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Nest.js + Redis 구현 문제
안녕하세요레디스 강의를 재미있게 수강하고 있는데요문제가 있어서 여러가지 찾아보았지만 잘 해결이 되지 않아서 여기에 문의 남깁니다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BoardController } from './board.controller'; import { BoardService } from './board.service'; import { TypeOrmModule } from '@nestjs/typeorm'; import { Board } from './board.entity'; import { CacheModule } from '@nestjs/cache-manager'; import * as redisStore from 'cache-manager-ioredis'; @Module({ imports: [ TypeOrmModule.forRoot({ type: 'mysql', host: 'localhost', port: 3306, username: '', // 임시로 삭제 password: '', // 임시로 삭제 database: 'mydb', autoLoadEntities: true, synchronize: true, // Note: set to false in production }), TypeOrmModule.forFeature([Board]), CacheModule.register({ store: redisStore, host: 'localhost', port: 6379, ttl: 60, }), ], controllers: [BoardController], providers: [BoardService], }) export class AppModule {} import { Inject,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Board } from './board.entity'; import { InjectRepository } from '@nestjs/typeorm'; import { Repository } from 'typeorm'; import { CACHE_MANAGER, Cache } from '@nestjs/cache-manager'; @Injectable() export class BoardService { constructor( @InjectRepository(Board) private boardRepository: Repository<Board>, @Inject(CACHE_MANAGER) private cacheManager: Cache, ) {} async getBoards(page: number, size: number): Promise<Board[]> { const cacheKey = `boards:page:${page}:size:${size}`; const cachedData = await this.cacheManager.get<Board[]>(cacheKey); if (cachedData) { return cachedData; } const skip = (page - 1 ) * size; const boards = await this.boardRepository.find({ order : {created_at: 'desc'}, skip: skip, take: size, }); await this.cacheManager.set(cacheKey, boards); const cachedData3 = await this.cacheManager.get(cacheKey); console.log('stores:', this.cacheManager.stores); console.log('stores 타입:', typeof this.cacheManager.stores); console.log('stores 내용:', JSON.stringify(this.cacheManager.stores, null, 2)) return boards; } } 현재 이렇게 2개의 파일을 레디스 적용하기 위해서 작성을 하였는데요레디스에서 검색을 하면 정상적으로 조회가 되지 않습니다(mysql에서 가지고 온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조회가 됩니다) 그래서 중간에 로그도 찍어보았는데 레디스가 아니라 keyv 여기에 저장이 되는거 같습니다왜 그런지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참고로 레디스 cli, 서버는 정상적으로 동작 중 입니다이유는 스프링으로 레디스 연동은 정상적으로 잘 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회귀 평가지표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안녕하세요다름이 아니라 강의에서 회귀 중 MAPE, RMSE, RMSLE 등은 sklearn.metrics에 없다고 따로 외워야 한다고 하셨는데요 사이킷런 홈페이지 들어가봤는데 다 적혀있기는 해서, 혹시 이제는 metrics 통해 그대로 사용하면 되는 게 맞는지 여쭙습니다!제가 확인한 사이트도 링크 첨부하였습니다. https://scikit-learn.org/stable/modules/generated/sklearn.metrics.mean_squared_log_error.html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JPA 유의점과 V3.1 에 대한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JPA 유의점과 V3.1 에 대한 질문입니다!