴포넌트 안에 있다하더라도 CSR될 것인데 Suspense로 래핑하여 클라이언트 단에서 렌더링이 되게끔 강제할 필요가 없지 않나요?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선언된 페이지 컴포넌트(create 페이지)가 next/link를 통해 프리패칭된 것을 네트워크 탭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다만, 클라이언트 페이지 컴포넌트 임에도 RSC Playload로 가져온 것을 확인했는데, 이것은 왜 그런 걸까요? 첫 페이지 로드 이후 페이지 이동 시에 CSR로 동작한다하더라도 진입하는 페이지의 RSC Payload와 JS번들은 주기적으로 서버로부터 가져와야하지 않나요? 아래의 그림에는 JS 실행 전에 서버로부터 가져오는 단계가 보이지 않는데 프리 패칭 과정이 생략된 걸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정말 기본적인것만 외우고 레이블인코딩으로 해서 돌려봤는데요
혼자 드디어 처음으로 외워서 작성해본 2유형코드입니다~ 평가점수가 저정도 나오는데 아무래도 수치형을 스케일링하지않아서 일까요? 아니면 원핫인코딩이 더 적절한거였을까요?아니면 저정도 점수여도 안전한 구역일까요?import pandas as pd train=pd.read_csv("train.csv") test=pd.read_csv("test.csv") print(train.shape) print(test.shape) train.info() cols=train.select_dtypes(include="O").columns cols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le = LabelEncoder() for col in cols: train[col] = le.fit_transform(train[col]) test[col] = le.transform(test[col]) target=train.pop("TravelInsurance") #데이터분할하기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train, target, test_size=0.2, random_state=2022)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model = RandomForestClassifier() model.fit(X_tr,y_tr) pred=model.predict_proba(X_val) from sklearn.metrics import roc_auc_score print(roc_auc_score(y_val,pred[:,1])) #0.7486363636363635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4 (#Promethues #Grafana #Loki #OpenTelemetry)
Prometheus PV관련문의
Pod를 두개로 늘리려면 PV만 수동으로 하나더 만들면되긴 하는데 그렇게 하면 두 Prometheus가 결국 한볼륨을 바라보게 된다. 그럼 문제가 된다.?prometheus는 단일 서버용으로 만들어진 시스템이다.이부분에서StatefulSet인 파드를 두개로 만들었으면 그리고 PV를 수동으로 하나더 만들엇으면 어차피 storageclass라서 동적으로 pvc도 하나더 만들어지고 각각의 파드가 pod -pvc -pv구조로 연결되는거 아닌가요? 왜 결국 한 한볼륨을 결국 바라보게된다는게 이해가 안갑니다. statefuleset pod마다 각각의 고유 pvc를 사용하는거 아닌가요?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강의 듣다가 도커 이미지 생성시 각각도 가능하나 그렇게 사용하는데가 많은지 모르겠다라는 말을 듣고 남김니다
당연히 구글링 해보셨져? 원하는 결과를 못찾으셨나요? 어떤 검색어를 입력했는지 알려주세문제가 발생한 코드(프로젝트)를 Github에 올리시고 링크를 알려주세요.현업에서 도커를 사용해 개발해오지는 않았어서 강의를 듣다가 의문이 들어서 문의 남김니다다른 강의를 봤을때는 nginx, db, jar를 각각 만들어서 이미지들을 각각 격리하여 사용하고 상황에 따라 추가 생성하여 사용한다고 본거 같은데요 그렇게 사용하는데는 각각의 영역을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한다고 봤구요하나의 서버에서 직접 nginx+mysql+jar 설정등을 직접 하다가 도커 설정을 따로 이미지 만들어서 작업한다고 봤을때는 생소하기도 했습니다근런데 강사님은 한꺼번에 한다고 말씀하시니 좀 헷갈리긴 하네요 현업에서는 주로 어떻게 쓰는건가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일: 대상 테이블에 외래키 단방향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이 경우 Locker를 주테이블로 삶아서Member에 있는 Locker locker;를 삭제하고Locker에 Member member;를 추가하면 해결 되는게 맞을까요?!많이 헷갈리네요... 개념이 헷갈리지 않기 위해서는 몇 챕터를 다시 보면 좋을까요?!
-
미해결Airflow 마스터 클래스
dag 에러났어요
Broken DAG: [/opt/airflow/dags/dags_bash_operator.py]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_external>", line 1063, in source_to_code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488, in callwith_frames_removed File "/opt/airflow/dags/dags_bash_operator.py", line 24 bash_t1 >> bash_t2 ^ IndentationError: unindent does not match any outer indentation level 이런 에러가 났는데요소스에서 확인해보니from airflow.operators.bash import BashOperator ㅇairflow.operators.bash 에 ~~~~~~ 이렇게 되어 있네요. 강사님 따라 그대로 했는데 에러가 왜 난걸까요?
