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4
1
먼저 강의 질문 드리고 그 외 질문드려보겠습니다.
강의에서 파드를 사전에 1,2개를 삭제해서 다른 worker노드로 보낸건 트래픽이 안끊게 하기위해 실습을 위해 보여주기위함인거죠? 만약 실운영에서 woker노드가 3개이상이면 그럴 필요없는지..실무에서 그렇게 원래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두번째는 실제 업그레이드 할때 강사님이 말씀해주신 부분외에...가령 리소스의 특정 annotation이나 버전값 등등 뭔가 버전업되면서 바뀌어야 하는정보들에 대한 실 가이드 문서를 별도로 보질 않아서 그런것들에 대해 파악하는법을 좀 알고싶습니다.
쿠버 공식문서에 버전업 할때 필요한 모든 정보가 하나의 가이드에 다 들어있지 않을것 같긴한데요...
가령 changelog라든가 이렇게 있던데..
실제보면 양이 상당하고 모두 영어인데다가 ㅠㅠ
그래서 실제 뭐뭐 바뀌는지...실무에서 정말 하나하나 다보고 파악하고 정리해야하나요?실무에서 놓치지 않고 업그레이드를 위해 빠지지 않고 다 업그레이드에 변경사항들 다 녹일려면 뭐뭐 봐야하는지...그리고 changelog보는법도 좀 알려주십시오.이것도 상당히 중요한부분같다는 생각이 들거등요
이건 강의에 없는내용이고 평소궁금한부분이라 남겨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0
강의에서 파드를 사전에 1,2개를 삭제해서 다른 worker노드로 보낸건 트래픽이 안끊게 하기위해 실습을 위해 보여주기위함인거죠? 만약 실운영에서 woker노드가 3개이상이면 그럴 필요없는지..실무에서 그렇게 원래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실무에서는 노드가 3개 이상이고 그럴 필요가 없는 노드가 있는 거지 결국 모든 노드를 업그레이드 하기 때문에 옮겨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트래픽 테스트는 말씀하신 대로 트래픽인 안 끊기는 걸 보여드리려고 한 겁니다.
두 번째 질문은 제가 하나하나 다 설명드리기 힘든 부분입니다. 케이스가 너무 다양하고, 저도 모든 걸 사전에 다 파악할 수는 없어요. 결국 아는 부분까지만 해보고 실제 적용시 발생하는 문제는 바로 문제 해결을 해야되고요. 그걸 교훈삼아 다음번에 실수를 하지 않는 거죠.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odark님.
쿠버네티스 업그레이드에 관한 질문에 대해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를 설명드리겠습니다.
파드 이동: 강의에서 보여주신 것처럼, 업그레이드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특정 파드를 사전에 이동시키는 것은 트래픽을 중단 없이 유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략입니다. 실무에서는 가능한 경우 무중단 서비스를 위해 파드를 다른 노드로 옮기거나 재시작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합니다. 특히, 노드가 여러 개인 경우, 특정 노드를 비우고 그 후 해당 노드에만 작업을 진행하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업그레이드 시 고려 사항:
실무 적용: 업그레이드를 계획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관련해서 실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존 답변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 정보를 통해 업그레이드 시 필요한 부분을 더 자세히 준비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