지금까지 수업을 들으며 제가 요약한 내용은Repository 에서 Entity 를 조회한다.해당 조회에서 N+1이 발생한다면 -> 회원목록을 조회한다면 N+1 이 발생하지 않지만, 회원목록 + 가장 최근에 주문한 상품1개 도 함께 조회를 한다면 N+1 문제가 발생한다. > 목록데이터를 조회하는데, 목록데이터 각각의 PK를 FK로 참조하는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를 함께 조회하는데 Lazy 로딩일 경우 N+1 문제가 발생한다.N+1 이 발생할 경우 fetch join 으로 변경한다.해당 fetch join 쿼리에 컬렉션(리스트 등) 타입이 존재할 경우 select 문에서 컬렉션을 조회하는 쿼리를 지우고, XtoOne 연관관계에 있는 엔티티 조회는 fetch join 을 유지한다. +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설정한다.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혹시 정정해야하는 부분이 있을까요?? V3.1 에 대한 질문은, 조회쿼리에서 OrderItem은 없지만, Controller 에서의 @Data static class OrderDto { private Long order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private OrderStatus orderStatus; private Address address; private List<OrderItemDto> orderItems; public OrderDto(Order order) { orderId = order.getId(); name = order.getMember().getName(); orderDate = order.getOrderDate(); orderStatus = order.getStatus(); address = order.getDelivery().getAddress(); orderItems = order.getOrderItems().stream() .map(orderItem -> new OrderItemDto(orderItem)) .collect(toList()); } } @Data static class OrderItemDto { private String itemName; //상품명 private int orderPrice; //주문가격 private int count; //주문수량 public OrderItemDto(OrderItem orderItem) { itemName = orderItem.getItem().getName(); orderPrice = orderItem.getOrderPrice(); count = orderItem.getCount(); } } 여기서 List<OrderItemDto> orderItems부분으로 인하여 proxy 로 들고 왔던 것을 실제 DB조회를 하여orderItems 에 값을 채워넣는 게 맞나요?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문제풀이 오류 질문
이거 정답이 D 아닌가요?
-
해결됨블렌더 3D 미피 캐릭터 인사하는 애니메이션 만들기
풍선을 왼손에 붙이는게 안됩니다
키프레임 넣는 강의 8:47초 쯤 풍선을 왼손에 붙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주시면서 copy location이라는 걸 알려주셨는데 선생님이 알려주시는 대로 copy location 을 진행하면 사진 처럼 미피 왼쪽 팔의 헤드나 테일 부분에 붙지 않고 왼쪽으로 떨어진 부분에 풍선이 붙어 버리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K 시간 초과ㅜㅜ
http://boj.kr/f99ceee53c3244798a75cdf977eaa63b메모리 초과를 해결하니 시간초과가 뜨는데 어디가 문제인 걸까요ㅠㅠ 중복 탐색이 이루어지는 걸까요??강의를 보고도 풀기가 어렵네요ㅜㅜ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
-
미해결클린 코더스: 실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TDD 마스터 클래스
11. Null is not an error의 예제인 top 함수는 커맨드인가요 쿼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CQS에서 커맨드는 내부 구조를 변경하는데 반환값이 없고, 쿼리가 내부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반환값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11. Null is not an error에서 예제를 든 스택의 top 메소드는 내부 구조를 변경함에는 커맨드 처럼 보입니다만, 값을 반환하므로 쿼리 처럼 행동합니다. 예제라서 그런것인지 아니면 쿼리나 커맨드 둘 중에 하나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14.22 포인터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14.22 강의를 듣다가 함수 포인터는 아니지만 예제 속 변수의 포인터에 관한 의문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1.