-
미해결AI로 기획부터 개발까지! LLM 주도 Next.js 쇼핑몰 제작
vector 에러가 나지 않으면 vector가 없어도 그냥 진행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vector를 확인해 봤을땐 vector가 없는데, vector 에러가 나지 않으면 그냥 진행해도 되나요? npx prisma migrate dev는 잘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html이 선행학습이 되어있어야 할까요 ?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스프링 mvc2를 수강하는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여쭤보게 되었습니다.제가 로드맵을 하나씩 쭉 차근차근 따라오는 중인데, 이번 스프링 mvc2는 유독 mvc1에 비해 따라가기가 어렵다는 생각이 드네요..이유를 생각해보니 html에 대한 기본기가 하나도 없는 상태인 것 같은데, 아직 다 수강한 것은 아니지만 초반 부분은 타임리프와 스프링을 함께 사용하는 부분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복습까지 반복을 해도 이해가 잘 안되는 상황인데 기본적인 html 지식이 선행되어야 이번 mvc2 이해가 잘 될까요 ?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rds 다중 AZ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rds 를 수정해서 다중AZ 를 설정하면가용영역의 모든 곳에 다 복제가 되는건가요?물론 눈으로 볼 수 없다고 하지만, 저 rds 를 바라보고 있는 다른 서브넷(ex. instagram-server-b) 의 인스턴스가 속한 가용영역의 서브넷에 자동으로 rds 인스턴스가 다 생기는건가요. 즉 instagram-server-c, instagram-server-d .. 여러대에서 다 instagram-server-a 의 서브넷에 있는 rds 인스턴스를 바라보고 있다면 c, d 쪽에도 다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만약 4곳 (a, b, c, d) 이 있다면 그 중에서 a, b, c만 생성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4 (#Promethues #Grafana #Loki #OpenTelemetry)
쿠버네티스 업그레이드 관련 문
먼저 강의 질문 드리고 그 외 질문드려보겠습니다.강의에서 파드를 사전에 1,2개를 삭제해서 다른 worker노드로 보낸건 트래픽이 안끊게 하기위해 실습을 위해 보여주기위함인거죠? 만약 실운영에서 woker노드가 3개이상이면 그럴 필요없는지..실무에서 그렇게 원래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두번째는 실제 업그레이드 할때 강사님이 말씀해주신 부분외에...가령 리소스의 특정 annotation이나 버전값 등등 뭔가 버전업되면서 바뀌어야 하는정보들에 대한 실 가이드 문서를 별도로 보질 않아서 그런것들에 대해 파악하는법을 좀 알고싶습니다.쿠버 공식문서에 버전업 할때 필요한 모든 정보가 하나의 가이드에 다 들어있지 않을것 같긴한데요...가령 changelog라든가 이렇게 있던데..실제보면 양이 상당하고 모두 영어인데다가 ㅠㅠ그래서 실제 뭐뭐 바뀌는지...실무에서 정말 하나하나 다보고 파악하고 정리해야하나요?실무에서 놓치지 않고 업그레이드를 위해 빠지지 않고 다 업그레이드에 변경사항들 다 녹일려면 뭐뭐 봐야하는지...그리고 changelog보는법도 좀 알려주십시오.이것도 상당히 중요한부분같다는 생각이 들거등요이건 강의에 없는내용이고 평소궁금한부분이라 남겨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개발자에게 필요한 로그 관리
로그레벨 외의 Logger 분리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려요.로그를 내용에 따라, Logger 분리를 하는 방법 (Access.log, app.log, security.log, error.log 등등) 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실무 API 서버경우에도 이렇게 로그레벨 이외에 Logger 분리를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1번과 연관된 질문으로, 복잡한 실무 ELK 환경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로그의 경우, 한가지 로그에 몰아서 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지, 각각 로거로 분리하고 elasticsearch index도 분리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아바타 커뮤니티앱 만들기 (React Native Expo)
expo, cli 선택 중 고민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히 듣고 있습니다!현재 실제 앱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시작하려고 하는데, Expo와 CLI 중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지 고민 중입니다.공식 문서에서도 Expo를 권장하고 있고, Prebuild 기능 덕분에 대부분의 네이티브 라이브러리도 사용할 수 있고, 성능 최적화도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CLI와 Expo 사이의 런타임 성능이나 최종 번들 용량 차이에 대한 정확한 비교 자료가 부족해 선택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강사님께서 CLI와 Expo를 모두 사용해보셨을 때, 두 방식 간에 실제 체감되는 성능이나 앱 용량 차이가 유의미했는지 궁금합니다.만약 차이가 크다면 CLI를 선택하는 쪽이 맞을 것 같기도 한데, 강사님의 의견이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