해당 예제를 따라하다가 toupper, tolower함수의 사용과 변수들의 저장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아래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을 시켜 보았는데요,void ToUpper(char* str1) { printf("Address of str(before toupper function operate) : %lld\n", (long long)str1); while (*str1) { *str1 = toupper(*str1); str1++; } printf("Address of str(after toupper function operate) : %lld\n", (long long)str1); } void ToLower(char* str2) { printf("Address of str(before tolower function operate) : %lld\n", (long long)str2); while (*str2) { *str2 = tolower(*str2); str2++; } printf("Address of str(after tolower function operate) : %lld\n", (long long)str2); } int main() { char str[] = "Hello World!"; void (*pf)(char*); pf = &ToUpper; printf("String literal: %lld\n", (long long)("Hello, World!")); printf("Function pointer: %lld\n", (long long)ToUpper); printf("Function pointer, pointer ver: %lld\n", (long long)pf); printf("Variable : %lld\n", (long long)str); printf("\n"); (*pf)(str); printf("\n"); printf("ToUpper ver: %s\n", str); printf("Address of str after function ToUpper Operate: %lld\n", (long long)str); pf = &ToLower; printf("\n"); (*pf)(str); printf("\n"); printf("ToLowerr ver: %s\n", str); printf("Address of str after function ToLower Operate: %lld\n", (long long)str); return 0; } 먼저 main 함수 내에서 str의 주소를 찍어 본 결과 "Variable : 803261380856"라는 주소값이 출력된 걸 볼 수 있고 이를 ToUpper 함수에 넣고 다시 주소를 찍어보니 "Address of str(before toupper function operate) : 803261380856"로, 같은 주소가 출력된 걸 볼 수 있었습니다. (char*로 받아줬으니 당연하겠지만요.) 이후 ToUpper 함수 내에서 toupper 함수가 포함된 while 문이 돌아간 후 다시 주소를 찍어보니 원래 값보다 12가 추가된 803261380868라는 값이 출력된 걸 볼 수 있었고, 이는 while문 내에서 str1++연산이 수행되며 *str의 각 characer를 대문자로 바꿔주는 과정이 있었기 때문에라고 생각했습니다.의문이 생겼던 부분으로, ToUpper가 실행된 결과가 끝나고 "ToUpper ver: HELLO WORLD!"가 출력된 후, str의 주소를 다시 찍어봤는데 12가 추가된 값이 아닌 원래의 주소값이 출력이 된 걸 볼 수 있었는데요,처음에는 ToUpper 함수의 매개변수의 데이터 타입이 char*이니, 막연하게 str의 주소도 당연히 바뀐 값이 나올 거라고 생각했었는데생각해보니 위 경우는 포인터의 참조값을 사용한 것이 아닌 포인터 자체의 값을 연산한 것이니 call by value로 포인터 변수가 사용된 것이며, main 함수의 str과 ToUpper의 매개변수인 str1은 처음에는 가리키는 주소가 같았으나 str1의 경우 함수 내에서 가리키는 값이 증가한 후, 해당 함수가 끝날 때 같이 사라지는 지역변수로서 사용된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습니다.제가 생각한 과정과 결과가 맞는지 궁금합니다.2.main 함수에서 str의 타입이 char[]로 지정이 되어 있는데, 이를 char* str로 바꾸니 런타임 에러가 나더라구요.char* str로 문자열에 접근하는 것은 read only인 Text Segment의 주소를 가져온 것인데, ToUpper 함수 내에서 str = toupper(str)에서 값을 바꾸려는 시도 때문에 에러가 나는 것이 맞나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Next.js 완벽 마스터 (v15): 노션 기반 개발자 블로그 만들기 (with 커서AI)
Project Rules 추가부분
안녕하세요 강사님의 강의 항상 정말 잘 듣고있습니다! 프로젝트 세팅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강의 자료의 Project Rules 추가 부분은 커서ai 업데이트로 살짝 달라진 부분이 있는데요추가로 주신 rules 강의 자료 봤는데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이런식으로 하는거 맞나요? 그리고 Notepads 역할 설정도 rules manual로 대체 가능하다고 하신거 같은데 이 경우 파일 확장자가 .mdc로 되는데 이렇게 해도 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위해 자바강의와 스프링부트강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잘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지금 스프링부트로 프로젝트를 하려고하는데 자바문법기본도 아직 익숙치 않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지금 강의를 자바 기본편부터 듣고 스프링부트강의를 듣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프로젝트를 위해서 스프링부트 강의를 먼저 듣는게 나을까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fetch 캐싱과 revalidate 관련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fetch 캐싱과 revalidate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await fetch('https://api.example.com/posts', { next: { revalidate: 60 }, });A가 /posts를 최초 요청합니다.→ API에서 데이터를 받아오고, 해당 데이터는 Next.js 서버 캐시에 저장이후 60초 동안은 다른 누구든지 이 캐시된 데이터를 그대로 받음그런데 60초가 지나기 전에 DB에서 게시글 1번의 제목이나 내용이 수정됨60초가 지나고 A가 다시 목록을 요청→ 이 시점은 revalidate 만료 시점 이후이므로 재검증 타이밍→ 하지만 A는 여전히 이전 캐시 데이터를 먼저 받고,→ A의 요청을 계기로 Next.js가 백그라운드에서 API를 다시 fetch하여 캐시를 갱신곧이어 B가 /posts를 요청하면→ B는 A 덕분에 갱신된 최신 데이터를 바로 받음 제가 이해한 것이 맞을까요? 만약 저런식으로 동작하면 상세 페이지와 데이터 불일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요 만약 상세 페이지 요청도 이렇게 작성되어 있다면await fetch('https://api.example.com/posts/1', { next: { revalidate: 60 }, });A는 목록 요청만 했고, 상세 페이지는 요청하지 않음B는 A 이후에 목록을 보고 → 최신 제목을 확인한 뒤,→ 게시글 1번의 상세 페이지를 클릭그런데 상세 페이지의 제목은 여전히 수정 전의 이전 제목으로 보임→ 목록과 상세 페이지 간에 데이터가 불일치할 수 있음정리하자면 제가 이해한 Next.js의 fetch + revalidate 캐시 동작이 맞는지 궁금하고위와 같은 목록-상세의 데이터 불일치 현상은 실제로 발생 가능한 문제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실제로 테스트해봤을 때 위 시나리오대로 목록과 상세 페이지에서 서로 다른 제목이 보이는 걸 확인했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하고 테스트한 부분이 있는 건지, 아니면 실제로도 발생할 수 있는 동작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intialization list
선언시에 바로 초기화하는 것과 intialization list를 활용하는 방안이 있는데,예전에 제가 배울 때는 선언시에 초기화하는 것보다는 intialization list를 활용하는 것이 더 깔끔하고 좋다!라고 배웠었는데, 딱히 상관이 없는건가요? 그저 스타일의 차이인가요?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forwardRef 지원 중단에 대한 대응?
https://ko.react.dev/reference/react/forwardRef공식문서를 보면 앞으로는 forwardRef 지원을 중단한다고 나와있는데 이에 대응하려면 코드 작성을 어떻게 하면 될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4 (#Promethues #Grafana #Loki #OpenTelemetry)
대시보드 cpu쿼리 관련
기존 대시보드에서 쿼리를 가져오는데cpu 패널 그리는데 쿼리가A Query :sum(node_namespace_pod_container:container_cpu_usage_seconds_total:sum_irate{namespace="a-anotherclass-434",container!=""})by(pod, container)/sum(kube_pod_container_resource_requests{job="kube-state-metrics", namespace="a-anotherclass-434", resource="cpu"})by(pod, container) 이렇게 되어있던데...두번째 kube_pod_container_resource_requests 함수의 sum값으로 왜 갑자기 나누기를 했는지가 궁금합니다. 어떤 의도이신지요?그리고 앞 쿼리를 나누기 전에 대략 cpu값들이 20~30%라면 뒤에 request는 0.1%에 해당됩니다. 그러면 20/0.1로 나눠버리면 200이 나오는게 맞는데..강사님은...그렇게 안나오는게 좀 이해가 안가네요 ? 추가로 메모리할때는 requests는 메모리와 1:1 비율이니까 max값을 1로 했는데 request가 메모리와 1:1비율이라는게 무슨의미안가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옴니버그>m 오류
안녕하세요. 실습을 진행하다보니 gtm에서 미리보기 연결도 안되고 옴니버그도 오류가 떠서 문의드립니다. gtm도 잘 설치한거 같은데 실습하다 어느순간 gtm 미리보기에서 오류가 뜨더라구요. 어느 부분이 문제인지 모르겠어서 참고하실만한 부분들 캡쳐해서 전달드립니다! + koonbus8093@gmail.com gtm 사용자 권한도 부여했습니다! <gtm 미리보기 오류> <옴니버그 오류> <확장프로그램>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심화편)
터미널노드는 루트노드?
안녕하세요, 워밍업클럽4기 정예은 입니다. 서브트리 설명해주실 때, 터미널 노드는 루트노드 만 있는 트리로 볼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면, 터미널노드만 두고 볼때 루트노드 인가요?
-
미해결스프링부트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 웹사이트 이렇게 만드는 거예요!
메일 보내는 메서드에서
MemberEntity updateMember = memberRepository.save(findedMemberEntity);if(updateMember != null) {메일전송} 여기서 if(updateMember != null) 대신try catch 로 묶어서 하는것도괜찮나요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1:29 C언어 문제
gets(n)이 n을 입력받는 함수라는 거 이해했고,근데 name() 에 ()가 있어서 () 에 홍길동을 입력받는건가요? name이 똑같이 n에다가 덮어쓴다는게 뭘 보고 알 수 있는건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7회 작업형3 2-1문제
예를 들어, Feature4가 있다고 가정하고 이것이 ERP와의 상관관계가 -0.999라고 한다면 답은 Feautre1인가요? Feature4인가요?(즉, 상관관계가 높은 값을 고를 때는 절대값을 취해서 고려하나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docker mariadb 실행
백업은 안하려고 한참 헤메다, 결국 백업으로 해결했네요..ㅎ..환경: window pc에 mariadb client 버전을 설치함dump 생성client 버전이기 떄문에, “mariadb prompt” 를 실행해서 아래의 명령어 실행(cmd에서 mariadb, mysql 명령어 동작 안함)# 생성할 위치로 이동하시거나, 덤프 생성할때 경로 작성하시요. cd "어느 경로"/docker_file # 덤프 생성 mysqldump -u root -p --all-databases > all.sql Dockerfile 생성# Docker Hub에서 공식 MariaDB 이미지 사용 FROM mariadb:latest # 초기화 시 자동 실행될 SQL 복사 COPY ./all.sql /docker-entrypoint-initdb.d/ # 포트 개방 EXPOSE 3306 이미지 생성 및 컨테이너 실행docker build -t [당신의 게정은?]/mariadb:1.0 . docker run -d \\ -p 13306:3306 \\ --name mariadb \\ --network ecommerce-network \\ -e MARIADB_ROOT_PASSWORD=[당신의 root 비번]\\ kimjinwon1432/mariadb:1.0 =============== 추가 ==============강사님께서 알려주신 방법으로 진행해봤어요.일단, 제 pc의 mariadb 설치경로가 "C:\Program Files" 였기 때문에, mariadb폴더 내의 data 폴더와 그 하위 파일 및 디렉터리를 C: 밑에 우리가 사용하는 docker_file 폴더에 넣었습니다* Program Files를 경로로 잡으시면 13에러 코드가 발생합니다. 이는 권한 관련 문제이므로 cli에서 사용하시는 계정에 대해서 mariadb 폴더 내부에 권한을 주셔도 소용이 없어요.* 이 과정은 이전에 설치한 mariadb 이미지가 있으면 삭제?하거나 이미지의 이름을 변경해서 진행하세요.(전 삭제함) * 제 pc의 mariadb 의 버전이 11.4.2여서, docker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버전으로 진행했습니다. docker run -d -p 13306:3306 --network ecommerce-network \ -e MARIADB_ROOT_PASSWORD=[비번] \ --name mariadb -v "C:\study\SpringCloud\docker_files\data:/var/lib/mysql" \ mariadb:11.4.7이렇게 하시면 docker exec -it ~~~ /bin/bash를 통해서 db에 접속 후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면 로컬에서 작업했던 db의 데이터가 docker로 전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어요.